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internship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턴십 지원자를 위한 기계학습기반 취업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Machine Learning-based Employment Prediction Model for Internship Applicants)

  • 김현수;김선호;김도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8-143
    • /
    • 2022
  • The employment prediction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uses 16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self-introductions of M University students who applied for IPP and work-study internship, and 3 dependent variable data such as large companies, mid-sized companies, and unemployment. The employment prediction model for large companies was developed using Random Forest and Word2Vec with the result of F1_Weighted 82.4%. The employment prediction model for medium-sized companies and above was develop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Word2Vec with the result of F1_Weighted 73.24%. These two models can be actively used in predicting employment i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for M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인턴쉽 기반 프로젝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nship-based project system)

  • 김종엄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903-910
    • /
    • 2004
  • 학습자 능력 중심의 교육으로부터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학습자간의 협동 활동의 의미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프로젝트 교육 시스템은 학습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와 교수자의상호 참여를 통하여, 수행하게 될 직무를 이해하고 능력의 점증적인 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컴퓨터 및 인터넷이 대중화되어 가는 시점에서 프로젝트 수행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의 업무 처리 체계를 실현 목표로 한 프로젝트 교육 학습체계를 제시한다.

  • PDF

패션 산업 인턴십에 대한 의식 연구 -패션 기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Fashion Industry Internship - Focused on Directors of fashion Industries -)

  • 정상길;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4호
    • /
    • pp.604-62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se the consciousness of persons in charge of fashion industries and to provide some basis data for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ternship program which could reduce differentiation between fashion colleges and fashion companies. Fifty national fashion brands had been randomly selected and question researches had done from August twenty-seventh to October thirtieth by the visit, mail, fax and e-mail etc. Dat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program on the frequenc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anies selected interns by documents and interview, however, in the future they will prefer to accept interns by appraising some task. They preferred to apprentice for two months with some simple job and tasks. The companies wanted some prerequisite study such as major curriculum, human nature education, computer education. And each division wanted different curriculum. They wanted to be joined with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for intern and to be given allowance and credit. They also preferred reputation ratio of industry : college as $70\%$ : $30\%$ for intern reputation. There were some vitalizing method of fashion internship such as discriminated fashion internship program, government support for industries, universities and students, organization opening to connect industry and . university, mentor-system and credit system introducing, curriculum reforming in the university.

  • PDF

관광종사원의 인턴십 평가가 취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ternship Evaluation Factors on the Employment Competitiveness)

  • 이용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57-2863
    • /
    • 2009
  • 현재 현장에서 종사하고 있는 정규직 종사자들의 입장에서 인턴십 평가를 통한 인턴십 과정생들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교육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인턴십 교육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는 본 연구가 각각의 이해집단에게 인턴십 교육의 운용을 마케팅적 사고로 전환하여 교육 소비자 즉, 학생과 산업체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교육체계로 변신함으로써 급변하는 교육환경속에서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인턴십 평가요인으로 규율성, 적극성, 기술력, 업무수행능력, 과제물, 탐구력, 지식성, 협조성, 이해력 등으로 평가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둘째, 인턴십 평가요인은 인턴십 교육효과(적극성, 탐구력, 규율성) 및 취업경쟁력(규율성, 적극성, 협조성)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체에서는 학습능력보다는 조직과 융화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7-29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 및 정규직 취업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인턴 경험이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면,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전공과 직무 일치 비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능력중심 채용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산업체 현장 실습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장 실습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How to Activate Industrial Field Training Internships" - Focused on Former Researches Related to Field Training-)

  • 김근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5-9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o activate field training internships through former researches related to training internships. The concept of field training is the same as education of work experience. Students have experienced the skills of practical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and could enhance acquisition of professional theories. According to domestic former research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otel field practice hardly satisfied with internships due to unreasonable duties, burdens and circumstances regardless of efficiency of school curriculum. Also, they showed dis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However, foreign studies have only focused on communication between hotels and schools. Finally, in order to activate industrial field training internships, schools and hotels have more delicate harmonization to address training internship problems. In addition, promoting field training internships must include proper incentives and must be supported by school. And also the hotel management must offer incentives to the students who are under field training internships in the hotel. From internship programs, students could get much more benefits in hotel job application.

