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air quality

검색결과 1,011건 처리시간 0.036초

수치해석을 활용한 승강장 바닥배기 시스템 최적화 연구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floor exhaust system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or subway platform)

  • 남궁형규;박세찬;김민해;김수연;권순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43-449
    • /
    • 2017
  • 최근 국내 도시철도 지하역사에는 승강장 안전문의 설치로 인한 승강장의 급 배기 불균형이 일어나며, 이러한 불균형은 승강장 내 오염물질 축적과 환기부족에 의한 쾌적성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유동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하역사 바닥배기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를 하고, 제작된 바닥배기 시스템의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바닥배기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유동해석은 CFX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HEEDS를 최적화 소프트웨어로 적용하였다.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최적화 결과, 약 430 Pa의 차압과 61%의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갖는 전체높이 1.78 m의 바닥배기 시스템이 도출되었다. 최적화 설계에 따라 실규모로 제작된 바닥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집진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약 65%의 집진효율을 보임으로써 수치해석을 통해 도출된 최적설계 결과와 유사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최적화 프로그램을 활용한 바닥배기 시스템의 설계가 급배기 불균형을 갖고 있는 지하역사 승강장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설계된 바닥배기 시스템이 공간상의 제약으로 추가적인 배기설비 설치가 어려운 기존 지하 역사에서 배기개선 및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ATM 공법에 의한 고속도로 터널 공사 중 라돈 노출 평가 (Evaluation of Radon Exposure During Highway Tunnel Construction by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 유예지;김형렬;강모열;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radon in the air at a highway tunnel construction site in a gneiss area using the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NATM) and to evaluate exposure levels by occupation. Methods: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ere measured using E-PERM at points 300 m, 600 m, and 900 m from the tunnel entrance during the excavation and waterproofing work inside the tunnel. In addition,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uring external excavation to compare with the inside of the tunnel. Personal exposure levels for major occupations including tunnel workers,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ors, waterproofers, shotcrete worker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were estimated using radon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work process area and working hours by occup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 total of 77 radon measurements, the geometric mean (GM) concentration was 71.1 Bq/m3,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was 127.3 Bq/m3, which was below the indoor air quality criteria. Radon concentration by process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tunnel excavation process (GM= Bq/m3, GSD=1.2), waterproofing process (GM=73.35 Bq/m3, GSD=1.2), and outside excavating process (GM=45.28 Bq/m3, GSD=1.2). Processes inside the tunn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side excavating processes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measured inside by distance from the tunnel entrance, but the innermost point of the tunnel, 900 m (GM=79.24 Bq/m3, GSD=1.27), measured the highest. Conclusions: The occupation with the highest individual exposure to radon was tunnel worker (64.16 Bq/m3), followed by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 (64.04 Bq/m3) and waterproofer (63.13 Bq/m3).

K대학교 실험실의 실내공기질 실태 및 관리방안 (Indoor Air Quality of Laboratories in K- University and the Management Strategy)

  • 이동현;정효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3-330
    • /
    • 2012
  • 본 연구는 안전보건 관리에 있어 관심이 미약하였던 대학 실험실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발생 수준과 그로 인한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 5월 26일부터 6일간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을 대상으로 학과별 실내 오염인자를 측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MSDS 비치 여부와 노출저감시설 설치 유무, 보호구 지급 현황은 기초과학실험실인 화학과, 물리학과, 의학과 등에서의 관리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치의학과, 미술학과에서는 유해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실험실 내의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는 미술학과가 다른 실험실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검출되었고 유사학과별로 집단화 한 그룹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미술학과, 생활과학과가 포함된 기타학과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반적으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고 그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학과의 실험실에서 높은 수준의 위험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elationships of TVOC with Several Aromatic Hydrocarbon Constituents at Preschool Facilities

