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ipient caries enamel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과 Laser Fluorescence를 이용한 평활면 초기우식증의 재광화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OF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 AND LASER FLUORESCENCE IN MONITORING THE REMINERALIZATION PROCESS OF INCIPIENT SMOOTH SURFACE ENAMEL LESIONS)

  • 황규선;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3-191
    • /
    • 2007
  • 본 연구는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DIFOTI)이나 Laser Fluorescence(LF)를 이용한 방법이 평활면 법랑질 초기우식증의 재광화 정도를 정확하게 monitoring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우치 법랑질로부터 얻어진 인공 우식 절편을 특별히 제작된 의치에 식립한 다음, 10명의 실험 참가자들이 구강 내에 장착하고 3주 동안 불소 양치용액을 사용하도록 한 다음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CLSM)로 측정된 병소 깊이를 gold standard로 사용하여 DIFOTI와 LF로 측정 된 우식 절편의 재광화 정도를 비교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IFOTI에 측정된 광도 백분율이 재광화 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CLSM에서 측정된 병소 깊이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683, p<0.01). 2. LF 측정치는 재광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CLSM에서 측정된 병소 깊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CLSM 촬영 결과 500 ppm 불소 양치군이 0 ppm 불소 양치군보다 빠른 속도로 병소 깊이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치아우식증의 조기진단을 위한 고감도 우식활성검사 모형개발 (DEVELOPMENT OF HIGH SENSITIVE MODEL OF CARIES ACTIVITY TEST FOR EARLY DIAGNOSIS OF DENTAL CARIES)

  • 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9-179
    • /
    • 2000
  • 초기 우식병소와 건전한 치질은 광학적 특성 이 다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치과 치료용으로 개발된 가시광선 영역의 아르곤 레이저의 형광현상, 즉 물체에 조사되어 반사된 및은 물체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파장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우식 치질과 건전한 치질간의 광학적 특성의 차이를 아르곤 레이저 빛을 통한 색조의 차이로 유도 전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초기 치아우식 병소를 조기에 시각적으로 탐지하여 data화 하는 새로운 우식활성검사법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는 3단계로 나누어 1단계는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의 초기 우식병소 탐지능력을 평가하였으며 2단계는 임상에서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초기 우식병소가 있는 치아의 갯수를 집계하고 이 수치에 대한 우식활성검사법인 $Cariescreen^{(R)}$ test, 그리고 일종의 구강환경검사인 우식경험치아의 수(dDfFtT) 검사와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3단계는 이와 같은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는 새로운 우식활성검사 모델을 만들고 이와 같은 검사법의 민감도, 타당도, 진단력 등을 분석하여 진단학적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우식병소의 조직학적 깊이가 증가될수록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광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들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 (=0.7015)가 있었다. 또한 통계학적으로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병소의 깊이와 광밀도와 사이에는 정비례 관계의 직선방정식 관계를 나타내었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검사법은 $Cariescreen^{(R)}$ test 그리고 dDfFtT 검사 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 검사법은 dDfFtT검사를 기준으로 48%의 민감도, 52%의 특이도, 45%의 진단력을 보였으며 $Cariescreen^{(R)}$ test를 기준으로 48%의 민감도, 51%의 특이도, 36%의 진단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초기 우식병소의 광밀도는 실제 초기우식병소의 조직학적병소의 깊이를 평가하는데 높은 진단학적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검사는 진단학적 지표를 기준으로 볼 때, 그리고 검사절차와 시간, 비용 등의 면으로 볼 때 향후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WHO basic methods와 International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System II (ICDAS-II)를 사용한 전주시 청소년의 우식상태 조사 (Evaluation of Caries Status among Adolescents in Jeonju City with WHO Basic Methods, International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System II (ICDAS-II))

  • 박기봉;김도영;이대우;김재환;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82-390
    • /
    • 2016
  • 청소년기에는 초기 우식 병소를 진단 기준에 포함시키는 것이 더 유리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WHO basic methods 와 ICDAS-II 점수를 활용하여 13세와 16세 청소년의 우식 상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3.71, 우식영구치지수는 1.94이었으며 16세에서 13세보다 높았다. 군별로는 대구치, 소구치, 전치의 순으로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영구치 지수가 높았다. 전체 치아의 ICDAS-II code 0은 77.46%이었으며, 후방치열로 갈수록 우식치아의 수가 증가하였다. 전치와 소구치의 우식은 모두 법랑질에 국한되었다. ICDAS-II 점수는 초기우식병소 발견에 용이하여 우식관리의 예방적 접근이 가능한 방법이다.

