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Of Attack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가 만드는 항균 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 김마리;이수진;설경조;박유미;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4-32
    • /
    • 2009
  • 숙성 정도가 오래된 김장 배추 김치에서 분리되어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부분 동정된 KNUC25 분리 균주를 단백질 전기 영동 패턴과 생리적 특징 그리고 염기 서열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Lactobacillus paraplantarum로 동정하였다. L. paraplantarum KNUC25의 농축 상등액은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에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전자 현미경을 통해 KNUC25가 만들어내는 항균 물질은 세균의 표면에 작용하여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균 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최적 온도는 섭씨 30도이고, 높은 온도에서도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에 안정하며 비단백질성 항균 물질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를 위한 Security Ticket 기반의 CERT/CC 설계 및 관리 (Design and Control of Security Ticket Based CERT/CC System for Quantified Incident Management)

  • 김선태;박대우;전문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9-248
    • /
    • 2007
  • 최근까지의 침해사고 대응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 침해사고대응팀(CERT/CC)과 국가 또는 대형기관의 침해사고대응팀(CERT)의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일반기업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기업의 IT 운영환경에 적합한 침해사고 대응절차를 수립하고, 침해사고 관리의 위협요소, 공격요소, 대응요소를 분석하여 Security Ticket을 기반으로 하는 침해사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방안을 토대로 침해사고 대응실험을 실시하여 제안한 CERT 모델의 유효성과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방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기업에서는 CERT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미 CERT를 운영하는 조직에서는 침해사고 대응결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 PDF

위험 관리를 위한 MITRE ATT&CK 기반의 정량적 보안 지표 (A Quantitative Security Metric Based on MITRE ATT&CK for Risk Management)

  • 김해린;이승운;홍수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53-60
    • /
    • 2024
  • 안전한 네트워크를 위해 보안 평가는 필수불가결한 과정으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성능지표가 있어야 한다.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정량적 지표로는 CVSS가 있다. CVSS는 주관성과 해석의 복잡성, 보안 위험의 관점에서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ISO/IEC 15408 문서의 보안 개념 및 관계도를 바탕으로 공격자, 위협, 대응, 자산의 4가지를 항목화하고 수치화 하는 지표를 제안한다. 네트워크 스캐닝을 통해 발견된 취약점은 약점, 공격패턴의 연결관계에 의해 MITRE ATT&CK의 기술과 매핑시킬 수 있다. 우리는 MITRE ATT&CK 의 Groups, Tactic, Mitigations을 이용하여 일관성을 가지며 직관적인 점수를 산출한다. 이에 따라 보안 평가 관리자가 다양한 관점의 보안지표 중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히고, 사이버 네트워크의 보안을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한다.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를 위한 Security Ticket 기반의 침해사고 관리시스템(CERT) 설계 및 관리방안 연구 (A Study and Design on security ticket based CERT system for quantified incident management)

  • 김선태;전문석;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50
    • /
    • 2007
  • 최근까지의 침해사고 대응에 대한 연구는 국제적 침해사고대응팀(CERT/CC)과 국가 또는 대형기관의 침해사고대응팀(CERT)의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일반기업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기업의 IT 운영환경에 적합한 침해사고 대응절차를 수립하고, 침해사고 관리의 위협요소, 공격요소, 대응요소를 분석하여 Security Ticket을 기반으로 하는 침해사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방안을 토대로 침해사고 대응실험을 실시하여 제안한 CERT 모델의 유효성과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방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기업에서는 CERT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미 CERT를 운영하는 조직에서는 침해사고 대응결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다.

  • PDF

영구 지반앵커에 대한 부식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Corrosion Effects on Permanent Ground Anchors)

  • Park, Hee-Mun;Park, Seong-Wa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7-36
    • /
    • 2004
  • 극성저항 계측법과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학을 이용하여 영구적 지반 앵커의 부식율을 계측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극성저항 계측법을 이용하여 대표지반의 종류와 철의 부식률에 관한 특성관계를 도출하였고,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학을 이용하여 시간의존 부식 반응과 다양한 종류의 코우팅 시스템의 평가, 그리고 시멘트 그라우팅이 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점성토와 사질토의 pH 지수가 5이하인 경우 부식발생이 용이한 지반으로서 영구적 지반 앵커의 부식반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된다. 또한 중성 또는 알카리성의 지반은 부식진행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부식률은 pH지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결과를 보였다. 포설린 점성토의 경우 pH지수의 변화가 철의 부식에 매우 낮은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멘트 그라우팅의 사용은 철의 부식율을 약 0.003-0.0lmm/y 정도로 낮출 수 있었으며 에폭시 혼합 코우팅의 경우도 부식의 영향을 받지않고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부식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비브리오 패혈증에 미치는 LDL의 영향 (The Effect of LDL on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 김종현;김종석;류완희;허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3-217
    • /
    • 2006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어패류와 바닷물에 의해 간경화 같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 주로 감염되어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항생제 같은 대증적 요법 외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혈중 LDL같은 지단백질 이 감염 과 염증반응에 중요한 방어작용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졌다. 따라서 LDL이 비브리오 패혈증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해 보았다.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을 배양하고, 대표적인 병태 인자인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를 추출하여 cytolysin의 용혈 활성에 혈청, 콜레스테롤 및 LD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우스에 직접 LDL를 복강 내 주입하여 혈중농도를 변화시킨 후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의 마우스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북 지역 대학 병원에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에서 생존한 환자와 사망한 환자의 콜레스테롤과 LDL를 조사하였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의 용혈 활성은 혈청, cholesterol 및 LDL에 의해 억제되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의 마우스 사망률은 LDL을 주입한 경우 40%나 사망률이 낮게 나타났다. 전북 지역 대학 병원에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입원 중인 환자 (15명)의 혈액 분석에서 정상 수준의 콜레스테롤 $(190.8{\pm}16.3)$과 혈청 지단백질 LDL $(53.3{\pm}40.7)$을 가진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4명). 그러나 정상보다 낮은 수치 ($35.6{\pm}13.9,\;LDL;\;59.2{\pm}15.1$, 콜레스테롤)를 보이는 환자는 사망하였다 (11명). 콜레스테롤과 LDL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cytolysin의 독작용의 억제 요소로서, 비브리오 패혈증의 예후에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또한 이는 콜레스테롤과 LDL이 비브리오 패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