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vo embryo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7초

양분(兩分)한 생쥐 배(胚)의 체외(體外) 및 체내(體內) 발생(發生)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in Vitro and Vivo by Quick-splitting)

  • 전익수;박수봉;서태광;박항균;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51-58
    • /
    • 1990
  • 본(本) 연구는 micromanipultor를 이용하여 생쥐의 8세포기배와 상실배 그리고 배반포기배를 양분(兩分)후 생존성을 검토하고, 또한 배반포기배를 양분후, 선별(選別)및 배양 과정없이 암컷 생쥐에 이식(移植)하는 경우 새끼쥐 생산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된 것이다. 그 경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생쥐의 8세포기배(細胞期胚)와 상실배(桑實胚)를 양분(兩分)하여 M2에 배양한결과 각각 64%, 81%가 배반포기배(胚盤胞期胚)까지 발생(發生)하였다. 2. M2 배양액에서 발생시킨 배반포기배를 Ham's F-10에서 배양한 결과 8세포기배에서는 86%, 상실배에서는 90%가 정상적으로 outgrowth 되었다. 3. 배반포기배를 배양 과정없이 바로 양분(兩分)하여 Ham's F-10에서 배양한 결과 97%가 정상적으로 outgrowth 되었으나 암컷생쥐에 이식한 결과 산차는 얻지 못하였다.

  • PDF

Efficient Derivation of New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 Kim, Sun Jong;Lee, Jeoung Eun;Park, Jong Hyuk;Lee, Jung Bok;Kim, Jin Mee;Yoon, Byung Sun;Song, Ji Min;Roh, Sung Il;Kim, Chul Geun;Yoon, Hyun 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19권1호
    • /
    • pp.46-53
    • /
    • 2005
  • Human embryonic stem (hES) cells, unlike most cells derived from adult or fetal human tissues, represent a potentially unlimited source of various cell types for basic clinical research.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for characterized hES cell lines, we established and characterized nine new lines obtained from frozen-thawed pronucleus-stage embryos. In addition, we improved the derivation efficiency from inner cell masses (to 47.4%) and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for undifferentiated hES cells. After these cell lines had been maintained for over a year in vitro, they were characterized comprehensively for expression of markers of undifferentiated hES cells, karyotype, and in vitro/in vivo differentiation capacity. All of the cell lines were pluripotent, and one cell line was trisomic for chromosome 3. Improved culture techniques for hES cells should make them a good source for diverse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but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of their basic biology.

Anti-Angiogenic Activity of Gecko Aqueous Extracts and its Macromolecular Components in CAM and HUVE-12 Cells

  • Tang, Zhen;Huang, Shu-Qiong;Liu, Jian-Ting;Jiang, Gui-Xiang;Wang, Chun-M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2081-2086
    • /
    • 2015
  • Gecko is a kind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ith remarkable antineoplastic activity. However, undefined mechanisms and ambiguity regarding active ingredients limit new drug development from geck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anti-angiogenic properties of the aqueous extracts of fresh gecko (AG) or macromolecular components separated from AG (M-A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pproach was applied to detect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secretion of the tumor cells treated with AG or M-AG. The effect of AG or M-AG on vascular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ory ability was analyzed by tetrazolium dye colorimetric method, transwell and wound-healing assays. Chick embryo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s were used to ensure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M-AG in vivo. The results showed that AG or M-AG inhibited the VEGF secretion of tumor cells, the relative inhibition rates of AG and M-AG being 27.2% and 53.2%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0{\mu}L/mL$. AG and M-AG inhibited the vascular endothelial (VE) cell proliferation with IC50 values of $11.5{\pm}0.5{\mu}L/mL$ and $12.9{\pm}0.4{\mu}L/mL$ respectively. The VE cell migration potential was inhibited significantly (p<0.01) by the AG (${\geq}24{\mu}L/mL$) or M-AG (${\geq}12\mu}L/mL$) treatment. In vivo, neovascularization of CAM treated with M-AG was inhibited significantly (p<0.05) at a concentration of ${\geq}0.4{\mu}L/mL$.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anti-angiogenesis is one of the anti-tumor mechanisms of AG and M-AG, with the latter as a promising active component.