레이저 형광법의 치아우식증 진단감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필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ILTERING SYSTEM OF LASER FLUORESCENCE FOR IMPROVEMENT OF THE DIAGNOSTIC SENSITIVITY FOR DENTAL CARIES)

  • 이상호;박종휘;국중기;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9-19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해 초기 치아우식증을 광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진단감도를 높이는 것이다. 소의 치아를 STPP 인공우식병소 유발용액에 침잠시키고 다양한 깊이의 병소를 유발한 후 표면에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해 형광현상을 유도하고 여러 가지 필터를 부착한 CCD 카메라로 이와 같은 형광현상을 촬영하여 컴퓨터로 전송하였다. 컴퓨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필터는 노랑색, 호박색, 오렌지색, 그리고 빨강색이였으며 광밀도를 측정한 후에는 치아 시편을 절단하여 편광현미경으로 실제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를 측정하고 병소의 깊이와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가 증가될수록 호박색과 오렌지색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는 증가되었다. 2. 병소 표면에서의 광밀도와 조직학적 병소의 깊이 사이의 상관계수는 오렌지색 필터가 가장 컸으며(r=0.49), 다음 호박색(r=0.32) 노랑색(r=0.13), 빨강색(r=0.01) 순 이였다. 3. 회귀분석결과 오렌지색 필터를 사용한 경우 병소표면에서의 광밀도와 조직학적 깊이 사이에 가장 직선에 가까운 회귀방정식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렌지색 필터가 건전치질과 우식치질 사이의 색조대비를 잘 표현하여 진단감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레이저 형광법으로 치아우식증의 조기탐지는 물론 비침습적 방법으로 치아우식증의 진행정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influence of different scan resolutions on the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lesions

  • Ferreira, Liana Matos;Queiroz, Polyane Mazucatto;Santaella, Gustavo Machado;Wenzel, Ann;Groppo, Francisco Carlos;Haiter-Neto, Francisc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2호
    • /
    • pp.97-10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of a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 (PSP) radiography system on the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five extracted human permanent teeth were radiographed using a PSP system (VistaScan Perio Plus) and scanned at the 4 resolutions (10 lp/mm, 20 lp/mm, 25 lp/mm, and 40 lp/mm) available in the system. Three independent examiners scored the images fo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proximal caries lesions using a 5-point sca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ies was confirmed by histological sections of the examined teeth (defined as the gold standard). Intra- and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was calculated by the weighted kappa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post hoc Tukey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classifications made with each resolution. Results: For the detection of enamel lesions, the spatial resolution of 10 lp/mm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other resolutions. However, the spatial resolution did not affect the detection of caries lesions in dentin (P>0.05). Conclusion: Spatial resolution may influence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of incipient caries lesions in radiographs with PSP plates. Images with low spatial resolution seem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is purpose.

법랑질 인공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H ON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DENTAL CARIES)

  • 김민경;금기연;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193-208
    • /
    • 1997
  • Much evidence now exists from both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to support the claim that small caries lesions can 'heal'. But, there are still different views on the mechanism of remineralization. So in order to find the best condition for the remineralization of incipient dental caries in maximum efficient way, the author conducted the experiment which reveals the effect of pH on remineralization. 40 specimens of sound permanent teeth without demineralization or crack, $100{\mu}m$ in thickness, were immersed in lactic acid buffered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4 days. Dental caries with surface zone and subsurface lesion were artificially produced.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lactic acid buffered remineralization solution of pH 4.0, 4.5, 5.0, 5.5 containg fluoride ion for 10 days. The results were obtaind by observing the specimens for every 10 days under polarized microscopy at x25. 1. Remineralization did not occur in entire depth of body of lesion at given degree of saturation and concentration of fluoride ion. 2. The pattern of remineraliz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pH.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upersaturated solution with fluoride ion can be affected by pH in remineralization of enamel, and pH 5.5 seems to be very effective in remineralization of deep and surface zone of dental caries. However, more complex factors exist in achieving complete remineralization and further continuous researches are needed to clarify the factors.

  • PDF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S BY APF GEL AND CPP-ACP PASTE ON INCIPIENT ARTIFICIAL CARIES OF ENAMEL)

  • 강지선;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84-691
    • /
    • 2008
  • 많은 연구에서 불소 이온을 이용한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재광화 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다. 불소는 치아우식을 예방하고 재광화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하지만 불소를 이용한 재광화는 하부의 탈회 병소를 충분히 광화시키지 못하며 다공성으로 인해 불완전한 광화를 보인다. 또한 그 적용 과정에서 과량이 섭취되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CPP-ACP(Casein Phosphopeptides-Amorphous Calcium Phosphate)는 초기의 우식병소를 재광화 시키며 우유 단백질인 casein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섭취되어도 인체에 무해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법랑질 인공우식 병소에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과 CPP-ACP 제제를 각 도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다. 14일 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편광 현미경 하에서 재광화 병소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 전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군에서 실험 후에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다(P<0.05). 2.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에서 불소를 도포한 군에 비해 표면미세경도 증가 폭이 유의하게 컸다(P<0.05). 3. 편광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불소도포 군은 불규칙하고 얇은 재광화 층을,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은 균일하고 두터운 재광화 층을 보였다.

