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ident Shock Wav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다공관 출구로부터 방사된 충격성 소음의 전파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pulse Noise Emitted from the Exit of a Perforated Pipe)

  • 제현수;양수영;이동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8-173
    • /
    • 2003
  • This experimental study describe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pulse noise emitted from the exit of a perforated pipe attached to the open end of a simple shock tube. The pressure amplitudes and directivities of the impulse wave propagating from the exit of perforated pipe with several different configurations are measured and analyzed fur the range of the incident shock wave Mach number between 1.02 and 1.2. In the experiments, the impulse waves are visualized by a Schlieren optical system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ir propagation pattern.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for the near sound field the impulse noise strongly propagates toward to the pipe axis, but for the far sound field the impulse noise uniformly propagates toward to the all directions, indicating that the directivity pattern is almost same regardless of the pipe type. Moreover, it is shown that for the far sound field the perforated pipe has little performance to suppress the impulse noise.

  • PDF

다공관 출구로부터 방사된 충격성 소음의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pulse Noise from the Exit of a Perforated Pipe)

  • 허성욱;이명호;이동훈;황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공관의 출구로부터 전파하는 충격성 소음의 전파특성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다공관은 공극율, 구멍지름 그리고 관의 길이를 각기 다르게 제작하여 충격파 관 출구에 부착하여 실험하였다. 충격파 전파마하수는 실제의 적용조건을 참고하여 1.02-1.2의 범위로 하였다. 지향성은 근음장과 원음장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충격성 소음원인 펄스파의 전파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쉴리렌 광학장치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다공관의 소음저감 성능은 음장조건에 좌우됨을 알았다. 즉 근음장 조건에서는 다공관의 공극율과 관의 길이가 소음저감에 다소간의 영향을 미치지만, 원음장 조건에서는 다공관이 충격성 소음의 저감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음장조건에 따라 충격성 소음의 저감성능이 다르게 되는 것은 근음장 조건에서는 관축방항으로 강한 지향성을 보이지만, 원음장 조건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같은 세기로 전파하는 무지향성이기 때문이다.

Diffuse Interface Method를 이용한 압축성 다상 유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Compressible Multiphase Flow Using Diffuse Interface Method)

  • 유영린;성홍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22
    • /
    • 2018
  • 7개의 방정식으로 구성된 DIM을 사용하여 압축성 다상 유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액체와 기체의 상세한 경계면 유동 구조를 얻기 위해 5 차의 MLP와 변형된 HLLC 근사 리만 해법을 포함하는 고차 수치기법이 구현되었다. 수치 방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물과 공기로 구성된 다양한 1차원 충격관 문제를 해석하였고, 불연속면에 대해 뛰어난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 마하수 1.22의 충격파 조건에서의 2차원 공기-헬륨 기포에 대한 충격파 상호 작용을 수치 해석하였고, 충격파 현상들을 잘 모사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공기 중 폭발에 의한 함정의 손상반경 간이 계산식 개발 (Development of a Simplified Formula for the Damage Radius of a Naval Ship due to an AIR EXplosion (AIREX))

  • 최완수;유원선;이현엽;신윤호;정정훈;김의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207-212
    • /
    • 2020
  • To decide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redundant vital equipment in a naval ship, the damage radius due to an aerial explosion should be estimated. In this research, a simplified formula for the damage radius has been developed by using existing empirical formulae for reflected shock pressure and shock lethality value of equipment. As a numerical example, the damage radius for a typical pump aboard a naval ship has been calculated by the developed formula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calculated by Measure of Total Integrated Ship Survivability (MOTISS) which is one of survivability analysis codes verified, validated and accredited by the US Navy. Also, comparison with the results calculated by existing other simplified formulae has been made.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에 점근법을 이용한 반무한체의 점화에 관한 연구 (Asymptotic analysis of ignition of a semi-infinite body for a large activation energy)

  • 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03-70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반무한체에 대하여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의 점근법을 적용하여 이 두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점화지연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으로 알아보고 참고문헌(1)의 실험치와 비교하고자 한다.

혼성방파제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압과 선단 주변에서 파랑특성에 관한 수치모의(일방향불규칙파에 대해)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Pressure Acting on Caisson and Wave Characteristics near Tip of Composite Breakwater (for One Directional Irregular Waves))

