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체 호흡 영역에서의 대구시 대기질에 관한 연구 (Breathing Zone Air Quality in Taegu)

  • 조완근;손상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4
    • /
    • 199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breathing zone air quality in Taegu, using automatic analyzers for four air quality standards($SO_2$, $NO_2$, CO, and $O_3$). First, air target compounds were measured for 8 to 12 hours in each of two commercial areas and five residential areas. Second, air target compounds were hourly measured for 24 hours in each of two commercial areas, two residential areas, and an industrial complex area. Based on the first experiment the breathing zone air was more polluted in the commercial area as compared to the residential area, while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the breathing zone air was polluted rather in the residential are3 as compared to the commercial area. The second experimen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some variation of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 with time and measuring sites. Diurnal variation of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s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measured at building height. The highest breathing zone air concentration was shown in Seongseo industrial complex area. An unusual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SO_2$ concentration in the breathing zone air of Bisandong, a typical residential area of Taegu,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sidential areas, even higher than that of Seongseo industrial complex area.

  • PDF

급속한 도시팽창과정에서 도시토지이용변동의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Urban Land Use Changing Patterns with the Rapid Urban Expansion)

  • 김지열;강병기
    • 지역연구
    • /
    • 제8권1호
    • /
    • pp.31-50
    • /
    • 199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fine major factors influencing land development of each of major uses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in the process of rapid urban expansion.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land use changing patterns are directed by supply side of land managed to public policies rather than demand side. The graphic analysis is applied to relationships between urban growth and land development process of each use and between l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d to public policies and land development process. Public and land development projects and zonning protection seem to be major roles of land supply and main determinants of urban spatial structure. Location factors for land development of each uses are selected in 23 variables. Factor analysis is applied to tes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1971 and 1981. Factor structure between two years is similar, but progressive processing of functional separation is derived such as intensive land use is grouped, different location between residential and industrial use is deep. Dependent variables are standardized to logarithm of land development of each use per unit vacant land in two periods, between 1971 and 1980 year and between 1981 yea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6 dependent variables and 23 location factors in each years are applied. Major factors of each use are selected in criteria such as high correlation with dependent variables, low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common application in two periods. As the result, major factors for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re Land Readjustment Project (LRP), percent of total zoned area in residential zone, residential floor space density per available area, percent of total area in industrial use; for commercial development is distance to CBD, percent of total area in commercial use, residential floor space density per available area in each year, and volumn rate of industrial use; for industrial use is percent of total area of industrial use is percent of total area of industrial use, Industrial Estate Project (IES), LRP, and distance from CBD. Land development pattern of each use between two periods are slightly different. So 6 equation is derived from appling backward method of regession. Adjusted multiple R squares of all is more than 0.5 and those equ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valuable to assist urban land use forecasting.

  • PDF

대구지역 공단과 인근 주거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Levels in Industrial Complex and Nearby Residential Areas of Daegu)

  • 조완근;이진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19-525
    • /
    • 2004
  • Air pollution from the Daegu industrial complex (Die) in Korea has been a common nuisance and cause of complaints for nearby residents. The current study measured the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six VOC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three isomeric xylenes) at two residential areas with a different proximity to the ODIC, plus the ambient levels at two industrial areas within the boundary of the DDIC. The QA/QC program included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 (0.94-0.99) for calibration curve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Toluene was the most abundant VOC in the ambient air both in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Both indoor and outdoor air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VOC except benzene were higher in residential area near the DIC compared to that further away from the DIC. Moreover, the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VOC except benzene for two industrial sites (A and 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utdoor or indoor air concentrations in the two residential areas. The findings further suggested that VOC ambient levels measur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DIC be used as a potential indicator of odor-causing unidentified air pollutants transported from the DIC.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elevated ambient toluene levels outweighed the indoor sources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residents nearby the DIC. However, in the residential area further away from the DIC, the toluene indoor sources outweighed the outdoor sources.