  • PDF

완충 용액의 유산 농도와 pH가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pH OF LACTIC ACID BUFFER SOLUTIONS ON ENAMEL REMINERALIZATION)

  • 권중원;서덕규;송윤정;이윤;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07-51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 완충 용액의 pH 및 유산 농도 변화가 법랑질에서 인공 우식 병소의 재광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유산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을 탈회시키고, 유산의 농도가 100, 50, 25, 10 mM이고 pH가 4.3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1, 2, 3, 4)에 10일, pH 6.0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5, 6, 7, 8)에 12일간 처리한 후 무기질의 양적 변화를 편광 현미경에서 얻은 상에서의 탈회 깊이의 변화, 우식 표면층 깊이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를 이용하여 탈회 후와 재광화 후를 촬영하여 얻은 상으로부터 lesion 부위의 density를 비교하였다. 1. pH 4.3에서 유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우식 표면층의 증가와 표층하 탈회부 중 심층부의 isotropic zone 등의 재광화 현상을 보이나, 전체 탈회 깊이 역시 증가하였다. 2. pH 6.0에서 우식 표면층에 국한된 재광화 현상을 보이고, 전체 탈회 깊이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포화도가 일정한 유산 완충 용액으로 재광화 유도시 pH가 낮고 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표면으로부터 심층부 동역학적 변화에 더 영향을 주었으며, micro-CT를 이용한 우식 병소 부위의 density 확인을 통해 무기질의 침착과 방출 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Potential impact of metal crowns at varying distances from a carious lesion on its detection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with several protocols

  • Matheus Barros-Costa;Eduarda Helena Leandro Nascimento;Iago Filipe Correia-Dantas;Matheus L. Oliveira;Deborah Queiroz Freita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1호
    • /
    • pp.49-5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artifacts generated by metal crowns on the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lesions in teeth at various distanc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dditionally, the diagnostic impacts of tube current and metal artifact reduction (MAR)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teeth were arranged within 10 phantoms, each containing 1 first premolar, 1 second premolar, and 1 second molar. A sound first molar (for the control group) or a tooth with a metal crown was placed. Of the 60 proximal surfaces evaluated, 15 were sound and 45 exhibited enamel caries. CBCT scans were acquired using an OP300 Maxio unit (Instrumentarium, Tuusula, Finland), while varying the tube current (4, 8, or 12.5 mA) and enabling or disabling MAR. Five observers assessed mesial and distal surfaces using a 5-point scale. Multi-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for data comparison, with P<0.05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varied from 0.40 to 0.60 (sensitivity: 0.28-0.45, specificity: 0.44-0.80). The diagnostic accurac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a metal crown, milliamperage, or MAR(P>0.05). However, the overall AUC and specificity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surfaces near a crown (P<0.05). Conclusion: CBCT-based caries detection was not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a metal crown, variations in milliamperage, or MAR activation.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was low and was further diminished for surfaces near a crown. Consequently, CBCT is not recommended for the detection of incipient caries lesions.

Resin infiltration을 시행한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RESIN INFILTRATED INCIPIENT CARIOUS LESIONS)

  • 김은영;권민석;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초기 우식 병소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법랑질의 깊이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고, 병소 내로의 레진 침투양상을 분석하며,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건전 법랑질에 대한 초기 우식 법랑질의 경도 백분율은 표층(5~40 ${\mu}m$) 64.6%, 병소본체(60~350 ${\mu}m$) 24.6%였으며,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의 경도 백분율은 72.1%로 나타났다. 5~350 ${\mu}m$의 전 깊이에서, infiltrant resin을 침투시킨 병소는 비처치 우식 병소보다 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정상 법랑질에 비해서는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FESEM 관찰 결과 탈회된 법랑질 내부로 비교적 균일하게 침투한 레진 테그가 관찰되었으며, 침투깊이는 433 ${\mu}m$(282-501)로 측정되었다. 열순환 처리 후 13개의 치아에서 미세누출이 관찰되지 않았고, 5개에서 병소 외측 절반, 2개에서 병소 내측 절반까지 미세누출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