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moxibus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온침 열특성의 기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f Air Flow Effects on Heat Characteristics of Warm Needle Acupuncture)

  • 김정우;이혜정;이승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7권4호
    • /
    • pp.35-47
    • /
    • 2010
  • Objectives : To characterize the thermal properties of traditional warm needle and new warm needle with various air flows a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suitable environment of clinics to maximize their efficacy. Methods : We measured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oxa warm needle and new moxa charcoal warm needle by applying an automatic temperature acquisition system with thermocouples while external various air flows were supplied. Temperatures of two positions at the needle body were measured while a moxa cone burned. Typica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like peak temperature, duration, curve shape and the efficiency of the heat stimuli by heat amount analysis were executed. Results : Both warm needles showed similar temperature curve with an increase in the air flow. Peak temperature and duration of effective heat decreased with the air flow, as shown in indirect moxibustion on garlic. The temperature change pattern by the air flow became more apparent when the total combustion heat was compared with the effective heat. The values from two positions on the needle bod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howing a distance dependency from the heat source of warm needle acupuncture. Conclusions : Thermal properties of warm needle acupuncture was observed variously with surrounding air flow of 0.0 - 0.7 m/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trol as well as the warm needle itself such as heat source and needle. The latter has already been known to deliver designated heat to subjects. It also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skill of the practitioners of warm needle acupuncture.

급성 골수성 백혈병 10세 환아의 한방적 처치에 대한 증례보고 (The Clinical Study on a Case of Acute Myelogenous Leukemia)

  • 하광수;송인선;신지나;이정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9-59
    • /
    • 2004
  • 저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아의 범혈구감소증으로 인한 출혈(出血)소견과 전신자반증(全身紫班症), 정신의식계통의 혼돈(混沌)과 극도의 허손(虛損)상태를 경험하고 이를 한방적으로 접근하여 짧은 기간이었으나마 호전도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백혈병은 아직까지는 한방으로 완치(完治)라는 것이 어려운 분야이지만, 일차적으로 관해 유도법을 도입하기전이나 관해 후의 허손(虛損)으로 환자의 체력이 됫받침되지 못할때 충분히 양방과 협진하여 그 효과를 입증할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직까지 한방분야에서 백혈병 등의 혈액암에 있어서는 그 문헌적인 연구는 미흡하나마 존재하지만, 임상적인 연구나 치료방법적인 면으로는 보고된 바가 부족하며 이 논문을 계기로 다양한 임상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PDF

Guiillain-Barre 증후군 환자의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Guillain-Barre syndrome)

  • 김기훈;신동길;이진용;조백건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11
    • /
    • 2003
  • 저자는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부속한방(附屬韓方) 병원(病院)에 내원한 Guillain-Barre syndrome 환자를 한약(韓藥)과 간접염(間接炎) 및 침치료(鍼治療를) 사용하여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적인 항문거근증후군 치료 사례 (Chronic Levator Ani Syndrome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 Case Report)

  • 손창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118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임상에서 종종 마주치는 만성적이고 낫지 않는 항문거근증후군 환자의 한의학적 치료 유용성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 14년 전에 치질수술 후에 발생한 항문통증이 개선되지 않고 지속되어 고통스러웠던 47세 남자 환자의 병력과 한의학적 치료 후의 임상적 개선과정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결과: 환자는 평소 건강하였는데, 치질수술 후에 대변을 보면 시작되는 항문통이 발생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전 내내 불편함이 지속되었다. 14년 동안 종종 줄어들기도 하였지만 점진적으로 심해지는 경과를 보였고, 특히 1년 전부터는 더욱 심해졌으나 다양한 치료에도 호전이 없었다. 외국에 거주하는 이유로 한국에 방문하는 기회에 본원에서 한의학적 변증 하에 한약치료 및 약침을 포함하는 침치료와 뜸 치료 후 빠르게 호전되었다. 8주 정도의 치료 후에 NRS 2로 개선되어 만족한 상태로 출국하였다. 결론: 본 증례는 특별한 치료법이 부재하는 만성적이거나 혹은 난치성 항문거근증후군에 대하여 한의학적 치료법이 하나의 훌륭한 치료법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임상 예로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양한방 복합투여로 장기간 생존을 보인 폐암 환자 2례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mbined with Western Treatment: Report of Two Cases)

  • 강지영;김준영;손창규;조정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8
    • /
    • 2015
  • 목 적: 소세포 폐암 및 전이성 폐암은 폐암 중에서도 가장 예후가 불량하고 생존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난치성 폐암 환자에 대해 한방치료가 생존 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관리면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대상: 본원에서 입원 및 통원치료를 병행한 소세포폐암 환자 1명과 원발성 간암에서 폐로 전이된 전이성 폐암 환자 1명에 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 및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치료기간은 각각 2000년 1월-2009년 12월과 2004년 9월-2014년 2월이었으며 한약치료는 평균 1개월 간격으로 행해졌으며 입원기간 동안에는 한약치료를 포함한 침구치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치료효과 및 경과 판정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 및 혈액검사를 평균 1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내원시마다 환자의 증상 및 상태를 확인하였다. 결 과: 2명의 폐암 환자 모두 꾸준한 한방치료를 받으며 진단시점부터 9년 이상의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비교적 좋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종양으로 인한 임상경과 또한 완만하게 진행이 되었다. 결 론: 본 증례는 한방치료가 불응성 폐암 환자에 대해 삶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증상 조절 및 종양의 진행양상을 완화시켜 주며 나아가 생존기간 연장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방 치료로 고안드로겐혈증을 개선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연속증례연구 (A Case Seri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with Improved Hyperandrogenism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 신혜규;배지용;지영근;안해인;윤영흠;김남권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5-191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cal record of eight cas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in a local Korean medicine clinic, in order to provide evidence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PCO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eight cases diagnosed with PCOS based on 2003 Rotterdam Criteria and whose total testosterone level was 0.53 ng/ml and over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rimary outcome was total testosterone level, and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evels, LH/FSH ratio, weight, last mentrual period (LMP), numerical rating scale (NRS) score of dysmenorrhea, and other associated symptoms pre- and post-treatment. Korean medicine treatment consists of the complex herbal prescription consisting of Yukmijihwang-tang, Baekho-tang, Daesiho-tang, and Gyejibokryeong-hwan, modified according to symptoms;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on 中脘 (CV12), 下脘 (CV10), 關元 (CV4), 石門 (CV5), 合谷 (LI4), 太衝 (LR3), 三陰交 (SP6), and 懸鍾 (GB39); and indirect moxibustion on 神闕 (CV8). Results: The average total testosterone level low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The average FSH and LH levels lowered with insignificance, while the average LH/FSH ratio and weight low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period of three to six months, every patient had the menstrual cycle shortened except for one case; and two cases with infertility problem succeeded in being pregnant. There was no adverse event. Conclusions: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found effective in treating PCOS, especially regarding hyperandrogenism,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and infer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