시화공단 지역의 주요 휘발성물질 농도 분포 특성 (Patterns of the main VOCs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around Shiwha Area)

  • 변상훈;이정근;김정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화지구의 공단과 주거 지역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공단지역과 주거지역 21개소에 passive sampler를 1개월간 설치하여 총 6회에 걸쳐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과 스티렌을 채취하였다. 그 결과 VOCs 물질 중 톨루엔이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공단지역의 평균 TVOC농도는 주거지역의 1.86배에 해당했으며,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에는 그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평균 BTEX 농도는 공단지역의 화합물의 농도가 주거지역보다 1.94~5.39배 더 높은 것을 보여준다. 에틸벤젠과 자일렌은 여름철에 비교해 겨울철에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벤젠은 더 높은 농도로 측정되었다. VOCs 간의 상관계수는 공단지역에서의 물질간의 상관성이 주거지역보다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공단지역에서는 대체로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물질들이 주거지역에서는 에틸벤젠과 톨루엔의 경우를 비롯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VOCs 농도는 공단지역에서 더 높았으며, 주거지역의 VOCs 분포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화공업단지 주변지역 토양의 중금속 분포 (Heavy Metal Distributions of Soils in the Vicinity of Shi-Hwa Industrial Complex Region)

  • 송영배;이상모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87-91
    • /
    • 2003
  • 본 연구는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인접한 주거지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시화공업단지 주변의 공단지역, 주거지역 및 녹지지역의 토양을 대상으로 As, Cd, Co, Cr, Cu, Hg, Ni, Pb 및 Zn 함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의 범위는 As 0.58~3.81, Cd ND~0.91, Co 0.15~6.33, Cr ND~1.86, Cu 0.14~110.27, Hg ND~l.17, Ni 0.04~10.59, Pb 1.16~86.48 및 Zn 1.83~212.65 mg/kg으로서 전 지역에서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기준이나 식물독성 유발기준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s 함량은 전 지역에 걸쳐 비슷하였으나, Cd와 Cr 함량은 공단지역이 주거지역이나 녹지지역보다 각각 약 10배 및 5배정도 높았으며, 주거지역과 녹지지역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Co, Cu, Hg, Ni, Pb 및 Zn 함량은 공단지역이 주거지역이나 녹지지역보다 약 2~3배정도 높았으며, 주거지역과 녹지지역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시화산업단지에서 주요 휘발성유기물질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파악을 위한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 비교 (Comparison of Active and Passive Sampler for Determining Temperal and Spatial Concentration Assessment of the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centration in Shihwa Industrial Complex)

  • 변상훈;최현일;문형일;이정근;김정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790-79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화지구의 공단과 주거 지역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를 이용해 측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VOC의 평균농도는 패시브샘플러(passive sampler)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1.86배 더 높게 나타났다. 능동식 시료채취기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1.07배 더 높게 나타났다. Passive sampler를 이용하였을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열탈착 흡착 튜브(thermal desorption tube)를 이용했을 경우는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등 일부 물질의 농도에 있어서 주거지역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전체 BTEX 비율 중에서 전반적으로 톨루엔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컸으며, passive sampler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의 상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열탈착 흡착 튜브의 경우는 오히려 주거지역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기오염 목적성분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특성 파악을 위한 passive sampler를 이용하면 오염관리 혹은 역학적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시료채취 방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PM10 내 납의 동위원소와 농도를 활용한 산업도시지역 대기 중 납 오염원 평가 (Evaluation of Airborne Pb Sources in an Industrialized City by Applying Pb Isotope Ratios and Concentrations in PM10)

