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s' development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37초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upport Conditions Based on Screening and Need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 이진경;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26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 중 또래들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은 유아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이들이 언어발달지연을 보인다고 선별한 유아 30명에 대한 언어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의 선별은 관련 검사 결과 정확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의뢰한 보육교사의 선별기준과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부모의 수용 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현 대처방안과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지역에 있는 보육시설 10개 기관 13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결손을 보이는 언어특성과 부적응 행동에 따라 언어발달이 지연된다고 의뢰하였고, 둘째,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부모들의 태도는 무관심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서 교사에게 먼저 자녀의 언어발달지연에 대해 상담하는 등 다양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는 학급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넷째, 언어발달지연 유아를 위하여 전문가와 기관의 지원, 언어발달에 대한 교사교육, 언어발달지연에 대한 자료와 기준의 제시, 낮은 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지원 요구를 제기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유아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Con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PA Analysis)

  • 부은순;박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36-544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미래 사회의 인재가 될 유아들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IPA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미래 사회의 교사교육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개발에 관한 요구도 조사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아에게 필요한 역량은 2016년 세계경제포럼'일자리 미래 보고서'에서 미래사회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대상의 배경변인별 특성과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교육 요구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항목별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미래사회의 인재가 될 유아에게 필요한 역량 중요도에서 유아교사들은 배려/나눔 효의 능력, 호기심/ 흥미 능력을 높게 꼽았으며, 실행도는 배려/나눔 효의 능력, 협력/소통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넓게 표집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역량 개발을 위한 구체적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될 유아의 핵심역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혼임부와 기혼임부 건강증진행위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attitudes between unmarried and married pregnant women)

  • 김혜숙;최연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5-268
    • /
    • 1993
  •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s for unmarried and married pregnant women. The sample consisted of 94 married women attending one general hospital and residing in Seoul and 82 unmarried women from two social institutes for unmarried women.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and revised by the researcher. The tool consisted of 12 items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0 items on self-esteem measurement, 20 items o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37 item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ing using the SPSS, yielding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emographic variables for the two groups were heterogenous except for religion. 2)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elf-esteem, married women(mean 20.41, standard deviation 3. 94) had higher scores on self-esteem than unmarried women(mean 24.02, standard deviation 4.11), (t=-5.91, p .001) 3) There was a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The married women had higher scores on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t=7.22, p〈.001) 4) The score for married women o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has higher than the score for unmarried women(t=8.83, p〈.001) 5)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self-estee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for married women was .45, between per 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54, between self-esteem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32. For the unmarried women,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39, between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67, between self-esteem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30.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n all subconcepts of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p〈.001). 7) Comparison of the order of th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arried women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 was for nutrition, then self-actualization, interpersonal support, health responsibility,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in that order. For the unmarried women the highest score was for self-actualization followed by nutrition,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health responsibility, and exercise in that order. The score in the exercise domain was lowest in both groups.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ources and protection facilities for unmarried pregnant women could be improved through government policies and health care policies that would allow unmarried women to utilize significant social support resources and actualiz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Nursing should offer interventions to increase psychosocial adjustment and support t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unmarried pregnant women and further to promote improv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s.

  • PDF

여성들의 수유양상 및 수유방식의 선택에 영향 주는 요인들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feeding Practices among Women in Seoul and the Chungbuk Area)

  • 김기남;현태선;강남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8-301
    • /
    • 2003
  • In order to obtain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breastfeeding,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fant feeding practices, the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have in comm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eeding methods among women in Seoul and the Chungbuk area. Subjects included 671 lactating mothers who visited public health centers or pediatric clinics between December 1999 and February 2000, and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With respect to feeding methods, the incidence of breastfeeding, formula feeding, mixed feeding and formula feeding switched from breastfeeding was 20.6%, 29.8%, 11.6%, and 38.0%,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had in common, the incidence of women who planned their infants' feeding methods before pregnancy, during pregancy, and after delivery was 48.7%, 31.0%, and 20.3%,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women who started breastfeeding in the hospital after delivery was 38.8%. About seventy seven percet of the subjects had not previously attended an educational program on breastfeeding, and most of these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in an educational program to learn about breastfeeding. Some of the topics they were interested in were“Nutritional Management for Sufficient Breast Milk”(60.3%),“Breast Care”(25.0%), and“Correct Nursing Positions”(9.8%). Most (88.2%) of the women who breastfeed suffered from physical discomforts including discomfort of the waist, and legs and discomfort due to cracked or sore nipples. “Insufficient breast milk”was the main reason for breastfeeding cessation or for switching to formula feeding. With respect to formula feeding practices, the main reasons for selecting a specific brand of formula were“the same brand the hospital used after delivery”(34.3%) and“an advertised brand”(23.3%). The strongest factor for promoting breastfeeding was“the support of husband or parents”, next were “breastfeeding in the hospital after delivery”and“planning to breastfeed before pregnancy”in that order. The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had in common relating to formula feeding were“mother's job”,“high economic level”,“Caesarian section”and “planning to breastfeed after delivery”.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breastfeeding be pro-moted, and educational programs be developed and offered as soon as possible to each group which had unfavorable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In addition, the monitoring and supervision of formula advertisements is required to protect consumers from the adverse effects of exaggerated advertising.

