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equality Income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7초

The Role of Intelligence (IQ) on The Globalization-Income Inequality Nexus: A Threshold Regression Approach

  • IBRAHIM, Saifuzzaman;MAZLINA, A.R.;AZMAN-SAINI, W.N.W.;BURHAN, Nik Ahmad Sufi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2호
    • /
    • pp.9-17
    • /
    • 2021
  • Globalization is an economic process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of interdependence of world economies. It enhances the mobility of national resources internationally via the integration of markets, trade and investments with minimal barriers to slow the flow of products and services. Although globalization has some positive impacts on the economy, it is said to be a factor in the decline of income inequality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However,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income inequality are inconclusive.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telligence (IQ) in the globalization-income inequality relationship. This study employs the threshold regression technique and cross-nation observations from 117 sample nations for the period 1980-2016.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income inequality in a nation relies on its IQ level. The results imply that economic globaliz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income inequality in nations with lower IQ levels. It widens the gap between the poor and rich. While in nations with higher IQ levels, it seems to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income distribution.

공적보조금 유무에 따른 어가소득불평등도 분해 분석 (A Decomposition Analysis of Fisheries Household Income Inequality with and without Public Subsidies)

  • 정민주;남종오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2호
    • /
    • pp.77-90
    • /
    • 2023
  • This study employed the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analysis to classify and examine fishe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according to income sources. The raw data from the Fisheries Economic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equalization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method of the OECD. In particular, the Gini coefficient was decomposed by classifying with and without public subsidies, and the contribution, correlation, and marginal effect by income source were presented.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equality of fishing income and non-fishing income of fishermen was worsening, and the inequality of transfer income was continuously easing. Among them, fisheries subsidies have been analyzed to hav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Gini coefficient of gross income and the highest relative marginal effect, although distribution inequality has been alleviated. On the other hand, other subsidies, including public pensions, were found to have the opposite contribution, correlation, and marginal effect to fisheries subsid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even within public subsidies, the contribution to income redistribution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ubsidy. In addition, in the case of other public subsidies,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ition from selective welfare to universal welfare occurs.

부부의 노동소득과 취업상태가 소득불평등 변화에 미치는 효과 (Analysis on the Income Distribution Effects of Husband-Wife Labor Income and Employment Ratio)

  • 최바울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3호
    • /
    • pp.97-128
    • /
    • 2013
  • 본 논문은 소득항목별 분해를 통해 남편과 아내 노동소득의 관계와 부부의 취업 비중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과 아내 노동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불평등 증가 시기에 맞벌이가구의 남편 소득과 아내 소득이 같은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소득의 불평등이 증가해 온 것은 아내와 (특히)남편의 취업비중이 2003년 이후 감소한 영향이 크며, 2008년 이후의 소득 불평등도의 개선은 주로 저소득가구 아내의 취업 비중 변화가 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oes Technological Progress, Trade, or Financial Globalization Stimulate Income Inequality in India?

  • GIRI, Arun Kumar;PANDEY, Rajan;MOHAPATRA, Geetilaxm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11-122
    • /
    • 2021
  •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de, financial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on income inequality in the Indian economy ove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economic growth, financial globalization, trade opennes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conomic inequality variables with appropriate proxies. The study employs the Auto 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approach to co-integration and VECM based Granger causality approach to estimate both the short-run and long-run relationship and causality among variables. Using the ARDL bounds test, the study finds a long-run co-integrating relationship existing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el. The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income inequality. Further, globalization's limited impact reflects two offsetting tendencies; trade globaliza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income inequality, while financial globalization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inequality. The results of VECM based Granger causality approach further confirm that technological progress, trade, and financial globalization causes income inequa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economic growth and inflation. In case of Indi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significantly facilitate stakeholders and policymakers in devising policies towards effective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inclusive growth.

1-2인 가구증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소득격차에 대한 기여도 분석 (A Contribution Analysis of the Increase in 1-2 Person Families o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Income Gap)

  • 임병인;김성태;정지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1-39
    • /
    • 2015
  • 본 논문은 1990-2014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로써 소득불평등도 추이를 살피고, 1인 및 2인 가구들이 전체 소득불평등도와 소득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기여도 개념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기여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소득 및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2인 가구의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3년 이후부터 그 수준이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소득 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는 2인 가구에 비해 더 컸다. 둘째, 1-2인 가구의 소득5분위 배율에 대한 기여도는 2006년 이후 증가하며, 2인 가구에 비해 1인 가구의 기여도가 더 컸다. 이상에서 소득불평등도 완화와 소득격차 확대 해소를 위해서 1-2인 가구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정책방안들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소득분배의 국제비교를 통한 복지정책의 방향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Income Distribution)

