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Security

검색결과 1,705건 처리시간 0.04초

산업제어시스템 환경에서 효과적인 네트워크 보안 관리 모델 (A Efficient Network Security Management Model in Industrial Control System Environments)

  • 김일용;임희택;지대범;박재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64-673
    • /
    • 2018
  • 산업제어시스템(ICS, Industrial Control System)은 과거에는 폐쇄 네트워크로 운영되었으나 최근에는 정보통신 서비스와 연결되어 운영되면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이 제정되고 보안가이드라인이 배포되고 있지만 제어망에서 업무망으로의 일방향 정책만 있어 다양한 실제 제어 환경에 대한 보안가이드가 필요하며 국제 표준으로 IEC 62443의 경우 산업제어시스템 참조 모델을 정의하고 침입 차단 시스템을 이용한 영역 보안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폐쇄 네트워크로 운영되는 산업제어망을 침입 차단 시스템만으로 외부 네트워크와과 연계하기에는 부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모델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국내 산업제어망의 실제 연동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현재 상용 경계 보안 제품들인 침입 차단 시스템, 산업용 침입 차단 시스템, 망 연계 장비, 일방향 전송 시스템 등의 보안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 구축 사례와 정책에 대한 비교를 통해 보안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제어 분야에 대한 보안 관리 방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기술 보안 지원정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ME's Perception about Industrial Technology Security Support Policy)

  • 정유한;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32
    • /
    • 2020
  • 기술혁신 환경의 불확실성 증가와 기술경쟁 확대는 산업기술 보안 측면에서도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 혁신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산업기술 보안 지원정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도(IPA)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관련 정책 개선에 필요한 정책 변화 방향성을 확인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의 산업기술 보안 지원정책에 대해 응답한 중소기업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개선 노력과 더불어 관련 정책 프로그램들에 대한 선별적인 예산 확대가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기술 인증 기업과 산업기술 확인(인증)기업간의 집단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련 정책의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업의 양적 특성 못지않게 기업별 산업기술 보안 수준 및 의지 등을 고려한 정책 집행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정부 산업기술 보안정책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실증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산업기술 보안정책의 설계와 집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 방향 설정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제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위협 연구 (A security study for Control Network: Security Threat Using Control Protocol)

  • 최동준;이재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08
    • /
    • 2020
  • 산업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IT 환경과는 다르게 보안성보다 안전성, 연속성이 중요시 되는 환경이다. 산업제어 시스템에 보안 사고가 발생할 경우 물리적인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없다. 따라서 물리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물리적인 피해가 인명피해까지 초래할 수 있다. 산업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단순히 사이버 피해라고 볼 수 없으며 테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산업제어 시스템에 대한 보안이 많이 강화되지 않은 상태이고 실제로 많은 취약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PLC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연결과정 및 패킷을 분석하고 프로토콜에 존재하는 보안 메커니즘을 우회하여 PLC를 원격에서 컨트롤 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산업제어 시스템에 대한 보안 경각심 제고를 하고자 한다.

산업용 무선통신기기 사이버 보안위협 및 보안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yber Security Threat and Security Requirements for Industri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 이지섭;박경미;김신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757-770
    • /
    • 2020
  • 산업제어시스템(ICS)은 분산된 다양한 자산을 측정,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화학, 교통, 수처리, 제조 공장 등의 산업 시설 및 국가기반시설에서 사용된다. 산업제어시스템의 특성상 보안위협에 노출되면 오동작, 중단 등으로 인해 막대한 인명, 자산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위협을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산업제어시스템의 경우 보안위협을 고려하여 무선통신기기의 사용을 제한하였으나 최근에는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비용의 장점으로 인해 산업용 무선통신기기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relessHART와 ISA100.11a를 지원하는 산업용 무선통신기기의 보안위협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산업용 무선통신기기의 도입 및 운영에 필요한 보안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보안요구사항을 활용하여 국가기반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의 산업용 무선통신환경 구축 시 보안위협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보안범죄의 실태 및 대응방안 (Industrial Security Crime's Realities and Counter-Measure)

  • 서봉성;임유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141-149
    • /
    • 2015
  • 현대사회의 무한경쟁시대는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큰 최첨단 과학기술을 확보 선점하는 것이 국가의 경쟁력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국가의 핵심기술이나 기업의 최첨단 기술을 탈취해가는 산업보안범죄는 국가의 경제안보에 위협적인 피해를 줄 수가 있고, 방위산업 분야의 경우 국가안보와 직결되어 있는 심각한 범죄에 해당한다. 한번 유출된 국가의 핵심기술과 기업의 영업비밀은 회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과 대책으로 산업보안 침해범죄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일부 선진외국에서도 국가의 경제 및 국가안보와 직결된 산업보안범죄에 대해서는 국가차원에서 관리 가능하도록 법과 제도들이 운영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국가핵심기술이 침해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아울러 기업의 핵심적인 산업기술을 유출시키는 방법도 과거 저장된 문서를 단순하게 복사하거나 출력해 나가는 수단이 아니라, 최첨단 IT기술 발달로 인해 그 유형과 행태도 다양해졌다. 따라서 국가의 핵심기술과 기업의 영업비밀을 침해하는 산업보안범죄에 대한 피해는 상당히 위협적이기 때문에 산업보안을 단순히 기술유출방지라는 시야가 아닌 산업과 관련된 모든 손실방지와 지적재산보호라는 넓은 범주에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융합 IT 환경의 물리적 취약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vulnerability factors in the convergence IT environment)

