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Particulate Matter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몽골 울란바토르시 게르촌 주택의 겨울철 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시간적 변이 (Temporal Variation of Winter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Dwellings in Ger Town of Ulaanbaatar, Mongolia)

  • 이보람;이지영;장예림;김윤지;하헌성;이우석;최우석;김규성;우철운;;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8-105
    • /
    • 2018
  • Objectives: In Mongolian housing, they use coal as a fuel for indoor heating and cooking. The combustion of coal releases particulate matter, which can affect indoor air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PM_{2.5}$ in winter time dwellings in ger town. Methods: In this study, indoor $PM_{2.5}$ concentration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houses were measured by a real-time PM monitor, while the time activity patterns of the residents were also observed.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that may affect the indoor air quality was analyzed.The indoor $PM_{2.5}$ concentrations were $178.4{\pm}152.7{\mu}g/m^3$ (n=37). Five types of indoor $PM_{2.5}$ concentrations have been classified, which were associated with indoor activity. The stove type, fuel types and indoor activities such as cleaning, cooking and opening the stove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door $PM_{2.5}$ levels. Conclusions: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ove type through 24hours of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서울시 도로변의 $PM3.5/NO_2$ 농도비 및 구두수선대 근로자의 노출평가 ($PM3.5/NO_2$ Concentration Ratio in Roadside and Exposure Assessment of Shoes Repairmen in Seoul)

  • 배현주;양원호;김나리;정문호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4호
    • /
    • pp.21-30
    • /
    • 2001
  • Vehicles, especially diesel-using, are a major source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PM), nitrogen dioxide($NO_2$) and so on in metropolitan cities such as Seoul. Therefore workers, who are mainly merchants, near roadside may be highly exposed to air pollutants from exhausted emissions of vehicles. This means that occupational type and location can affect the workers'health by exposure to outdoor pollutions of ambient as well as indoor pollutions of working condi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simultaneously measured the PM3.5 and $NO_2$concentrations in indoor and outdoor of shoes repair shops in Seoul, which were generally located at roadside in Korea. Shoes repairmen were highly exposed to PM3.5 and $NO_2$ both indoor and outdoor of repair shops comparing with other sub-population groups. High exposure to air pollutants for shoes repairmen was considered to be outdoor source from exhausted emission of vehicles and indoor source from working condition. The $PM3.5/NO_2$ concentration ratio was $1.17{\pm}$0.59 in roadside, of which ratio was higher 7han ratios of other studi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major air pollutant in Seoul was fine particle. Also, this PM3.5 to $NO_2$ ratio will be used in environmental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by estimation of PM3.5 concentration as measuring the only $NO_2$ concentration with small and accurate $NO_2$ passive sampler.

  • PD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nd Its Relation to Allergic Diseases among Children: A Case Study at a Primary School in Korea

  • Kim, Ho-Hyun;Kim, Chang-Soo;Lim, Young-Wook;Suh, Min-A;Shin, Dong-Ch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4권3호
    • /
    • pp.157-16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llergic diseases related to allergy caused by the exposure to indoor and outdoor sources of air pollution in primary schools. The symptoms questionnair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was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The past and present status of asthma, allergic rhinitis, eczema, and allergic conjunctivitis were investigated by providing a questionnaire to all the participating children. Questionnaires were sent to a total of 61,350 children from 438 primary schools. A total of 40,522 children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represents a 66.1% return rat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underline{A}$ldehydes, and Particulate Matter ($PM_{10}$) were measured and analyzed from October to December of 2006, in 82 primary schools. The final study population comprised 35,168 children with complete data which excluded incomplete questionnaire responded by 5,354 children. Based on the survey, the level of indoor air contamination did not appear to be high, but 27.2% of the schools evaluated had exceeded the $PM_{10}$ level specified by the school health guidelines ($100\;{\mu}g/m^3$). The overall mean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was $22.07\;{\mu}g/m^3$ and 1.0% of schools (1 school) exceeded the $100\;{\mu}g/m^3$.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have been observed between indoor air quality and prevalence rate of allergic rhinitis and conjunctivitis of primary schools in Korea.

실내.외 공기 중 부유먼지 측정방법 상호간의 비교평가 - 중량법을 대상으로 (Comparative Evaluation of Gravimetric Measurement Methods for Suspended Particles in Indoor and Outdoor Air)

  • 백성옥;박지혜;서영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5-295
    • /
    • 2002
  • In this study, several types of gravimetric methods (such as high, medium, low, and ultra low volume sampling methods) were applied to determin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both ambient and indoor environments. Comparative evaluations were undertaken with SPM data obtained using a variety of samplers (TSP, PM10, and PM4.0) at different sampling flow rate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SP and PM10 concentrations measured at different flow rates fell in the range of 0.73∼0.94 (n=40).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PM concentrations measured by different TSP samplers were in the range of 0.90∼0.95 (n=36 or n=38), while 0.77∼0.91 (n=38) for PM10 samplers.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indoor monitoring data that were measured using ultra-low-volume samplers at both different or identical flow rat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the range of 0.98∼0.99 (n=38) between TSP and TSP and 0.92∼0.94 (n=38) between TSP and PM10. The mean ratio for high volume PM10 to TSP concentration that was monitored at identical flow rates in the ambient air appeared to be 0.72. The mean ratios of PM10 to TSP and PM4.0 to TSP observed with identical flow rates at indoor environments were 0.47 and 0.40.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mpatability of aerosol data obtained by gravimetric sampling methods at different flow rates.