  • 유경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5권2호
    • /
    • pp.55-88
    • /
    • 2003
  • LIS 기준의 소득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하여 계산된 한국의 가처분소득 기준의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는 1996년에 0.298, 2000년에 0.358로 나타나 소득불평등도가 외환위기 전후로 상당히 상승되었다. 이러한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도는 다른 OECD국가에 비하여 1996년경에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나 2000년에는 미국, 멕시코와 함께 상당히 높은 수준의 그룹에 속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소득재분배기능이 작동하기 이전의 소득, 즉 정부로부터의 공전이전지출과 조세납부 이전 소득인 시장소득 기준의 불평등도는 1996년(0.302)에 비해 2000년(0.374)에 역시 상승하기는 하였으나 양자 모두 OECD국가 중에서는 중간이하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국은 OECD국가에 비하여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의 불평등도 차이가 아주 적은 것이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외국에 비하여 국민연금제도 등 공적연금제도의 미성숙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빈곤율 역시 국제비교시에 외환위기 전후로 타국에 비하여 상당히 상승하여 2000년에 OECD국가 중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 PDF

Human Capital, Income Inequality and Economic Variables: A Panel Data Estimation from a Region in Indonesia

  • SUHENDRA, Indra;ISTIKOMAH, Navik;GINANJAR, Rah Adi Fahmi;ANWAR, Cep Jand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571-579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how human capital and other economic variables, such as private investment, economic growth, government investment, inflation, and unemployment influence inequality in Indonesia's provinces. We apply panel data model with fixed effect estimation for the data of 34 provinces from the period 2013 to 2019. We develop a new index for human capital using the education index approach. The results show that human capital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income inequality. An increase in human capital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knowledge and competence due to the longer average school year and expectations of the school year. Human capital ha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a person being accepted into the job market and earning a higher income; hence, it lowers income inequality. We also find that inflation leads to a higher gap of income distribution. A further implication of this situation is that the rise in inflation causes an increase in low-income people, and as a consequence, makes their lives worse off. This paper will be beneficial for policy-makers for whom human capital, which is measured using an education index,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ignificantly affects income inequality, in addition to other economic factors.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이용한 임가의 소득불평등 분석 (Analysis of Forest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using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s)

  • 김의경;김보경;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92-40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임가의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임가경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가의 소득불평등도 분석은 임가 전체와 5개의 소득분위 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임가의 소득불평등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소득은 임업소득과 임업 외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분위별로는 최상위 소득계층의 소득불평등은 임업소득의 영향력이 다른 소득원에 비해 크게 나타난 반면, 그 외의 분위에 속하는 임가에서는 임업 외 소득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가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최상위 계층을 제외한 다른 계층에서의 임업소득에 대한 비중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최하위 소득계층의 임업소득이 부채상태인 점을 감안할 때,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시에 임가의 소득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가소득이 증대될수록 임업소득의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 집단 내 소득불평등(inequality among gender)의 변화 추이 및 원인 (The Trend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Among Gender)

  • 김혜연;홍백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391-415
    • /
    • 2009
  •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한 기존의 소득불평등 관련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평등 변화의 추이와 원인을 성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복잡 다양한 소득불평등 양상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9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소득불평등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요인분해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기간 전체적으로 여성의 소득불평등 수준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소득불평등도의 연도별 변화 폭도 여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의 원인으로 여성의 경우 혼인상태, 연령 등이 중요했으나 남성은 종사상 지위, 산업, 직업 등의 노동시장 특성이 중요했다. 본 연구에 의해 소득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회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성별 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이 실증적으로 밝혀졌으며, 소득보장 및 노동시장 정책에서의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

세계화와 요소부존도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Factor Abundancy on Income Inequality)

  • 최영준;박단이
    • 무역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는 세계화와 요소부존도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득불평등에 관하여 전통적인 쿠즈네츠 가설에 기초하여 실증분석 모형을 설정하여 세계화로 이루어지고 있는 무역과 자본이동의 확대와 국가의 기본적 경제적 환경인 요소부존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WTO 회원국을 소득수준별로 4그룹으로 나누고 1995~2015년 기간 동안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소득국을 제외한 중위소득국과 저소득국에서 쿠즈네츠의 역U자 곡선이 나타났다. 둘째로 무역의 확대는 고소득국가와 저소득국가의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지만 중고소득국에서는 증가됨에 따라 국가내 소득불평등이 완화되었다. 세째로 해외직접투자의 유입액은 소득불평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소득국을 제외한 중고소득국과 중저소득국과 저소득국의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로 자본부존비율이 높아 질수록 소득불평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의 증가로 생산성의 향상으로 소득이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