  • 전정훈;안창훈;김상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9-68
    • /
    • 2016
  • 최근 국내 외 여러 산업분야에서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 빅 데이터(big data) 등과 같은 융합 IT기술들의 등장으로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산업 보안(Industrial Security) 시장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보안 기술의 진화뿐만 아니라 취약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IT 환경으로의 진화로 인한 물리적 취약요인의 증가는 여러 산업분야들의 보안성을 결정짓는 잣대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융합 IT환경에서의 물리 보안 기술들과 적용 사례, 물리적 취약요인들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물리적 침해 및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의 보안 인프라 구축을 위한 융합보안산업 지식 맵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Security Industry Knowledge Map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urity Infrastructure)

  • 이대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3-180
    • /
    • 2019
  • Cyber Physical System으로 상징되는 제4차 산업혁명(Industry 4.0)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감에 따라 향후 구현될 다양한 사이버 시스템들의 기술적 안정·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융합보안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확산과 관련하여 생활안전의 개념을 포함하는 광의의 융합보안산업 및 기술의 현상을 파악하고, 관련된 지식간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여 보안의 융합화에 필요한 산학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력양성, 기술개발, 정책개선 등에 관한 종합적인 발전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가 안보와 연계한 방위산업 보안 개념 정립 (Concep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ial Security in Relation to National Security)

  • 고희재;이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65-270
    • /
    • 2019
  • 한국의 방위산업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방위산업 보안은 1945년 이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방위산업 보안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는 관심이 부족했으며, 관련 법률에 의해 방위산업기술 보호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었음에도 방위산업 보안의 개념 정립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방위산업기술 보호를 위해 2015년에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하여 방위산업 보안에 대한 필요성을 강화하였다. 새로운 법이 제정됨으로써 방위산업 보안의 대상 및 보호 자산 다양화 등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방위산업 보안 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졌다.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 관점에서 보안 상의 이유로 정보 공개가 제한되어 학술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제정으로 보안 영역 확장 등 환경의 변화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재정립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을 통해 다양한 방위산업에 대한 개념과 최근 변화된 방위산업 환경을 분석하여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고 폐쇄적인 방위산업 환경 속에서 상세 규격에 따른 방법론을 사용하여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학술적으로 정립한데 의의가 있다.

델파이 조사를 통한 환경보안공학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curity Engineering Through Delphi Survey)

  • 임헌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35-14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적인 보안지식을 필요로 하는 보안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공장보안 등의 보안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학 지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계경비지도사, 산업보안관리사, 산업보안전문가(CPP) 등 유사한 자격증이 있지만 공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다. 이에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델파이 분석을 사용하여 보안공학직무분석을 도출하고 이에 필요한 지식을 정리하게 되었다. 연구결과 1선 보안인 경계보안을 위해 셉테드를 포함한 건축구조, 건축역학, 2선 보안인 출입구보안을 위해 스마트공장 보안을 포함한 제어계측, 3선 보안인 실내보안을 위해 인간공학과 기계경비로 구분하게 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연령별로는 30대에서 75.8%, 업무별로는 산업보안담당자가 76.4%로 가장 많은 호응을 보였으며, 이는 산업보안 현장의 실무자들이 환경보안공학 자격증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산업보안 분야에 대한 NCS 제안 (NCS proposal for industrial security)

  • 박종찬;안중현;최영렬;이승훈;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8-360
    • /
    • 2022
  • 현대 사회는 빠르게 발전함과 동시에 생활함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나날이 발전중이다. 반면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사이버공격의 발전이 더 빠르게 발전중이며, 현재까지도 산업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매년 산업피해는 꾸준히 발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기업 및 조직의 주요 자산이나 기술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활동이 '산업보안'이다. 그러므로 산업보안에 대한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보안에 대한 인력상황은 인원은 있으나 산업보안 직무에 대한 이해도 및 개념 등에 대해 지식이 미비한 상황이다. 즉, 산업보안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지식, 태도, 기술 등)을 국가가 표준화 한 것이다. NCS는 인원채용에 대해 도움은 물론이고, NCS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국가자격제도에 NCS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보안 분야에서 NCS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현재까지도 인원채용과 교육과정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현재 산업보안 분야의 NCS 체계가 개발되지 않았지만 후에 산업보안 전문인력 인원채용에 대한 문제해결과 추후 수립될 산업보안 NCS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산업보안 NCS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