재래산양의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에 의한 난자 회수와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 (Effect of Non Breeding Season on Oocyte Recovery from Superovulated Korean Native Goats)

  • 윤윤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4
    • /
    • 2013
  • 본 연구는 연중 비번식기에도 효율적인 재래산양 난포란의 확보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였으며, 회수란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비번식기에 과배란 처리에 의한 배란점은 각각 $13.9{\pm}6.5$개로서, 번식의 $13.0{\pm}3.8$개와 차이가 없었다. 난관에서 외과적 관류방법으로 체내성숙난자를 회수하였을 회수율은 43.9%로서 번식기의 67.1%보다 낮았다(p<0.05). 공란 산양 두당 회수 난자수는 비번식기가 $5.9{\pm}5.2$개로서, 번식기의 $8.8{\pm}3.2$개보다 적었다. 공란 산양으로부터 체내 성숙난자 회수 후 난소의 난포로부터 주사기로 흡입하여 채란 시에 공란 산양 두당 난포수는 비번식기가 $5.8{\pm}4.6$개로서 번식기의 $7.5{\pm}3.9$개보다 적었으며(p<0.05), 회수율은 각각 68.7 및 54.7%로서 차이가 없었다. 공란 산양 두당 회수난자 수도 $3.9{\pm}3.2$$4.1{\pm}3.4$개로서 차이가 없었다.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도 비번식기와 번식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비번식기에 회수한 체내성숙 난자를 단위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76.4%로서 번식기의 83.6%와 차이가 없었으며,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비번식기가 23.8%로서 번식기의 43.5%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Zebrafish 동물모델에서 human HtrA2의 expression system 정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he expression system of human HtrA2 in the zebrafish)

  • 조성원;박효진;김구영;남민경;김호영;고인호;김철희;임향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71-578
    • /
    • 2006
  • Mitochondrial serine protease로 알려진 human HtrA2 (hHtrA2)는 apoptosis 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hHtrA2가 motor neuron degeneration과 관련이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있으나, hHtrA2의 생리적 기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생체내에서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hHtrA2의 기능을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동물모델 시스템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HtrA2의 기능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실험으로 zebrafish라는 동물모델을 선택하여 hHtrA2의 발현 시스템을 정립하였다. 먼저 zebrafish에 hHtrA2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zebrafish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현 시스템인 pCS2+ vector에 hHtrA2와 GFP를 cloning하고 plasmid를 HEK293 cell에 transfection한 후, hHtrA2-GFP fusion 단백질의 발현을 immunoblot과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ssay로 확인한 바 약 64 kDa의 hHtrA2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Zebrafish에서 hHtrA2-GFP fusion 단백질의 발현양상은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으로 확인하였다. hHtrA2-GFP DNA와 mRNA를 zebrafish embyro에 microinjection하여 두 가지 component의 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 DNA는 dot 형태로 mRNA는 몸 전체에 퍼져보이는 형태로 발현 양상의 차이는 있었으나 둘 다 zebrafish embryo에서 잘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DNA를 주 component로 microinjection하여 zebrafish embryo에서 발현을 확인한 결과 hHtrA2는 72 hpf 까지 발현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hHtrA2의 zebrafish 발현 조건은 앞으로 zebrafish에서 hHtrA2의 생리적 기능을 심도있고 정확하게 연구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Generation of Embryonic Stem Cell-derived Transgenic Mice by using Tetraploid Complementation

  • Park, Sun-Mi;Song, Sang-Jin;Choi, Ho-Jun;Uhm, Sang-Jun;Cho, Ssang-Goo;Lee, Hoon-Taek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1-121
    • /
    • 2003
  • The standard protocol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mouse from ES-injected embryo has to process via chimera producing and several times breeding steps, In contrast, tetraploid-ES cell complementation method allows the immediate generation of targeted murine mutants from genetically modified ES cell clones. The advantage of this advanced technique is a simple and efficient without chimeric intermediates. Recently, this method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discovery that ES cells derived from hybrid strains support the development of viable ES mice more efficiently than inbred ES cells do.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human resistin gene by using tetrapioid-ES cell complementation method. Human resistin gene was amplified from human fetal liver cDNA library by PCR and cloned into pCR 2.1 TOPO T-vector and constructed in pCMV-Tag4C vector. Human resistin mammalian expression plasmid was transfected into D3-GL ES cells by lipofectamine 2000, and then after 8~10 days of transfection, the human resistin-expressing cells were selected with G418. In order to produce tetraploid embryos, blastomeres of diploid embryos at the two-cell stage were fused with two times of electric pulse using 60 V 30 $\mu$sec. (fusion rate : 93.5%) and cultured upto the blastocyst stage (development rate : 94.6%). The 15~20 previously G418-selected ES cells were injected into tetraploid blastocysts, and then transferred into the uterus of E2.5d pseudopregnant recipient mice. To investigate the gestation progress, two El9.5d fetus were recovered by Casarean section and one fetus was confirmed to contain human resistin gene by genomic DNA-PCR. Therefore,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tetraploid-ES mouse technology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tool to produce transgenic mouse for the rapid analysis of gene function in vivo.