  • 조완근;이현철;김모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4-182
    • /
    • 2011
  • 본 연구는 제철 산업지역과 이 지역으로 부터 이격거리가 다른 주거지역들의 대기 및 잠재적 오염원의 납 동위원소/대기 중 납 농도를 측정하여 제철 산업도시 대기 중 납의 주요 오염원을 평가하였다. 대기 중 납 농도와 납 동위원소비 측정과정에서 수행한 자료의 질 관리 프로그램에서 결정된 납의 검출한계는 $0.5ng/m^3$ 이하, 표준 입자상물질의 회수율은 90% 이상 그리고 4종류 납 동위원소($^{204}Pb$, $^{206}Pb$, $^{207}Pb$, $^{208}Pb$) 분석의 재현성 오차가 모두 0.2% 이하이었다. 3종류 동위원소비($^{206}Pb/^{204}Pb$, $^{207}Pb/^{206}Pb$, $^{208}Pb/^{206}Pb$ 모두에 대해서 산업지역에서 측정된 값은 이 지역과 멀리 떨어진 주거지역 측정값보다 인접한 주거지역 측정값과 가까워, 산업지역과 인접 주거지역 납의 오염원이 보다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여름과 겨울 두 계절에 대하여, 주거지역들보다는 산업지역에서 납 농도가 4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주거지역 중에서도 인접 주거지역에서 납 농도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산업지역에서 배출된 납이 인접 주거지역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산업지역에서 조사된 3종류 납 동위원소비($^{206}Pb/^{204}Pb$, $^{207}Pb/^{206}Pb$, $^{208}Pb/^{206}Pb$)가 8종류 잠재적 오염원 중에서 슬래그와 자동차 배출가스의 값과 유사하게 나타나, 이들 오염원이 산업지역과 인접 주거지역 납의 주요 오염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산업지역과 주거지역들의 납 동위원소비가 계절적으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고, 납 농도는 여름보다 겨울에 높게 나타났다.

대구지역 대기 중 VOCs 농도 및 발생원 특성 (Characteristics of Source and Concentration of VOCs in Daegu)

  • 구민정;최성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3-553
    • /
    • 2005
  • In recent days, photochemical smog due to the rapid industry development and vehicle increasement has become a critical pollutan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umber of ozone alarm signal has increased every yea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VOCs emission source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of VOCs in Daegu. The site average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industrial area > commercial area > residential area. Most of the VOCs species except toluene showed variations with higher concentration during nighttime, and lower concentration during the daytime. The major VOCs of stationary emission source were BTEX(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ene and styrene. Also, those of automobile exhaust were toluene and benzene. Also, the major VOCs concentration emited by the vehicle fuel was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gasoline > light oil > liquefied petroleum gas (L.P.G). Correlation coefficients values were estimated between major VOCs such as toluene, ethylbenzene, m,p-xylene, o-xylene. Results show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were significant magnitude above 0.76. Also, there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thyl benzene, m,p-xylene, and o-xylene concentration(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0.868-0.982).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ommercial area,industr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were 0.934-0.981, they showed high correlation. There showed highly correlation between stationary emission source and industrial area, compared with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Also,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esidential area and automobile exhaust were 0.732, 0.725, 0.777, respectively.

AERMOD 모델을 이용한 산단 지역 악취 배출량 및 주거지역 영향 범위 평가 (Estimation of Odor Emissions from Industrial Sources and Their Impact on Residential Areas using the AERMOD Dispersion Model)

  • 정상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96
    • /
    • 2011
  • In this study, the AERMOD dispersion model was used for predicting odor concentrations and back-calculating industrial area source odor emission rate. The studied area was Sihwa industrial complex in Korea. Odor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wo days over a year period in 2009.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and observed concentrations indicates that the AERMOD model could fairly well predict average downwind odor concentrations. The results show odor emission rates of Sihwa industrial complex area source were ranged from 0.204 to 2.320 $OUms^{-1}$ (average 0.476 $OUms^{-1}$). The results also show wind speed and direction are important parameters to the odor dispersion.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이 사업지구 지가변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la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on Inner Land Price Change)

  • 장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98-7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이 사업지구의 지가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택지개발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청주시 택지개발사업 추진단계별 지가변동 규모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지가변동에 영향을 주는 택지개발사업의 계획특성 요소 16개((1)지가변동률, (2)사업구역 면적, (3)주거용지 비율, (4)상업용지 비율, (5)준주거용지 비율, (6)근린생활시설용지 비율, (7)공동주택 비율, (8)도로율, (9)공원 녹지율, (10)학교 비율, (11)$1m^2$당 조성비, (12)일반주거지역 비율, (13)준주거지역 비율, (14)상업지역 비율, (15)준공업지역 비율, (16)자연녹지지역 비율)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계획특성 요소 16개 중 지가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0.0 Version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가변동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지구가 지정되기 2년 전부터 지가가 상승되기 시작하였고 준공이후 지가상승이 안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가변동에 영향을 주는 계획특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2)사업구역 면적, (4)상업용지 비율, (6)근린생활시설용지 비율, (8)도로율, (11)$1m^2$당 조성비, (12)일반주거지역 비율이 지가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