The Occupant Perception and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t Home in Seoul

  • Sohn, Jong-Ryeul;Kim, Young-Whan;Byeon, Sang-Hoon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1호
    • /
    • pp.51-57
    • /
    • 2003
  • 최근 산업장 뿐만아니라 주택에서의 실내환경오염은 대단히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미국 EPA에서는 성인이 하루에 약 80 % 이상을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환 방식의 변화에 인한 최근 도시화 지역에서의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의 문제가 새로운 환경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일본을 비롯한 구미 각 국에서도 21세기 환경문제 중 실내환경(indoor environment) 문제를 최우선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를 토대로 6개의 다른 주거환경을 가진 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오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측정항목은 온도, 습도, CO, $CO_2$, 호흡성분진, 포름알데히드, 총부유세균(TBC)이었으며, 주택의 지역 및 계절별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측정결과 호흡성분진은 주택 5,6 에서 국내의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총부유세균은 흥콩과 싱가폴의 실내기준 권고치인 $500{\;}CFU/m^3$을 초과였고, HCHO는 모든 대상 주택에서 초과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택의 건축년도와 CO, TBC가 0.01 수준에서 유의성 관계를 나타냈으며, 습도는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또한 주택의 거주자 500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결과에서는 대부분 응답자가 실내공기오염에 대하여 인식하고있으며, 실내오염으로 인해 피로>두통>눈 아픔>기침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정화장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에서의 실내공기질을 평가하여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방안을 제시하여 관련 기준을 준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주민들이 쾌적한 삶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비 포괄적인 금연정책을 시행한 호프집의 면적에 따른 실내 PM2.5 농도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Different Sizes of Pubs with Non-comprehensive Smoke-free Regulation)

  • 김정훈;임채윤;이대엽;김혜진;곽수영;이나은;김상환;하권철;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6-132
    • /
    • 2015
  • Objectiv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 smoke-free regulation for pubs with a net indoor area of ${\geq}100m^2$ on January 1,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door levels of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smaller than $2.5{\mu}m$ ($PM_{2.5}$) in implemented and non-implemented pubs in Seoul and Changwon. Methods: $PM_{2.5}$ concentrations in fifty-two $100-150m^2$ (implemented) and fifty-seven < $100m^2$ (non-implemented) pubs were measured. A real-time aerosol monitor was used to measure $PM_{2.5}$ concentrations. Field technicians recorded characteristics of the pubs including net indoor area, indoor volume and presence of smoking rooms and counted the number of burning cigarettes, patrons and vents. Results: Differences between indoor and outdoor $PM_{2.5}$ concentrations in $100-150m^2$ and < $100m^2$ pub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city. Smoking was observed in 33% of $100-150m^2$ pubs and 51% of < $100m^2$ pubs. Average differences between indoor and outdoor $PM_{2.5}$ concentrations in the $100-150m^2$ and < $100m^2$ pubs were $79.2{\mu}g/m^3$ and $155.6{\mu}g/m^3$, respectively. When smokers were not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indoor and outdoor $PM_{2.5}$ concentrations ware $12.4{\mu}g/m^3$ in $100-150m^2$ pubs and $24.5{\mu}g/m^3$ in < $100m^2$ pubs. Conclusion: Although the regulation was implemented only in ${\geq}100m^2$ pubs, a higher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PM_{2.5}$ concentrations was observed in implemented and non-implemented pubs with smokers. Strict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ion in all pubs is needed for better indoor air quality.

황사 발생시 아파트 실내에서 미세먼지 크기별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by Size at an Apartment House During Dusty-Day)

