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vo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의 시상하부에서 Norepinephrine 함량은 정상이나 In vivo Tyrosine Hydroxylase 활성은 감소함 (Decreased in vivo Tyrosine Hydroxylase Activities with Normal Norepinephrin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Hypothalamus)

  • 위명복;송동근;강병태;정전섭;최연식;박준형;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
    • /
    • 1991
  • Streptozotocin(STZ)-유발 당뇨쥐에서 시상하부의 norepinephrine(NE) 대사를 기초 NE 함량, NE 교체율, in vivo tyrosine hydroxylase(TH) 활성을 그 지표로 하여 조사하였다. STZ (60 mg/kg, iv)로 당뇨를 유발한 후 4주까지 기초 NE 함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당뇨유발 후 1주째에 측정한 NE 교체율은 대조치의 62%(p<0.01), in vivo TH 활성은 대조치의 34% (p<0.05)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실험에서 측정한 NE 대사의 세 지표 중에서 in vivo TH 활성이 STZ-유발 당뇨쥐의 시상하부 NE 대사의 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였다.

  • PDF

한약내의 리튬이 타이로신 가수분해효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Tyrosine Hydroxylase Levels by Lithium in Herbal Medicine)

  • 강봉주;홍성길;조동욱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99-105
    • /
    • 2000
  • Lithium, a simple monovalent cation, is the mainstay in the treatment of manic-depressive illness, but despite extensive research, its mechanism of action remains to be elucidated. Because lithium requires chronic administration for therapeutic efficacy and because its beneficial effects last well beyond its discontinuation, it has been postulated that lithium may exert major effects at the genomic leve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Yungmijihwangwon (YM) increase TH protein expression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and unknown effects in vivo. In the pressent study, we have sought to determine if lithium in herbal medicine also increases the expression of endogenous gene known to be regulated by AP-1 and have therefo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tyrosine hydroxylase (TH) levels. Male mice were treated with LiCl and herbal medicine for 30 days, and TH levels and dopamine level were measured in striatum using immunoblotting and ECD-HPLC. Herbal medicine treatment resulted in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ncrease in TH levels in mouse striatum. The precise therapeutic relevance of these effects is presently unknown.

  • PDF

Coenzyme Q10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enzyme Q10 on Melanogenesis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and in vivo Guinea Pig Model)

  • 황재성;박원만;안수미;강병영;이병곤;심영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9-162
    • /
    • 2000
  • Coenzyme Q10(CoQ10)은 피부를 포함한 모든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조효소이다. 전자전달에 관여하는 퀴논링은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CoQ10은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용제로써 노화억제와 주름개선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보고들은CoQ10이 항산화제로서 산화-환원작용을 통해 피부의 방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일반적으로 산화-환원작용은 피부에서 흑화과정의 조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CoQ10 이 피부의 색소조절기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CoQ10을 0.05-0.5 mM 처리한 결과 0.5, 0.25mM에서 멜라닌의 생합성을 약 50% 저해하였으며 이는 알려진 미백제인 Kojic acid나 vitamin C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CoQ10은 인체 정상 색소세포에서 자외선이나 세포내 cAMP 증가 유도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inhibitor인 kojic acid와는 달리, in vitro tyrosine hydroxylase의 억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CoQ10을 자외선으로 tanning을 유도시킨 brown guinea pig에 4주간 도포하고 육안 및 chromameter를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vehicle처리군에 비해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enzyme Q10 은 in vitro및 in vivo에서 미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