수소경제로 이행을 위한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방법론 (Methodological Issues in Socio-Economic Assessment of the Hydrogen Economy Development)

  • 김호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6-591
    • /
    • 2005
  •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에너지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안보적 외부성을 최소화하는 에너지수급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2003년 12월 '제2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3-2012)'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서는 2011년까지 전체 TPES의 $5\%$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정책목표로 수립하고 수소, 태양광 그리고 풍력기술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특히 수소부문에서는 주택 및 건물용, 발전용, 수송용 연료전지의 개발을 중심으로 개발하여 세계 기술시장의 $20\%$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기술 잠재력을 기반으로 우리 정부도 미국이나 일본과 같이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으며 202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에너지부문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나 환경기술의 효과적 인 개발을 위해서는 이들 기술의 직접적인 비용측면에 대한 분석 즉 경제성 평가와 새로운 기술변화로 인한 중장기적인 사회경제적 영향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는 대상 기술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광범위할수록 더욱 복잡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제인 수소에너지기술은 지금까지 이용되던 것과는 전혀 새로운 에너지캐리어(carrier)를 개발하는 것으로 에너지부문 및 여타 다른 산업부문이 공유하고 있는 에너지 관련 인프라의 전면적인 조정이 요구되며 에너지 이용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측면의 급속한 변화를 수반한다. 본 연구는 수소경제로의 이행에 대한 사회경제적 영향평가의 방법론적 요소들과 기법을 제시한다."중등도 독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세포독성을 줄이기 위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의하게 가장 낮은 정지. 운동 마찰력을 보였고 브라켓-호선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정지, 운동 마찰력도 증가하였다 (P<0.001)%$ 낮추지만(p value=0.260) 평균 $D_{max}$는 거의동일 하여($0.3\%$ 감소, p value=0.867), 전통적인 방법보다 우수성이 크게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환자의 체곡선이 보상체와 잘 일치하는 경우에는 DII가 $18\%$까지 감소하였다. 결론 : Multistatic field 방법은 모든 환자에 대하여 선량분포의 균일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는 반면 공용보상체의 사용은 보상체의 크기가 환자의 체 윤곽과 잘 일치하는 경우만 효과적으로, 적용의 범위에는 한계가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비교하여 계통에 따르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임기 여성의 방사선 진단 및 치료시 Rugh의 10일 법칙을 적용하여 착상전기 방사선 조사로 인한 부작용들을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equirements of the prematured infants during the early weeks of life. 모든 치근단 수준에서 비표준화 medium 크기 master cone 사용군이 ISO 표준화 규격의 master cone 사용군에 비해

  • PDF

선천성 낭포성 선종양기형 -1례 보고-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 선경;백광제;이철세;채성수;김학제;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18-124
    • /
    • 1984
  • Congenital Cystic Adenomatiod Malformation (C.C.A.M.) is rare, but one of the most common congenital pulmonary anomalies that cause acute 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wborn infants. It is characterized and differentiated from the diffuse pulmonary cystic disease pathologically, i.e. adenomatoid appearance due to marked proliferation of the terminal respiratory components. An 2/12 year old male patient was suffered from respiratory distress and cyanosis on crying since birth, but no specific therapy was given. With progression of symptoms, he came to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further evaluation and then transfered to Dept. of Chest Surgery for operative correction under the impression of Congenital Obstructive Emphysema suggested by a pediatrician. On gestational and family history, there was nothing to be concerned such as congenital anomaly. Physical examinations showed; moderate nourishment and development (Wt. 5.5kg), cyanosis on crying, both intercostal and lower sternal retraction on inspiration, Lt. chest building with tympany, Rt. shifting of cardiac dullness, decreased breathing sound with expiratory wheezing on entire Lt. lung field, decreased breathing sound on Rt. upper lung filed, and tachycardia. The remainders were nonspecific.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except WBC $14000/mm^3$ (lymphocyte 70%), Hgb 9.8m%, Hct 28%, negative Mantaux test, and sinus tachycardia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n EKG. Preoperative simple Chest PA revealed marked hyperlucent entire Lt. lung, herniation of Lt. upper lobe to Rt., collapsed Rt. upper lobe, tracheal deviation and mediastinal shifting to Rt., and no pleural reaction. At operation, after Lt. posterolateral thoracotomy, 4th rib was resected. Operative findings were severe emphysematous changes limited to both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The resected specimen showed slight solidity, measuring $8{\times}4.5{\times}2cm$ in size, and small multiple cystic spaces filled with air. Microscopically, entire tissue structures were glandular in appearance, cyst were lined by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and occasional cartilages were noted around the cystic spaces. Bronchial elements were dilated but normal pattern on histologically. The patient had a good postoperative course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nd discharged on POD 10th without event.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o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C.A.M.)

