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A지역 의과대학생의 문화성향, 도덕성,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Disposition, Mor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in a Province of Korea)

  • 이선영;안병덕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1호
    • /
    • pp.26-37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ltural disposition, mor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to determine how these factors might relate to curriculum planning in medical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86 medical students. The questionnaire used included th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scale,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the defining issues test. To evaluat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we classified students into four categories-low, individual, collective, or mixed cultural disposition-using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vertical/horizontal dimensions. We foun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and in earlier academic years had higher collectivism than individualism and the males had higher individualism than the fema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ality or psychological health by the students' sex, age, or academic year. Horizontal collectivism and moral judg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0.150, p<0.05), as did stage 6 morality and symptoms of damaged psychological health (r=-0.156, p<0.05). Other than these relationship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and morality or between mor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found. Cultural disposition did have correlations with various aspects of psychological health; specifically,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obic anxiety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psychotic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nd hostility and horizontal collectivism. The four cultural disposition categories showed relationships not with morality but with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and phobic anxiety. We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edical education.

개인 문화성향에 따른 정보 인식과 태도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and Attitude by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는 개인의 다양한 문화성향이 맥락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인지와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 문화성향의 파악을 위해 개인주의/집단주의에 수직적/수평적 차원을 첨가하여 네 그룹으로 분류하는 Triandis(1988)의 척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실험결과 수평적 집단주의의 성향을 가진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수직적 개인주의의 성향은 한국 학생들에게 드물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한 맥락적 정보인지에 대한 조사에서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의 개인들이 더 많은 맥락적 정보인지를 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Why Korean Young Women Consumers Buy Luxury Goods?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and Media Use

  • Cha, Yuri;Kwon, Yeji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8권2호
    • /
    • pp.23-32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disposition (Chemyeon, Noonchi, Woozzul), media use, and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consump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analyzed online survey data for 300 Korean Women between 20 and 39 years of age who lived in Seoul, capital of South Korea.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cognition of luxury goods, Sobel test.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 IBM SPSS 23.0. Results - The finding suggests that cultural disposition (Chemyeon, Noonchi, conspicuous Woozzu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erceived self-identity,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The effects of Chemyeon, Noonchi, and selfish Woozzul on the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was fully mediated by perceived self-identity. However, association between conspicuous Woozzul and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self-identity. Regarding media eff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lfish Woozzul and amount of time spent on TV on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as well as between selfish Woozzul and amount of time spent on Internet.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uxury goods consumption of Korean young women is consumer behavior that reflects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and media use.

수학을 싫어하는 학생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Why Students Dislike Math)

  • 라병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2호
    • /
    • pp.75-83
    • /
    • 199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y students do not like math using deep-level interview method. The reasons of why students dislike math were classified into three: socio-cultural, and individual factors, and math itself.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 the environments where students are reared, family, and school culture. Individual factors mean competitive disposition, preconception of math, active disposition, and conflicts with friends or teachers. Finally, students seem to dislike math because math itself is a difficult subject. In addition, textbook and instruction are also difficult, or they are lack of fundamental math knowledge. There may be other reasons of why students do not like math subject. In spite of those reasons, there should be some efforts to analyze why students dislike math and to help the students have interests in math.

  • PDF

문화성향과 분석적-종합적 사고유형의 조합에 따른 전역/국소처리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Global/Local Processing of Combined Groups of Cultural Dispositions and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s)

  • 주미정;이재식
    • 인지과학
    • /
    • 제23권2호
    • /
    • pp.269-29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성향과 인지양식의 조합 조건에 따라 전역/국소처리에서 어떠한 차이가 관찰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의 문화성향 질문지(INDCOL)와 Choi 등[2]의 인지양식 질문지(AHS)에 기초하여 실험참가자들의 네 유형의 문화성향(개인주의, 집단주의, 수평 성향 및 수직 성향) 점수와 인지양식 유형(분석적 또는 종합적 사고)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복합자극 유형(화살표로 구성된 복합도형 또는 알파벳 낱자로 구성된 복합문자)에 대한 전역/국소처리에서의 반응시간과 오반응율에서의 차이를 집단에 따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복합문자보다는 복합도형의 경우, 그리고 국소처리 조건보다는 전역처리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더 빨랐다. (2) 개인주의 성향과 수평 성향이 인지양식 유형과 각각 결합된 경우 전역/국소처리에서 집단간 반응시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3) 집단주의 성향과 수직 성향이 인지양식과 각각 결합된 집단의 경우에는 전역/국소처리에 대한 문화성향과 인지양식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주의 성향 또는 수평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 또는 수직 성향이 종합적 사고 유형과 결합될 때 더 큰 전역선행성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문화성향과 종결욕구에 따른 틀효과에서의 차이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ultural Disposition and Need for Cognitive Closure on Framing Effects)