  • Yoon, Chung-Sik;Choi, In-Ja;Ha, Kwon-Chul;Park, Dong-Uk;Park, Doo-Yo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4-41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평가하고,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와 대표적인 8개 방향족 화합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도시에 위치한 11개 유치원의 실내와 실외에서 각각 30개, 11개의 지역시료를, 시골에 위치한 4개 유치원에서는 각각 10개, 4개의 시료를 테낙스 튜브를 이용하여 오전에 1-2시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열탈착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13가지 물질을 각각의 표준물질로 개별 정량하여 이중 빈번히 발견되는 8가지 방향족 유기화합물은 상관관계 평가에 사용하였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톨루엔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 실내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높았고, 조사 건수의 50%가 환경부 및 교육인적자원부의 가이드라인($400{\mu}g/m^{3}$)을 초과하였다. 도시지역의 유치원 실내 및 실외의 기하평균은 각각 $387.9{\mu}g/m^{3}$$134.9{\mu}g/m^{3}$이었고, 시골지역 유치원에서는 각각 $189.6{\mu}g/m^{3},;74.4{\mu}g/m^{3}$이었다.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정량한 유기 화합물 총합,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기하정규분포를 하였다.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BTEX)은 도시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농도도 높고,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중 함량도 높았고, 시골지역에서는 농도와 상대적 함량이 낮았다. 도시지역에서는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BTEX의 비중이 25.2%였고 정량한 13가지 유기화합물 중에서는 35.6%를 차지하였다. BTEX 각각 개별물질은 미국 환경보호청이 제시하는 일일 노출 기준량(Reference Concentration; RfC) 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읜 농도는 실내가 실외 보다 높았다(I/O ratio 2.5). BTEX의 상대적 함량도 실내가 실외보다 높아 실내에도 발생원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자료 분석결과 유치원 실내의 벤젠은 실외로부터 유입되고 있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정량한 8개 화합물 각각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벤젠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중 톨루엔과 크실렌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좋은 상관성 (톨루엔 0.76, 크실렌, 0.87)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톨루엔과 크실렌이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좋은 지표를 사용될 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많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ISO 12219-5 (Static chamber법)를 이용한 모듈내 구성부품별 VOCs 영향도 분석 (VOCs impact factor analysis of unit components in Part assembly by ISO 12219-5 method)

  • 이신종;장혜진;곽동환;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284-291
    • /
    • 2014
  • 차량 실내 공기질 대응 프로세스는 두 단계의 시험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모듈 부품평가를 통해 차량 실내 VOCs의 주요 원인을 찾고, 절단 시험편을 이용하여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찾는다. 만약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확인 시, 소재 개선을 통해 차량과 모듈 부품에서 방출되는 VOCs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절단 시험편을 이용한 시험법은 VOCs 원인을 찾는데는 절단면에서의 방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 단위의 평가방법 적용이 필요하다. ISO 12219-5 시험 방법은 부품 절단없이 평가를 하기 때문에 소재 및 표면적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어, 모듈 부품에서 구성 부품의 VOCs 영향도 확인이 가능하였다. 트림과 콘솔의 구성부품 평가를 통해 모듈내의 주요 원인 부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SO 12219-5 모듈 부품 시험법과 구성 부품 시험법간의 정량적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품질관리를 위한 관리값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인구 유동에 따른 서울시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 요인 분석 및 노출평가 (Analysis and Exposure Assessment of Factors That Affect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M2.5 in Seoul Based on Population Movement)

  • 우재민;신지훈;민기홍;김동준;성경화;조만수;우병열;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15
    • /
    • 2024
  • Background: People's activities have been restrict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se changes in activity patterns may lead to a decrease in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concentrations. Additionally, the level of population exposure to PM2.5 may be change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population movement and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distribution of PM2.5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Methods: The study area was Guro-gu in Seoul. The research period was selected as January to March 2020, a period of significant population movement changes caused by COVID-19. The evaluation of the dynamic population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absolute difference in population numbers between consecutive hours and comparing them to determine the daily average. Ambient PM2.5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for each grid using ordinary kriging in Python. For the population exposure assessment, the population-weighted average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indoor to outdoor population for each grid and applying the indoor to outdoor ratio to the ambient PM2.5 concentration.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the ambient PM2.5 concentration,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corporating population mobility and meteorological factors. Result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ambient PM2.5 concentration and population movement was positive on both weekends and weekdays (r=0.71, r=0.266). The results confirmed that most of the relationships were positive, suggesting that a decrease in human activity can lead to a decrease in PM2.5 concentrations. In addition, when population-weighted concentration averages were calculated and the exposure level of the population group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e proportion of people exceeding the air quality standard decreased by approximately 15.5%. Conclusions: Human activities can impact ambient concentrations of PM2.5, potentially altering the levels of PM2.5 exposure in the population.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측정방법에 따른 유물 전시관 내 농도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VOCs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Measurement Methods in Exhibition Hall)