  • 전재형;최군호;이광호;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531-552
    • /
    • 2020
  • 선행연구에서는 3차원규칙파에 대해 olaFlow 수치모델을 적용하여 혼성방파제의 선단 주변에서 파랑특성 및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압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수치모델과 혼성방파제의 배치 및 형상을 적용하여 일방향불규칙파의 작용 하에 고천단의 마운드 상에 놓인 케이슨의 선단 주변에서 회절파의 발생과 배후역으로의 영향 및 케이슨에 작용하는 충격쇄파압을 포함한 파압의 공간적인 변동 등을 2차원 및 3차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수치해석으로부터 혼성방파제 주변에서 주파수스펙트럼, 평균유의파고, 평균수평유속 및 평균난류운동에너지의 변동특성도 면밀히 분석·검토한다. 이로부터 2차원수치해석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던 충격쇄파압이 3차원수치해석에서는 발생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충격쇄파압의 발생 시 경우에 따라 기존의 설계조건보다 매우 큰 파압이 정수면 근방의 케이슨의 전면 벽체에 작용되는 등의 중요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입사유의파랑에 대해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압분포가 방파제의 길이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변동은 크기에서 차이를 나타내지만, 3차원규칙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경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PBXN-109가 장전된 155 mm 고폭탄의 순폭현상 해석 (Sympathetic Detonation Modeling of PBXN-109)

  • 김보훈;김민성;양승호;오세안;김진석;최상경;여재익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1
    • /
    • 2014
  • 하나의 탄약이 폭발하였을 경우 에너지가 다른 탄약으로 전달되어 폭발을 야기해 최종적으로 연쇄적인 폭발에 이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BXN-109가 충전된 155 mm 고폭탄의 동조폭발에 대한 2차원 하이드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여폭약과 수폭약간 거리 및 중간 완충제에 따른 순폭 여부를 예측하였다. 계산 결과, 가까운 거리의 화약 간 순폭은 충격 점화로 인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파손으로 발생한 파편과의 충돌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완충제는 폭굉파와 파편의 효과를 억제하여 동조폭발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고속도로 돌발상황 검지를 위한 삼연속검지기 단순화 해법의 통계적 적합성 검정 (A Statistical Fitness Test of Newell's 3-detector Simplification Method for Unexpected Incident Detection in the Expressway Traffic Flow)

  • 오창석;노정현;박영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6-157
    • /
    • 2016
  • 본 연구는 Daganzo가 돌발상황 검지를 위해 1997년에 제안한 삼연속 검지기 단순화 해법을 통계적 모형으로 구현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적합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삼연속 검지기 단순화 해법의 계산과정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계 프로그래밍을 활용해 구현하였다. 먼저 진출입부가 존재하지 않는 고속도로 본선의 검지기 자료를 활용하여 본 해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삼연속 검지기 단순화 해법의 통계적 검정을 위해 충격파에 의한 교통량의 동적 변화를 반영하는 30초 단위 누적교통량을 돌발상황 교통류와 정상 교통류 각각에 대해 추정하고, 실측 누적교통량과의 오차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오차검정 결과 돌발상황 검지기법을 통한 누적교통량 추정치는 통계적으로 실측치와 적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오차 값의 유의성은 사고로 인한 돌발상황 교통류가 정상 교통류에 비해 분산 및 평균이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Newell, Daganzo의 단순화 교통류 모형의 이론적 연구를 돌발상황 검지로 응용 발전시킨 연구이며, 나아가 다양한 도로조건과 돌발상황 유형에서의 실험을 통한 모형 개선을 향후 과제로 한다.

유비쿼터스 교통환경을 위한 연속류 정체예방관리 알고리즘 (Preventive Congestion Management Algorithm for Ubiquitous Freeway System)

  • 박은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1-168
    • /
    • 2009
  • 유비쿼터스 교통환경에서는 개별차량의 위치, 속도 등 미세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며, V2V (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 양방통신이 가능해 짐에 따라 개별차량 혹은 차량군 단위의 미세 제어가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기존 ITS 환경과 차별화되는 유비쿼터스 교통환경에 합당한 새로운 교통관리 개념을 정립하는 것과 이러한 개념을 실현할 알고리즘 개발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통류 안정성 유지를 통하여 사고발생 잠재력을 최소화시키고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는 예방차원의 u-연속류 정체예방관리 서비스를 정의하고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u-연속류 정체예방관리 알고리즘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기술 개발이 포함된다. 첫째, 유비쿼터스 교통센터 네트워크에서 수집된 개별차량 데이터를 처리하여, 3차원의 속도/교통량/밀도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기술. 둘째, 차량군과 충격파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기술. 셋째, 위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교통류 안정성을 판단하고 교통상황을 구분하는 기술. 넷째, 교통 상황별 적정속도 산정 기술. 다섯째, V2V, V2I 통신환경을 이용한 개별차량 혹은 차량군 단위 적정속도 제공 기술. 기존의 ITS 환경의 사후관리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체예방관리는, 예방적 차원의 사전관리라는 점에서 진일보한 교통류 관리이다. 향후 유비쿼터스 교통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이 필요하며,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현장실험을 시행하고 알고리즘에서 요구되는 문턱치를 결정하는 것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