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culture

검색결과 2,877건 처리시간 0.043초

선명한 적색 대륜계 호접란 '화수 5205' 육성 (Breeding of Doritaenopsis 'Hwasu 5205' with Vivid Red and Large Flowers)

  • 임기병;김홍열;박노은;손병구;윤숙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41-946
    • /
    • 2015
  • 호접란 신품종 '화수 5205'는 2002년 경북대에서 Phal. Happy Valentin과 Dtps. Happy Rose를 모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_1$개체 중에서 육성하였다. 꽃은 선명하고 진한 적색의 대륜계이다. 2003-2004년 2년에 걸쳐 실생 300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2-05-205를 선발하였다. 2004년과 2005년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화수 5205'로 명명하였다. '화수 5205'는 화색이 선명하고 진한 적색(PN78B)이며, 화형은 안아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9.2, 12.0cm로 대형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24.3, 8.5cm이며 엽형은 수평이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2009년 12월 1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2915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제주(濟州) 자생(自生)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 동아(冬芽)의 채취시기(採取時期)와 배지(培地)의 조건(條件)에 따른 기관유도(器官誘導) (Differentiation of Winter Buds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from Jeju Island Depending on the Collection Time and Media Conditions)

  • 정은주;김찬수;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22-526
    • /
    • 2000
  •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제주 자생 왕벚나무를 조직배양을 통하여 대량 증식하고자 동아를 이용할 때 분화 및 생장에 미치는 기내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동아의 채취시가, 배지의 $NH_4NO_3$의 농도, 생장조절물질의 종류(BAP, $GA_3$, IBA) 및 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아의 채취시기는 2월이 적합하였으며 그 중 $1,200mg/{\ell}$ $NH_4NO_3$의 농도에서 잎 전개율이 70%로 가장 높았다. 생장조절물질 처리구 중 BAP $3.0mg/{\ell}$ 첨가 배지에서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잎의 전개율이 높았다. 반면 IBA 처리구에서는 전혀 잎이 전개되지 않아 동아의 전개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P 첨가 배지에서 전개된 동아는 줄기로 자라지 못하고 다발 모양을 이루었다. BAP와 함께 $GA_3$를 처리한 결과 $GA_3$의 농도가 BAP보다 높을 때 줄기 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AP $1.0mg/{\ell}$$GA_3$ $2.0mg/{\ell}$ 혼합 처리구에서 줄기의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 PDF

Aspergillus tubingensis에 의한 샤인머스켓 포도송이썩음병(가칭)의 발생 (Occurrence of Bunch Rot Disease Caused by Aspergillus tubingensis on Shine Muscat Grape)

  • 김영수;권혁태;홍승범;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220-225
    • /
    • 2019
  • 2018년 경북 김천 지역 포도 하우스 재배 농가에서 포도송이가 무르고 마른 포도 과실이 낙과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병반 표면에는 검갈색의 곰팡이 포자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병과실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결과 병원균은 Aspergillus tubingensis로 동정하였다. 이 증상의 원인균을 증명하기 위해 이병과실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고온으로 갈수록 급격히 병이 진전되고 하우스에서 발생한 병징과 일치하였다. 또한, 포도송이 썩음 병원균에 대하여 화학농약 약제의 선발을 통해 병원균의 확산을 막고 예방을 하고자 단제 7종 균사생장 억제 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Dipenoconazole, tebuconazole, metconazole, iminoctadine, captan 5가지의 약제에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A. tubingensis에 의한 포도송이썩음병(가칭)은 2018년도부터 국내 샤인머스켓 포도에 처음 발생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효과적으로 포도송이썩음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5종의 약제를 보고한다.