  • 임보아;이선명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5호
    • /
    • pp.25-4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유물 전시관을 대상으로 Active type과 Passive type에 의한 VOCs의 측정 분석법을 사용하여 전시실 내 외의 연중, 계절별 농도를 조사하고 측정방법에 따른 농도 비교를 통해 측정방법 간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Active type에 의한 전시실 TVOC의 연중 평균 농도는 $906.5{\mu}g/m^3$으로 대부분 조사 기간 동안 환경부 기준을 1.8배 이상 초과하였다. Active type에 의한 전시실의 ${\Sigma}VOCs$ 농도는 Passive type 보다 높았다. 일부 VOCs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나 일시적인 상승 경향을 나타내기도 했다. Active type에 의한 전시관의 연평균 I/O비는 TVOC 9.0, ${\Sigma}VOCs$는 34.0으로 조사되어 ${\Sigma}VOCs$가 전시실 내부에서 다량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방법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Sigma}VOCs$의 상관계수는 0.367이었으며 톨루엔은 0.567로 두 분석 방법 간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Effect of Temperature and Bake-out on Formaldehyde Emission from UF Bonded Wood Composites

  • Lee, Young-Kyu;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91-100
    • /
    • 2012
  • This study analysis the effect of various temperatures (20, 35 and $50^{\circ}C$) on the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 composites, which were particleboard (PB),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high density fiberboard (HDF) and laminated HDF (L-HDF) by Japanese desiccator method. Also, to reduce formaldehyde emission by wood composit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undergo a bake-out conditions. On average, the level of formaldehyde emission increased many times with a $15^{\circ}C$ increase in temperature from 20 to $35^{\circ}C$ for PB, MDF, HDF and L-HDF, respectively. Formaldehyde emissions from wood composites could be expect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mbient temperature. At $35$ for 28 days bake-out treatment of boards, the free formaldehyde emission reduced 67.8% (PB), 40.1% (MDF), 37.8% (HDF), and 35.2% (L-HDF). On the other hand, after the bake-out at $50^{\circ}C$ for 28 days,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decreased by 88.2, 66.9, 62.2 and 59.3% of the concentration before the bake-out for PB, MDF, HDF and L-HDF, respectively. An interesting of the bake-out treatment at $50^{\circ}C$ after 14 days, formaldehyde emission grade of PB & MDF down $E_2$ to $E_1$, and HDF & L-HDF down $E_1$ to $E_0$.

Photocatalysis of o-, m- and p-Xylene Using Element-Enhanced Visible-Light Driven Titanium Dioxide

  • Kim, Jong-Tae;Kim, Mo-Keun;Jo, Wan-Kue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195-1201
    • /
    • 2008
  • Enhancing with non-metallic elemental nitrogen(N) is one of several methods that have been proposed to modify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bulk titanium dioxide($TiO_2$), in order to make $TiO_2$ effective under visible-light irradiation. Accordingly, current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applying visible-light-induced $TiO_2$ enhanced with N element to cleanse aromatic compounds, focusing on xylene isomers at indoor air quality(IAQ) levels. The N-enhanced $TiO_2$ was prepared by applying two popular processes, and they were coated by applying two well-known methods. For three o-, m-, and p-xylene, the two coating methods exhibited different photocatalytic oxidation(PCO) efficiencies. Similarly, the two N-doping processes showed different PCO efficiencies. For all three stream flow rates(SFRs), the degradation efficiencies were similar between o-xylene and m,p-xylene. The degradation efficiencies of all target compounds increased as the SFR decreased. The degradation efficiencies determined via a PCO system with N-enhanced visible-light induced $TiO_2$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with ultraviolet(UV)-light induced unmodified $TiO_2$, which was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PCO efficiencies increased up to 94% for o-xylene and 97% for the m,p-xylene under lower SFR(0.5 L $min^{-1}$).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with appropriate SFR conditions, the visible-light-assisted photocatalytic systems could also become important tools for improving IAQ.

ASIC 칩 내장형 비분산 적외선 이산화탄소 가스센서의 온도보상 (Temperature Compensation of NDIR $CO_{2}$ Gas Sensor Implemented with ASIC Chip)

  • 이승환;박종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45
    • /
    • 2007
  • 본 논문은 온도보상의 특성을 보여주는 비분산 적외선 이산화탄소 가스센서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가스센서는 두개의 오목한 반사경을 가진 광 공동, 검출기 출력 전압과 온도센서의 증폭을 위해 동일한 금속 패키지 내에 제작된 ASIC 칩을 포함한 써모파일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다. 새롭게 개발된 센서 모듈은 0 ppm에서 2,000ppm까지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pm}40\;ppm$의 오차를 보였으며, 실험 결과에 기초한 가스농도의 계산 방법으로부터 센서 모듈은 $15^{\circ}C$에서 $35^{\circ}C$ 온도 구간에서 ${\pm}5\;ppm$의 오차를 나타냄으로써 높은 정확성을 가진 자기 온도 보상형 센서를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