  • PDF

충청 인근지역 어린이, 청소년의 엽산 섭취량과 급원식품 - 일부 식품의 엽산 분석으로 수정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Dietary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ungcheong area - Using nutrient database revised by measured folate in selected foods)

  • 김지현;이은정;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94-1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엽산의 급원식품으로 보고된 식품 51종의 엽산을 분석하고, 값에 차이가 많이 있는 경우 엽산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여,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엽산 섭취량을 추산하고 급원식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전, 충청도 및 전라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미만 567명으로 비연속 2일 동안의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하였다. 51종의 식품을 새롭게 분석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현재 값의 18.7%~322.9%의 결과를 얻었다. 기존의 값이 실험한 두 값 사이에 있거나, 기존값과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수정하지 않았으며, 그 외에 차이가 있는 40종은 새로운 분석값으로 수정하였다.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대상자들의 엽산 평균섭취량을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계산한 결과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엽산 섭취량이 권장섭취량보다 높았으나 12~14세 남자와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 배추김치, 쌀, 귤은 모든 연령층에서 엽산 급원식품의 10위 안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급원식품 51종만을 분석하였으나 한국인들이 자주 먹는 식품의 조리 후 엽산 함량을 분석하여 보완해 나감으로써 더 정확한 엽산 섭취량을 추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엽산은 성장기 및 가임여성에게 특히 중요한 비타민으로써 이들을 위한 엽산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 배지현;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78-290
    • /
    • 2018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 동안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중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 출산에 관련된 연구(74편)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은 학문분야, 연구설계, 주요 주제 및 중재 연구에 사용된 결과 변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74편의 논문 중 학위논문은 28편(38.6%), 학회지는 46편(61.4%)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중 37편(50.0%)은 간호학에서 수행되었다. 양적 연구의 경우 45편(60.8%), 질적 연구가 29편(39.2%)으로 질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편이었고, 양적 연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설계는 서술적 연구가 22편(2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주요 개념은 간호의 패러다임인 간호, 환경, 건강, 인간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네 가지에 속하지 않은 것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주제는 건강 영역인 사회 심리 측면이었으며, 다음은 인간 영역 순이었다. 8편의 중재 연구 분석에서 7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나머지 1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과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측정 된 결과 변수는 적응에 대한 중재에서 양육과 관련된 모성역할 수행자신감, 지지, 지식에 대한 내용이었다. 연구 유형별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적 연구에서도 실험연구 보다는 서술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험연구의 경우에서도 연구의 대상자가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새로운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소아청소년 비만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서정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11-1320
    • /
    • 2009
  • 소아청소년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가정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하며, 태아기부터 영아기, 걸음마기에 올바른 음식섭취와 생활습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양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요약하였다. 건강한 생활습관 1) 일상생활에서 부지런히 움직인다. 계단으로 올라가기, 학교나 학원을 빠른 걸음으로 걸어가기, 텔레비전 시청 시 제자리 걷기나 스트레칭하기, 심부름하기, 틈만 나면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기, 밥 먹고 바로 눕지 않기, 누워서 텔레비전 보지 않기, 식탁에서만 먹기 등이다. 2) 매일 30-60분 이상 활동한다. 운동은 이상적으로는 매일 60분 이상 하여야 하지만 따로 시간내기가 어려울 때에는 10-15분씩, 2-3번 이상 일과 중에 틈틈이 운동한다. 3)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사용시간을 2시간 이하로 한다. 4) 가족이 함께하는 즐거운 운동을 계획한다. 5) 고지방 고탄수화물 음식을 제한한다. 통곡물, 살고기를 선택하며, 달콤한 탄산음료나 과일향 음료보다는 물과 저지방 우유(하루 400 mL)를 권한다. 6) 식사 때가 되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배고플 때 천천히 먹는다. 7) 식사는 가족과 함께 즐겁게 천천히, 여러 종류의 식품을 골고루 먹는다.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둔 개인적인 비만 중재나 가족과 지역사회의 노력만으로는 비만 유병율을 변화시키는 데 제한이 있다. 비만의 유병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이다.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더 높은 단계에서, 정책적으로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병원, 학교를 연계하는 대단위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영유아 건강검진 사업의 이해 (Overview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 은백린;김성우;김영기;김정욱;문진수;박수경;성인경;신손문;유선미;은소희;이혜경;임현택;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25-232
    • /
    • 2008
  • The mission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is to promote and improve the health, education, and well-being of infants,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Although the term 'diagnosis' usually relates to pathology, a similar diagnostic approach applies to the child seen primarily for health supervision. In the case of health, diagnosis determine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health promoting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whether medical, dental, nutritional, educational, or psychosocial. Components of the diagnostic process in health supervision include the health 'interview'; assessment of physiolog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including critical developmental milestones); physical examination; screening procedures; and evaluation of strengths and issues. Open and informed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professional and the family remains the most significant component of both health diagnosis and health promotion. Families complete medical history forms at their health supervision visit. Family-friendly questionnaires, checklists, and survey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hild's age are additional tools to improve and update data gathering. This type of information helps initiate and inform discussions between the family and the health professional.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