  • 주상우;지준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주택으로서 3인 가구가 거주하는 공급면적 $117.69m^2$의 일반형 아파트를 측정 주택으로 선정하여 실증 측정을 진행하였다. 황사 발생이 포함된 3일 측정기간 동안 미세먼지 변화 특성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관측된 미세먼지($PM_{10}$)를 상대적으로 큰 먼지($PM_{10-2.5}$)와 초미세먼지($PM_{2.5}$)로 나누어 대기와 실내의 먼지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재실자의 활동이 없는 외출이나 취침 기간에는 주택의 침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 중 상대적으로 큰 $PM_{10-2.5}$ 크기 입자는 외기의 풍속이 5 m/s까지 증가하여 침기량이 증가해도 대기 농도 대비 실내 농도비가 7% 이하인 반면, $PM_{2.5}$의 경우 외기 속도가 5 m/s까지 증가하면 5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황사가 심한 대기 상태에도 본 연구의 측정 주택의 경우 실내 $PM_{10-2.5}$는 시평균$15{\mu}g/m^3$로 대기 농도의 5% 수준으로 일상 조건과 비슷했다. 재실자의 활동이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중 초미세먼지를 제외한 상대적으로 큰 먼지는 자연환기와 실내 사람의 움직임과 같은 행동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실내 $PM_{10-2.5}$ 농도는 대기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대기 농도의 약 50%를 차지하는 경우도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 중, 초미세먼지의 발생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굽기나 튀기기가 포함된 조리나 실내 흡연이 없었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미세먼지는 실내 농도가 실외 농도의 추이에 따라 함께 변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외부공기가 침기에 의해 창틈, 문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초미세먼지는 약 30~40% 정도가 제거되고 실내로 많은 비율이 유입되기 때문에 실외 초미세먼지의 실내에 대한 영향이 컸다.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는 측정이 이루어진 대표 주택에 해당하는 것으로, 새로 지어진 기밀 성능이 높은 신축 아파트나 침기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오래된 단독주택에서는 다른 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미세먼지가 다양한 사람 세포주에 미치는 세포 독성 (Cytotoxicity of Particulate Matter in Various Human Cells Lines)

  • 이지현;이주영;김미정;;이성호;전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24-734
    • /
    • 2019
  • 본 연구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인 미세먼지의 발생원에 따라 여러 종류의 사람 세포주에 미치는 세포 독성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세먼지는 자동차의 공기 필터(차 미세먼지, 실외)와 집에 있는 청소기의 필터(집 미세먼지, 실내)에서 유래한 미세먼지를 에탄올 추출법으로 포집하여 여과한 다음 대략 $10{\mu}m$ 이하의 미세먼지를 세포배양액에 첨가하였다. MTT 분석 방법으로 조사된 세포성장의 반억제농도 값($IC_{50}$)은 집 미세먼지보다 차 미세먼지에서 각 세포에 대한 $IC_{50}$ 값이 유의적으로(p<0.05) 더 낮았고, 정상세포주인 섬유아세포(MRC-5) 및 사랑니 유래 중간엽성 성체줄기세포(DSC)에서 $IC_{50}$ 값은 폐암세포주(A-549) 및 위암세포주(AGS)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더 낮았다. 차 미세먼지를 $100{\mu}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1주일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배가시간을 조사하였던 바, 암세포주보다 MRC-5 및 DSC 세포주에서 미세먼지의 처리 후 세포배가시간이 유의적으로(p<0.05) 늘어나는 것을 관찰하였고, 미세먼지에 노출된 세포는 노화 관련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발현이 증가하여 세포의 노화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차 미세먼지를 각 세포주의 $IC_{50}$ 값으로 1주일 동안 처리한 후, 염증 관련 유전자인 COX-2 및 IL-6의 발현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미세먼지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손상을 일으키면서 염증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실내의 유해오염물질 제거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Pollutants in the Cooking Chamber)

  • 권우택;이우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49-1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미세먼지, 악취, 총부유세균 등의 오염물질들이 조리실내로 분산되어 실내공간이나 조리업 종사자에게는 나쁜 냄새나 작업환경 및 건강피해를 감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공기청정기의 단점을 보완하고, 반영구적이며, 각종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과 황토를 결합한 바이오세라믹 필터를 bar type으로 제작한 실내용 소형 공기청정기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측정항목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복합악취, 총부유세균 등 모두 4가지 항목으로 개발된 공기청정기 가동 전과 일정시간 가동 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평균 $2,500{\mu}g/m^3$에서 $223{\mu}g/m^3$으로 약 91.02%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미세먼지의 제거율은 평균 농도가 $26.68{\mu}g/m^3$로서 97.51%의 우수한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복합악취의 희석배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 144로 평균 95.20% 감소하였다. 또 총부유세균은 초기 농도가 $787{\sim}814CFU/m^3$에서 $47{\sim}40CFU/m^3$로 약 94% 이상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발되어진 공기청정기의 바이오세라믹 필터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조리실내에서 환기장치와 렌지후드를 병행하여 사용하면 기존의 열악한 조리실 내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철도차량 객차내 온열환경 측정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Passenger Car)

  • 소진섭;유성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20-125
    • /
    • 2008
  • 환경부는 2006년 12월에 대중교통수단 실내공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관리항목으로 이산화탄소($CO_2$)와 미세먼지(PM10)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객차내 온열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승객이 실내에서 느끼는 온열환경 범위는 어느 정도인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객차 실내를 대상으로 2007년 9월과 10월에 측정을 하였다. 그리고 ASHRAE Handbook에 제시하고 있는 온열환경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 PMV 값은 KTX가 0.1과 0.22, 무궁화호가 0, 새마을호가 0.1로, 이는 ASHRAE Handbook의 -0.5 < PMV < +0.5범위에 만족한 수준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