  • PDF

장기현장실습을 통한 연계취업 활성화 방안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외 3개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of Cooperative Employment through Long-term Field Placement: Based on Kumoh Institute of Technology including 3 Universities Case Study)

  • 이석문;정연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1-39
    • /
    • 2017
  • 단기 현장실습 위주의 양적 성장과 대학 간 과다 경쟁으로 현장실습의 내실화가 요구되며 학생의 실무능력 향상과 현장실습을 통한 채용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장기현장실습 모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정부와 대학의 참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금오공대와 3개 참여대학은 2015년부터 중소 중견기업의 R&D 인력 부족현상과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소 중견기업 R&D 관련부서에서 6개월동안 장기현장실습을 통해 R&D 실무능력을 향상하고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R&D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인 산업인턴을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5년과 2016년 산업인턴 운영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사전준비 단계부터 종료시점까지 장기현장실습을 통한 효과적인 연계취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취업률 비교와 만족도 조사 비교를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해외인턴쉽의 영어능력 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verseas Internships on Development of English Competence)

  • 차미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9-104
    • /
    • 2019
  • 본 연구는 해외인턴쉽의 외국어능력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15주간 해외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한국대학생들이 작성한 영작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참여학생들은 인턴쉽 전후로 영작문 하나씩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두 영작문의 구성요소 및 어휘 사용면의 변화들을 분석하였고, 이어 통계분석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참가자들이 인턴쉽 이후에 더 많은 수의 문장들을 사용하였고, 문장들이 더 길어졌으며, 아울러 더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생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휘의 유창성과 사용능력이 증가하였고 문장 내에 다음절의 다양한 유형의 단어들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인턴쉽이 외국어능력 향상에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꾀하는 중소기업들은 생산성, 품질 등 산업적 능력 제고뿐만 아니라 해외인턴쉽과 같은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인적자원의 글로벌 역량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전공실내디자인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ovation of Course Contents and Instruction of Advanced Design in Interior Design Education)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1호
    • /
    • pp.11-19
    • /
    • 1997
  • This stduy aimed to suggest a possible way for a new setting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ducational situations of domestic interior design societies. The study showed that interior design education should not follow expressive methods made from practical work which had been popular in the past and it should establish fundamental formation to make interior design education useful in industrial fields through active educationalindustrial complex. Interior design educ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interrelationship with other professional fields and cooperative attitudes among them.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modern industrial world and the ever-growing information processing world regardless of ideology and regiional boundaries indicate that the future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will be no longer effective with traditional education systems. The idea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understood as a bridge between the educational reality and its ideal in interior design teaching. The main points of the study are follows. First, the projects of advanced interior design should be focused on increasing the ability for problem solving rather than accumulating basic knowledge. Second, motivation is important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fficiency of educatiov. Therefore a few suggestions in establishing design conditions, as strategies of inducing 'attention',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relevance' are closely examined to propos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Third,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wards creativity in order to increase abilities of thinking and expressiov.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device which help internship participants to get experiences with a sense of practical situations in industrial fields. This could be possibly done by enforcing academic grades for the work done as an internship participation; by employing workmen in industrial fields as faculty members; and by bringing faculty members into actual industrial situations and providing workmen with lectures. A new approach for a better design education seems to be desirable for the future.

  • PDF

모바일 앱을 이용한 장애학생의 현장실습 관리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Internship of the Disabled" Using Mobile App)

  • 구민정;한경돈;노동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9-424
    • /
    • 2013
  • 장애학생의 산업체 현장실습 근무를 관리하기 위해 모바일 앱으로 근무시간, 출근시간 및 현장실습일지를 관리에 대해 연구하였다. 장애인 고용 업체측에서 수용가능한 장애학생의 허용정보와 지원학생의 장애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고용[승인]을 한다. 업체에서는 현장실습 출근시 GPS를 이용하여 출근정보(출근시간, 주소)를 관리한다. 본 과정을 수행해 본 결과 장애인의 현장근무의 학습에 기여하였으며, 향후 실제 취업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또한, 장애학생의 현장실습관리에 대한 관리효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1.9%가 보통이상의 참여 만족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