1973년(年) 한국(韓國)에서 분리(分離)된 쌀모넬라균(菌)에 관(關)한 보고(報告) (A Report on the Salmonella Cultures Isolated in Korea(1973))

  • 유영해;김영자;서영숙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1974
  • 저자(著者)들은 1957년(年)부터 계속적(繼續的)으로 한국(韓國)에서 분리검출(分離檢出)되는 쌀모넬라균속(菌屬)에 대(對)한 미생물학적성상(徵生物學的性狀)을 검토(檢討)하고 혈청형적(血淸型的) 분류(分類) 결과(結果)를 관찰보고(觀察報告)하고 있다. 1973년도(年度)에는 전국(全國) 11개시도위생시험소(개市道衛生試驗所)와 각급(各級) 종합병원(綜合病院)에서 1,644주(株)의 유사장내병원성세균(類似賜內病原性細菌)을 수집(蒐集)하여 통상적(通常的)인 미생물학적시험방법(徵生物學的試驗方法)과 항원분석(抗原分析)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 426주(株)의 전형적(典型的)인 쌀모넬라균속(菌屬)을 동정(同定)하였다. 기중(其中) 11주(株)가 S. paratyphi A였으며 B군(群)에 속(屬)하였던 63주중(株中) 44주(株)는 S. paratyphi B였으며 19주(株)는 S. typhimurium이었다. C군(群) 2주중(株中) 1주(株)는 S. newport이었고 또 1주(株)는 S. potsdam이었던 바 S. paratyphi C는 1주(株)도 없었다. Drns(群) 350주중(株中) S. enteritidis 16주(株)를 제외(除外)한 나머지는 모두 S. typhi로서 역시(亦是)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장(腸)티프스균(菌)이 다수(多數)를 차지하였다. 이들 쌀모델라균속(菌屬)이 나타낸 생화학적성상(生化學的性狀)은 성서(成書)에 정리(整理)된 바와 다름 없었으며 다른 나라에서 검토(檢討)된 내용(內容)과도 부합(符合)되었다. disc방법(方法)으로 각종(各種)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감수성시험성적(感受性試驗成績)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로는 8주(株)가 chloramphenicol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보였고. 1주(株)가 gentamycin에 대(對)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냈으며 34주(株)가 ampicillin에 대(對)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들 세가지 항생제(抗生劑)가 다른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치료용(治療用)으로 권장(勸奬)될 수 있을 것으로 관찰(觀察)되었다.

  • PDF

Superoxide Dismutase가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면역세포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STUDY OF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O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강현구;강정구;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497-517
    • /
    • 1995
  • The cells associated with normal defense mechanism in inflammation release free oxygen radicals, hydroxy radicals, and various protease, all of which can damage the surrounding cells(fibroblasts) and matrix molecules(collag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venger" enzyme, superoxide dismutase(SOD). to periodontal ligament (PDL) cells. Human PDL cells were cultured from the teeth extracted for non-periodontal reason. Cultured PDL cells in vitro were treated with SOD and LPS according to dosage and culture times. Cellular activity was exaimed by Microtitration(MTT) assay.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by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collagen type I and fibronectin by indirect immunocytochemically stain in PDL cell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only SOD treated group at 2 and 3 days, PDL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more than 150U(P<0.05). 2. When LPS(0.5, $5{\mu}g/m{\ell}$) and SOD(more than 150U) were added together,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2 days(P<0.05). 3. When LPS($5{\mu}g/m{\ell}$) and SOD(150, 300U) were added together,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2 and 3 days(P<0.05). 4. When LPS($5{\mu}g/m{\ell}$) and SOD(150U) were added together, collagen type 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3 days(P<0.05). 5.When LPS($5{\mu}g/m{\ell}$) and SOD(300U) were added together, fibr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3 days(P<0.05). On the above the results, the SOD in association with collagen type I, fibonectin, and PCNA may afford biological protection to oxy-radicals that were typically liberated during normal inflammatory response. Thus,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SOD may be effective in sthe treatment of the localized breakdown associated with chronic periodontal disease.