  • PDF

Syntheses and Evaluations of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Phthalate Polymers Containing 5-Fluorouracil and Carboxylates

  • Lee, Sun-Mi;Jung, Sang-Wook;Ha, Chang-Sik;Chung, Il-Doo;Lee, Won-Ki;Park, Yong-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6호
    • /
    • pp.510-516
    • /
    • 2008
  • New antitumor active polymers, poly(methacryloyl-2-oxy-1,2,3-propanetricarboxylic acid-co-exo-3,6-epoxy-l,2,3,6-tetrahydrophthalic acid) [poly(MTCA-co-ETAc)], poly(methacryloyl-2-oxy-l,2,3-propanetricarboxylic acid-co-hydrogen ethyl-exo-3,6-epoxy-l,2,3,6-tetrahydrophthalate) [poly(MTCA-co-HEET)], and poly(methacryloyl-2-oxy-l,2,3-propanetricarboxylic acid-co-a-ethoxy-exo-3,6-epoxy-1,2,3,6-tetrahydrophthaloyl-5-fluorouracil) [poly(MTCA-co-EETFU)]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Their antitumor activity, inhibition of DNA replication and antiangiogenesis were examined. The structures of the polymers were identified by FT-IR, $^1H$ and $^{13}C$-NMR spectroscopy.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fractionated polymers determined by GPC ranged from 9,400 to 14,900, and polydispersity indices were less than 1.7.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se polymers was determined and their antitumor activity was evaluated. The $IC_{50}$ values (the drug concentration at inhibition of 50% tumor growth) indicated that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much better inhibitors of cancer cells and showed lower cytotoxicity than the free 5-FU.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conjugates was examined using mice bearing the sarcoma 180 tumor cell line. The life spans (TIC) of the mice treated with the conjugates were higher than those treated with the free 5-FU. In addition, the synthesized conjugates showed excellent antiangiogenic activity based on an embryo chorioallantoic membrane assay.

과량의 아연에 의한 아프리카 발톱개구리 (Xenopus laevis)의 배발생 이상과 독성 (Embryotoxicity and Teratogenicity of Excess Zinc on Xenopus laevis)

  • 윤춘식;진정효;정선우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83-94
    • /
    • 2003
  • 공업적 목적으로 사용된 후의 아연은 육지와 수계로 유입되며, 토양으로 유입된 후의 아연은 부식되어 수계로 유입된다. 과량의 아연은, 수서생물에 대해 중금속으로서 독성을 가지며 수서 동 ${\cdot}$ 식물의 성장억제를 유발하고, 나아가서는 동물의 기형발생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FETAX (frog embryo teratogenetic assay with Xenopus) 방법에 의해 in vivo에서 과량 아연의 독성을 밝혔다. st. 9 시기에 있는 Xenopus 개구리의 배를 $100{\sim}900\;{\mu}M$ $ZnCl_2$용액에 7일간 노출시켰을 때 100 ${\mu}M$ 아연에서는 81%의 개체가 생존하였고 1000 ${\mu}M$ 에서는 25%가 생존하였다. 그 결과 외형적 이상은 복부팽만과 소화관 형성부전이 일반적으로 나타났고 200 ${\mu}M$ 이상의 아연처리 시 모든 개체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400 ${\mu}M$ 이상의 농도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심장탈색을 보였다. 또한 신체의 탈색과 눈의 수정체 헤르니아, 그리고 느슨한 소화관은 100 ${\mu}M$ 이상의 아연처리에서 매우 빈번히 나타났다. 아연처리 된 유생의 파라핀 조직절편에서는 망막의 광수용기의 파괴, 눈의 초자체방 축소, 심장적혈구수의 감소, 비정상적 간조직, 원신관 세포의 팽윤, 근육형성부전, 그리고 구전정의 유두종 형성 등의 이상을 보였다. 이러한 이장은 미토콘드리아의 파괴 $Ca^{2+}$$Zn^{2+}$의 치환에 의한 세포결합의 저해, 그리고 아연에 의한 적혈구내 leghemoglobin의 형성 등이 원인일 것이다. 과량 아연에 의해 유생의 체장은 감소하였고, 통계분석 결과 체장은 대조군의 체장과 비교했을 때, 300 ${\mu}M$ 아연처리 군부터 매우 유의미하게 체장의 감소가 나타났다. 현재 자연상태에서 양서류의 수적감소와 기형발생이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고려했을 때, 과잉 아연은 수계를 오염시켜 양서류의 수적감소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물질로 생각되므로 이의 관리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미성숙 및 성숙 재래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난자의 회수율 비교 (Comparison of Oocyte Recovery Rates between Prepubertal and Adult Korean Native Goats)

