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GP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폰 센서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실내외 운동 활동의 인식 (Recognition of Indoor and Outdoor Exercising Activities using Smartphone Sensors and Machine Learning)

  • 김재경;주연호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35-242
    • /
    • 2021
  • 스마트폰은 다양한 고성능의 센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간의 활동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인간 활동 인식은 생활 패턴 분석, 운동량 측정, 위험 상황 감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인간의 기본 행동의 인식에 초점을 두거나 효율적인 배터리 사용을 위해 최적의 인식 결과를 내는 방법을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행동에 건강 관리 목적으로 실내 및 실외에서 행해지는 운동 동작을 총 10가지로 정의하여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가속도, 자이로 및 위치 센서의 값을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활동을 인식하기 위해서 SVM 모델 외에 안정적인 성능을 가진 앙상블 기반의 랜덤 포레스트, 그라디언트 부스팅 모델을 결합하여 투표 기반으로 인식 결과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높은 정확도로 정의된 활동의 인식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유사한 종류의 실내 및 실외 운동 활동의 분류가 가능하였다.

Life-Road : 증강현실과 비콘을 사용하는 긴급대피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Life-Road : Development of an Emergency Evacuation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nd Beacon)

  • 조면균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1-15
    • /
    • 2023
  • 최근 사람이 많이 모이는 극장에서 갑자기 화재가 나서, 대피로를 찾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뒤엉켜 다치고 연기를 마시어 질식하는 등 대형 화재 사고가 있었다. 젊은 사람이 대부분인 상황에도 대피하지 못하였는데 만약 노약자였다면 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다. 특히 실내의 경우는 GPS로부터 정확한 위치정보를 전달받기 어렵기 때문에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와 직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대피로를 보여주는 긴급대피 시스템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Beacon)과 화재센서(IoT) 이용한 화재위치 및 대피로 경로 파악을 바탕으로 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긴급대피용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였다. 향후 제안 시스템이 사람이 밀집되는 실내공간에 적용된다면 갑작스런 화재사고에서도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블루투스 스마트 기반의 내비게이팅 시스템 (Application of Navigat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Smart)

  • 이영두;잔 사나 울라;구인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9-76
    • /
    • 2017
  • 블루투스 스마트로 알려진 Bluetooth Low Energy(BLE)는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BLE 기반 디바이스들은 그 구성에 따라 하나의 코인셀(coin cell)로 몇 년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BLE는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두 BLE 디바이스 사이의 근사적 거리를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근거리 영역에서 GPS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LE를 이용한 실제 내비게이션 테스트 베드를 구성하고 실외 근거리 영역에서의 동작을 검증한다. 검증 실험에서 BLE 기반의 비콘들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UUID) 전송하며,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하여 거리값을 추출하고 UUID를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UUID에 바인딩된(binding) 관련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피드백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추출된 거리값과 함께 주변 정보 및 지도상에서 사용자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BLE 기반의 내비게이팅 응용이 실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이 실내 내비게이션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 공간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ystem for Indoor Area by using the Immersive Media's Video Information)

  • 이상윤;안희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7-166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ing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we implement the augmented reality, which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interior space GPS signal does not reach the position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aining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mag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a user in an interior space of a moving object as well as a fixed interior space. This paper constitutes a three dimensional image database based on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refore, to map the various information to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pla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actual. It suggest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the emergency escape and repair to the passengers and employees.

정렬비행을 위한 적응 스칼라 필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calar Adaptive Filter for Formation Flying)

  • 임준규;박찬국;이달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5-46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스칼라 필터와 적응 스칼라 필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외부 실험 과 비슷한 실험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GPS를 대신할 수 있는 초음파 의사위성을 사용하였다. 적응 스칼라 필터는 스칼라 필터와는 달리 적응기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속도오차 공분산과 측정잡음 공분산을 추정한다. 실험결과, 적응 기법을 사용하여 위의 두 파라미터를 연속적으로 추정하는 적응 스칼라 필터의 위치 추정 성능이 스칼라 필터보다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양분야 응용을 위한 의사위성 실내항법기술의 적용 대상별 비교 연구 (The Research of Pseudolite technology by comparison with each applications for marine applications)

  • 심우성;서상현;이상정;박찬식;기창돈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1
    • /
    • 2002
  • A term of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s widely used to represent a navigation method for global area using satellite in space orbit 1his system can provide accurate and continuous position, and timing sources synchronized to UTC. There are, however, certain disadvantage that system can not operate without line of sight environment to satellite, or system failure of either satellite or control station. It is the pseduolite technology for using indoor and also for back-up equipment of foreign system failure. Especially, ocean applications widely use the GNSS system for navigation, surveying, timing, and management of traffic, so, system failure of GNSS will be very critical problem to affect many aspects of ocean field. In this paper, we experimented the pseudolite technology for several application field to compare the result in different environment. We used the common CDGPS algorithm for in-door navigation and experimented in ocean engineering basin with metallic wall and gymnasiums with concrete wall. We also investigated the comparison result and considerations for ocean applications of pseudolite technology.