  • PDF

목질진흙버섯(Phelinus linteus) 액체배양에 의한 현미와 원목에서 자실체 형성 (Fruit body formation on rice brown and timber log using liquid spawn of Phellinus linteus)

  • 이원호;박영진;김수영;김호경;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2004
  • 현미배지의 수분함량에 따른 균사체 배양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을 $180m{\ell}$로 하였을 때 균사생장 길이가 101.3~108.3mm로 가장 높았다. 적정 종균 접종량을 조사한 결과 액체종균 접종량을 $100m{\ell}$로 하였을 때 균사생장 길이가 95.3~107.8mm로 가장 높았다. 또한 배지량을 적게 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빨리 이루어졌고 균사의 밀도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목배지의 살균시간에 따른 오염율을 조사한 결과 살균시간 60분에서 오염율 12%로 조사되었으며, 살균시간 120분에서 오염율 1%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원목배지의 종류에 따른 균사 생장 및 자실체 형성에 관한 실험에서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 각 Biological efficiency가 12.56%와 11.59%로 높게 조사되었다. 공시균주의 종류에 따른 자실체 형성에서는 PH-211 균주의 원목재배에서 Biological efficiency가 12.5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PH-5 균주가 11.36%로 높게 조사되었다.

  • PDF

BCF1 생쥐 배반포기 유래 배아간세포 작성에 관한 연구 (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ial Embryonic Cell Lines from Mouse Blastocysts)

  • 이재원;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5-244
    • /
    • 1995
  • 생쥐 배반포기 내부세포괴를 체외에서 분리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 증식세포를 미분화 상태에서 무한히 증식할 수 있는 전능성을 지닌 배아간세포(embryonic stem cell : ES cell)로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BCF1 생쥐 배반포를 10% FCS, 0.1mM nonessential amino acid, 0.1mM sodium pyruvate, 0.1mM 2-mercaptoethanol과 1,000U/ml LIF(세포분확억제인자)가 첨가된 DMEM 기초배양액에 mitomycin-C를 처리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의 배아간세포를 분리하였다. 배반포를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4일간 배양하여 내부세포괴세포를 신선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약 5일 간격으로 반복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5차 계대배양후 뚜렷한 분화 양상없이 배양된 미분화 세포군에 대한 alkaline phosphatase (AP)염색과 체외분화능 검색을 실시한 결과 적색의 미분화 AP 양성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체외에서 배분화 형성이 유도됨에 따라 배양된 배아간세포주의 다능성 배아간세포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aegleyiu fowleri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Naegleria fowleri monoclonal antibodies)

  • 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33-42
    • /
    • 1992
  • 자유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는 비강을 통해 인체에 들어와 출혈성 수막뇌염을 일으켜 감염된 사람의 대부분을 일주일 이내에 사망하게 하는 원충이다. 이 실험에서는 N. fowleri에 특이한 단세포군 항체를 만들어 이의 특성 및 그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7 종류의 단세포군 항체(Nf 1, Nf 2, NE 256, Nf 279, Nf 27, Nf 154, Nf 137)를 제조하였는데 각각의 isotope은 IgGl이 두 종류(Nf 27, Nf 154), IgG3가 1 종류(Nf 137), IgA가 4 종류(Nf 1, Nf 2, Nf 256, Nf 279)이었다. 이들 항체를 N. fwoleri와 다른 종류의 아메바를 항원으로 하여 효소표식 면역검사법을 시행하여 Nf 1 및 Nf 256 항체를 제외한 5종류의 항체가 N. fowleri에 특이한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접 형광항체법을 통하여 NF 256 항체를 제외한 6 종류의 단세포군 항체가 세포막의 일부에 결합하였음을 관찰하였다. Nf 154 항체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 염색에서도 세포막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단세포를 항체가 N. fowleri를 응집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항체를 N. fowleri 영양형과 반응시켰더니 Nf 27 항 체를 제외한 5 종류의 단세포를 항체에 의해 응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응집된 덩 양형을 보체로 처리한 후 CGVS배지에서 배양하였더니 영양형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한 2종류의 단세포군 항체(Nf 2, Nf 154)는 조직 세포(Chinese hamster ovary cell: CHO)에 대한 N.fowleri의 세포독성을 저하시켰다. 단세포군 항채와 반응하는 항원의 분자량을 알아보고자 EITB(Enzyme-linked immunoelectrotransfer blot)를 시행하였는데 Nf 279 항체는 25 kDa 및 28 kDa, Nf 154 항체는 43 kDa, N( 137 항체는 29 kDa에 해당되는 분획에서 항원항체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N. fowleri에 대한 7종류의 IgG., IgG3 및 IgA 단세포군 항체를 생산하였다. 그중 Nf 256 항체를 제외한 6 종류는 N. fowleri이 세포막 성분중 28 kDa-43 kDa의 항원과 반응하는 특이한 항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단세포를 항체들은 영양형을 응집시키며, 시험관 내에서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CHO 세포에 대한 N. fowleri의 세포 독성을 저하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길항세균 Bacillus sp. KBC1004를 이용한 고추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 (Development of Biofungicide Using Bacillus sp. KBC1004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of Red Pepper)