  • 윤윤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2
    • /
    • 2011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래 산양의 난포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성숙 산양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 난자(배란된 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여 공란산양의 성숙 여부가 난자의 회수율과 단위 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체내 성숙 난자의 회수율에 있어서 과배란 처리 후 두당 황체수는 13.1${\pm}$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pm}$2.4개와 차이가 없었다(p<0.05). 산양의 두당 회수율은 마성숙 산양이 9.l${\pm}$6.8개로서 성숙 산양의 9.8${\pm}$2.5개와 차이가 없었다. 공란산양으로부터 체내 성숙 난자 회수 후 난소의 난포로부터 채란한 난포란의 회수율에 있어서 산양 두당 난포 수는 미성숙 산양이 7.9${\pm}$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pm}$2.4개와 차이가 없었다. 이들 황체로부터 회수한 난포란 수도 미성숙 산양이 5.6${\pm}$6.1개로서 성숙 산양의 6.3${\pm}$2.3개와 차이가 없었다.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에 있어서 1+II 등급 난포란은 미성숙 산양이 25.0%로서 성숙 산양의 52.4%보다는 낮았다(p<0.05). 4등급의 비율은 미성숙 산양이 39.3%로서 성숙 산양의 19.8%보다는 높았다(p<0.05). 미성숙 산양으로부터 회수한 체내 성숙 난자를 단위 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54.5%로서 성숙 산양으로부터 회수한 단위 발생 난자의 분할율 86.8%보다는 낮았다(p<0.05).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미성숙 산양이 23.3%로서 성숙 산양의 46.6%보다는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미성숙 재래 산양으로부터 난자의 생산은 난자의 확보 측면에서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회수란의 질 저하에 대한 문제는 공란 산양의 보다 적합한 연령, 실험 시기, 성선자극 호르몬의 양 및 공시 산양의 관리 등 앞으로 보다 세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정란 이식시 생쥐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유용성 검토 (Study on The Usability of Mouse Hatched Blastocysts in Embryos Transfer)

  • 이봉경;김은영;남화경;이금실;윤산현;박세필;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7
    • /
    • 1998
  • 본 연구는 생쥐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체내 발달율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는 체내에서 생산된 전핵기 수정란을 5일과 6일동안 체외배양하여 얻었으며,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직경을 기준으로 small(S-HBs), medium(M-HBs), large(L-HBs)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배양 4일째에 얻어진 배반포기배를 $24\sim48$시간동안 추가배양했던 바, 배양 5일과 6일째에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발달율은 29.1%와 22.8%였다. 2) 또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였던 바, S-HBs ($77.7\pm5.3$, $59.6\pm4.4$), M-HBs ($83.7\pm4.0$, $66.8\pm3.5$), L-HBs ($100.7\pm2.6$, $88.9\pm3.8$)로 나타나,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총 세포수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HBs와 L-HBs의 총 세포수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3) 분류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를 가임신 3일된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였을 때, 배양 5일째의 임신율과 착상율이 S-HBs (28.6%, 15.7%), M-HBs (44.4%, 30.9%), L-HBs (62.5%, 49.1%)로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크기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배양 6일째에는 이러한 양상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전체 착상율에 대한 정상산자율을 조사하였던 바, 배양 5일째의 S-HBs (87.5%)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체외에서 배양된 건강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는 높은 임신율과 착상율 및 정상산자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던 바, 이는 인간포배기 배아이식시 잉여의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유용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