  • 주미정;이재식
    • 인지과학
    • /
    • 제24권2호
    • /
    • pp.173-201
    • /
    • 2013
  •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또는 수평적-수직적 사고)과 종결욕구 수준(저-고집단)의 조합에 따른 틀효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의 INDCOL 척도와 이성수[2]의 NFC 척도를 사용하여 문화성향과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 다섯 가지의 의사결정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추구와 위험회피의 틀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득틀 조건에서는 위험회피 대안의 선택 비율이, 반면 손실틀 조건에서는 위험추구 대안의 선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2) 두 가지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수평적-수직적 사고성향)에 따른 틀효과 차이는 각각 유의하지 않았으나, 종결욕구가 높은 집단은 종결욕구가 낮은 집단에 비해 손실틀 조건에서 위험추구 대안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3) 개인주의 문화성향과 수평적 사고성향에서는 종결욕구 수준에 따른 틀효과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수직적 사고성향에서는 종결욕구 수준에 따른 틀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틀효과에 대한 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수직적 사고성향의 영향은 종결욕구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에서만 관찰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on the Elder's Subjective Happiness

  • Bang, Sung-a;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3-1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affecting factors for the elder's happiness. For this study, we analyzed data using HLM. Data include a world value survey(hereafter, WVS) as personal level analysis data and also OECD's Social Expenditure Database(hereafter, SOCX) and database from the World Bank as national level analysis data. The subjects of personal level analysis were the elder who are over 65-years od age, and they were total 3,297 people, and while the subjects of national level analysis were total 9 OECD countries. For the data analysis, hierarchial linear model(HLM) analysis was done by using HML 7.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for the elderly's happiness, they should improve self-disposition, members of social groups, and social class. Second, the old-age pension and the survivor's pension had no meaningful effect on the happiness. but it was found that self - disposition, social class, gender, and health status showed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old - age pension, survivor pension, per capita GDP, income inequality.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should be made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n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A Study on the Bobos Style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rend - Focusing on the Bobos feature in Korea -

  • Han, Gwi-Ja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3호
    • /
    • pp.59-69
    • /
    • 2004
  • This thesis has an intention to examine how much Bobos, which has appeared as a new ruling class in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economy, has had an influence on the fashion design and which aspect Bobos fashion assumes specifically. The existence of Bobos in Korea and its cultural disposition are examined. To do so,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performed for 400 persons.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shown that they control themselves thoroughly through exercise and have much interest in their health; for example, they prefe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nonpolluting foods. They also consume goods reasonably, emphasizing on their own individuality, rather than purchase high-price articles for no good reason, and enjoy their life while seeking for success in the society. Such a disposition is almost same as that in the U.S, showing a small difference in the occupation or origins. It is examined which aspect Bobos fashion design, a new trend, assumes in more detail. Bobos seeks for a thing that is not cheap, has a recognized brand, and is not behind the fashion. They like the nature friendly, classical, and not vulgar thing. design should be casual and practical,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 should be good. Especially, an individual disposition is emphasized in Bobos fashion, in which they disregard a brand and try to be the subject of a trend, by creating a fashion by themselves, to express their originality freely. Bobos fashion the first style it harmonizes the appear things not to be matching with each other and depending on pursuing the mix & match. The second style of Bobos fashion nature is friendship and fight. The hazard which it does like that the fact that it attempts is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idea. The namely design is an utility cheap assuredly with high-class characteristic of subject matter is not a recognize cheap. The third style of Bobos fashion is expressed in nostalgic about the art. Of course Bobos style is not a possibility fashion as main stream of doing still today, but the effect of Bobos is magnified gradually from cultural, social, economic area. It analyzes style is a tendency where trend of the consumer is gradually converted marketing.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Bobos class, which has not been examined yet systematically, and the fashion are connected closely, and the fashion trend in the next is examined.

1990년대 한국 신세대문화의 속성과 제품디자인 경향 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about Korean Cultural Properties of New Generation and Its Product Design)

  • 박규현;박성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1-210
    • /
    • 2000
  • 문화의 흐름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러한 문화의 변화는 항상 새로운 세대에 의하여 주도되어져왔다 현재도 우리는 신세대에 의한 새로운 문화의 사조에 접해있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문화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10대에서 20대 중반에 이르는 이 시대의 젊은 계층, 소위 신세대집단(新世代集團)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허리끈을 졸라매어 온 지난 세대와는 달리 경제적 풍요 속에서 그들 나름의 독특한 소비중심의 구매 패턴에 익숙해 져온 세대들이므로 기업으로서는 그들의 소비잠재력에 매력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IMF의 한파가 끝나가고 21세기가 시작된 오늘날 소비시장에 있어서 이제 신세대는 강력한 단일 소비계층의 세력으로 자리잡으면서 점점 더 폭발적이고 파괴적인 구매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 시점에서 이들의 소비문화와 성향을 조사 연구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기성 디자이너들은 이들의 성향과 문화적 속성을 면밀히 검토 파악한 바탕 위에 마케팅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며, 더불어 이들을 미래의 소비집단으로 계속해서 이끌어 가기 위하여서는 세대가 바뀔 때마다 새로이 진압되는 신세대들의 문화의 속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계속적인 관찰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 Case of Large Discount Store)

  • 황순호;오종철;윤성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09-237
    • /
    • 2012
  •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여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