  • 강훈석;강재곤;박정찬;이영의;정윤우;김정준;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08-214
    • /
    • 2015
  • 고추 재배토양에서 분리한 세균 중에서 고추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강하게 억제하며 분생포자의 발아를 현저히 억제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의 형태적 생리적 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를 토대로 Bacillus sp KBC1004로 명명하였다. KBC1004를 동결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원제로 하여 탄수화물과 증량제를 포함하는 수화제형($2{\times}10^8cfu/g$)으로 제조하였을 때 상온에서 2년 이상 안정된 밀도를 유지하였다. 수화제 형태의 KBC1004가 활성화 되어 탄저병균 분생포자의 발아를 억제하려면 최소 24시간이 경과되어야 하였고 실내에서 고추 열매를 이용하여 탄저병의 발병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도 24시간 전에 KBC1004 수화제를 살포하고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효과적인 병 방제가 이루어졌다. 고추포장에서 KBC1004 수화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탄저병이 발생하는 6월 말부터 4회 처리하고 10일 경과 후 이병과율을 조사한 결과 화학농약의 방제가가 86.3%이였을 때 80.3%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은 나노 용액의 식물병원성 세균에 대한 살균활성 (Bactericidal Effects of Nano-silver Liquid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Bacteria)

  • 김상우;민지선;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0-133
    • /
    • 2009
  • Nano-silver 용액의 식물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을 하기 위해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를 포함한 10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 하였다. Nano-silver용액은 바이오 (주)플러스에서 제공된 WA-CV-WA13B, WA-AT-WB13R과 WA-PR-WB13R용액을 사용하였으며, 10 ppm, 25 ppm, 50 ppm, 100 ppm 농도로 nano-silver 용액을 배지에 첨가하여 nano-silver 배지를 제조한 후 실험대상 세균 균주를 72 h 배양 후 생장억제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세균의 colony 수를 세었다. 실험 결과, WA-CV-WA13B 용액의 경우 C-1에 대하여 10 ppm에서도 높은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P-6, X-1, 그리고 X-2에 대해서도 생장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WA-AT-WB13R용액의 경우 10 ppm의 농도에서 P-6에 대하여 살균효과가 나타났다. 10 ppm의 농도에서는 C-1, X-1, 그리고 X-2에 대해서 약간의 생장억제 효과가 관찰 되었다. WA-PR-WB13R용액의 경우 10 ppm 혹은 그이상의 농도가 P-5, P-6, 그리고 X-2 균주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3가지 nano-silver 용액 모두 25 ppm 이상에서 모든 실험대상 식물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nano-silver 용액을 식물병원성 세균의 방제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