• 제목/요약/키워드: Infants Educational faciliti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대구시내 각급 의료기관에서 분만하는 산모들의 특성 및 출산결과의 비교 분석 (Comparision of Maternal Charcteristics and Birth Weight among Five Different Categories of Medical Facility for Delivery in Taegu)

  • 송정흡;박정한;김귀연;김장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0-20
    • /
    • 1988
  • 각 의료기관에서 분만하는 산모와 신생아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의료기관별 산모와 신생아의 위험수준을 조사하여 특정 의료기관에서 관찰한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3개 대학병원, 2개 종합병원,2개 개인의원, 1개 조산소, 그리고 1개 모자보건센터에서 1987년 4월 1일 부터 4월 30일 까지 1개월간(1개 대학병원은 2개월간) 분만한 산모 1,410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연령, 교육수준, 의료비 지불방법, 산과력 및 특정의료기관을 선택한 이유를 면담 조사하고 병원기록지에서 신생아의 출생시 체중의 조사하였다.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을 이용한 산모의 평균 연령은 각각 27.5세, 26.7세로 조산소(25.4세)와 모자보건센터(26.1세)를 이용한 산모보다 많았고, 교육수준은 대학병원(평균 12.7년)과 종합병원(평균 12.2년) 산모가 조산소(평균 9.2년) 및 모자보건센터(평균 9.3년) 산모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의료보험 대상자도 대학병원(78.1%)과 종합병원(82.9%) 산모가 개인의원(44.3%), 조산소(29.1%)나 모자보건센터(5.4%) 보다 많았다. 모자보건센터는 2번째 출산이 47.3%로 가장 많았으나 다른 의료기관은 모두 초산부가 $56.0{\sim}61.7%$로 제일 많았다. 산모의 산과력 비교에서는 대학병원 산모가 자연유산 경험율이 상대적으로 다른 의료기관 산모보다 높았고 사산 경험자도 소수였으나 조산소와 모자보건센터에서 분만한 산모는 사산 경험자가 1명도 없었다. 대학병원 산모의 경우 37주 이하의 조산아 출생율(11.4%)과 2,499gm이하의 저체중아 출생율($5.8{\sim}13.0%$)은 타 의료기관 보다 현저히 높았다. 이에 따라 제왕절개술에 의한 분만율은 의료기관간에 차이가 많았다. 결국 대구시내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분만하는 산모들은 사회경제적으로 중, 상류층과 소득고하를 막론하고 고위험산모들이 많고 조산소와 모자보건센터는 저소득충의 산모 가운데 산과적으로 저위험군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해석하는데 많은 제한성이 있으며 전체 산모의 특성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녀출산 전후의 부모들을 위한 양육여건 및 부모교육 실태 조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A Survey on Child Rearing Conditions and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before and after Childbirth)

  • 박영애;이갑숙;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3-49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policy concerning women and child rearing and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parents who are around their childbirth, a period crucially important both for the parents in terms of the role adjustment, career management, and family finance, and for the infants in terms of i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509 mothers before and after childbirth currently living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n two major areas of pregnancy-delivery-childcare and parent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mostly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t-tests, and F-tests.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es were organized along the following areas and issues: Pregnancy(family planning, regular check-ups, difficulties, prenatal education, costs, etc.); delivery(type of delivery, delivery related experience, costs, clinic/medical institute of choice, worries/problems, help/supports, etc.); postpartum care(place, kinds of help and helper, costs, postpartum care facilities, etc.); childcare circumstances(place, carer, time schedules, childcare centers or facilities feeding and weaning, etc.); husband's attitudes and involvement in the overall process; working mothers(maternity leave, temporary retirement for child rearing, etc.); and, parent education(family planning, pregnancy, delivery, postpartum care, child rearing, areas or issues needing parent education, facilitative and hindering factors to ideal parenting, etc.).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pregnant mothers and postpartum mother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mothers and fathers of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mothers of first pregnancy(or childbirth) and experienced mothers were also analyzed. Several conclusions with suggestions were drawn in relation to the need for strong implementation as well as developing of policies on women and childcare and for developing a new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before and after childbir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