  • PDF

ROLL AND PITCH ESTIMATION VIA AN ACCELEROMETER ARRAY AND SENSOR NETWORKS

  • Baek, W.;Song, B.;Kim, Y.;Hong, S.K.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753-760
    • /
    • 2007
  • In this paper, a roll and pitch estimation algorithm using a set of accelerometers and wireless sensor networks(S/N) is presented for use in a passenger vehicle. While an inertial measurement unit(IMU) is generally used for roll/pitch estimation, performance may be degraded in the presence of longitudinal acceleration and yaw motion. To compensate for this performance degradation, a new roll and pitch estimation algorithm is proposed that uses an accelerometer array,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and in-vehicle networks to get information from yaw rate and roll rate sensors. Angular acceleration and roll and pitch approximation are first calculated based on vehicle kinematics. A discrete Kalman filter is then applied to estimate both roll and pitch more precisely by reducing noise from the running engine and from road disturbance. Finall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shown by comparing its performance experimentally with that of an IMU in the framework of an indoor test platform as well as a test vehicle.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Zigbee를 적용한 위치추정시스템 구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by using Zigbee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정석;김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120-2126
    • /
    • 2010
  • 본 논문은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Zigbee를 적용한 위치추정시스템을 구현 하고자 하였다.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기반의 위치인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인식 서비스는 사물이나 사람의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표현하여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위치추정시스템은 실내 및 실외를 음영지역 없이 이동노드의 추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실내추정의 경우 RSSI신호를 이용하며 실외추정의 경우 GPS를 연동하여 위치를 추정하였다. 또한 Zigbee를 적용하여 무선 센서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이동노드의 위치를 제공받아 실시간 위치추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LED 조명 기반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방향 검출 및 자율주행 (Direc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LED lighting-based indoor location recognition system)

  • 방재혁;박수만;이건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98-1299
    • /
    • 2015
  • 이동 로봇의 자기 위치 인식 방법으로 GPS를 많이 이용하지만 건물 내부공간에서는 위성신호 수신 장애가 있기 때문에 GPS 사용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내 측위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WiFi를 이용한 방법이 일부 상용화 되고 있으나 정밀도가 3~5m라는 한계가 있으며, LED 조명을 이용한 방법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 연구실에서도 LED조명을 기반으로 한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에 덧붙여 두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로봇의 방향인식오류 개선 및 이동 로봇의 자율주행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이동로봇, 조명제어장치 그리고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동로봇은 상용화된 마이크로 마우스에 탑재된 조명신호 수신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며, 컴퓨터와의 Wi-Fi 통신으로 자신의 위치를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위치 명령을 수신한다. 컴퓨터에서는 수신 받은 이동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이동로봇에 전달할 위치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경로를 설정한 후 이동로봇으로 명령을 보내면 로봇은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를 비교하며 자율주행을 하게 된다.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지난연구의 방향인식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제시된 시스템으로 실내공간에서도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이 원만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BLE Beacon을 이용한 실내 Networked Drone의 제어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controlling indoor Networked Drone based on BLE Beacon)

  • 김수혁;정동언;김윤호;박예찬;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7-838
    • /
    • 2016
  • 최근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홈 기술의 발달과 Drone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카메라는 정해진 구역을 모니터링 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로 실내에 미리 배치된 Drone이 이동하여 해당 목적지를 비춰줄 수 있도록 실내 보안카메라 기술을 Drone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목적지를 인식하기 위해 실내에 위치한 Drone과 목적지의 위치값을 알아야 한다. 실내에선 GPS 좌표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BLE Beacon이 발생시키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위치, 거리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시킨다면 매번 모니터링이 필요한 구역에 새로 보안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배선공사하는 불편함 없이 하나의 Drone 하드웨어를 이용한 전방위 모니터링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