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II)-

검색결과 13,010건 처리시간 0.042초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Difructose Anhydride III on Selected Health and Blood Parameters of Group-housed Japanese Black Calve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 Matsumoto, Daisaku;Takagi, Mitsuhiro;Hasunuma, Hiroshi;Fushimi, Yasuo;Ohtani, Masayuki;Sato, Tadashi;Okamoto, Koji;Shahada, Francis;Tanaka, Tetsuya;Deguchi, Eisabur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40-1647
    • /
    • 2009
  • Two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difructose anhydride III (DFA III) as a supplement in colostrum replacer (CR) for improving the general health status (judged on the basis of incidence of enteritis, bronchitis, and pneumonia) of group-housed suckling Japanese Black calves. In a preliminary study, CR supplemented with DFA III (6 g) was orally administered within 24 h of calving to eight individually reared calves fed colostrum (DFA III group) (Exp. 1). Subsequently, CR supplemented with DFA III (6 g)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within 2 and 12 h of calving to four calves (DFA III group) that were not fed colostrum (Exp. 2). In both experiments, the health status of the calves was assessed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In Exp. 2, hematological and blood-chemistry parameters were analyzed 24 h after the second administration of CR and at 1 wk and 1 month after calv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DFA III and control groups (without DFA III supplementation; Exp. 1: n = 10, Exp. 2: n = 4). In Exp. 1, the number of calves requiring med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enteritis, bronchitis, and pneumonia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DFA III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Exp. 2, supplementation of DFA III did not influence the gain in body weight of calve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Calves in the DFA III group tended to require medications for a shorter dura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DFA III: 10.3 d/calf, control: 21.3 d/calf; p = 0.07).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level of mean corpuscular hemoglobin,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and immunoglobulin (Ig)G were observed between the DFA III and control groups. These differences probably reflect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calves. Additionally, the serum iron and lactoferrin concentrations at 24 h and 1 wk after calving, respectivel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2 groups. These concentrations might reflect the incidence of infections after calving.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DFA III as a CR supplement may prevent diseases in group-housed calve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Co(III)/Co(II) 및 Fe(III)/Fe(II) 산화환원계에 의한 에텔렌글리콜의 연속 매개전해 산화 (Continuous 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Ethylene Glycol by Co(III)/Co(II) and Fe(III)/Fe(II) Redox Systems)

  • 김익성;박승조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35-640
    • /
    • 2005
  • 매개전해산화는 저온과 저압 분위기에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하는 과정이다. 이 공정은 유해 유기물을 함유한 폐물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공법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Fe(III)/Fe(II)나 Co(III)/Co(II) 산화환원계를 이용하여 질산용액 중에서 에틸렌글리콜의 매개전해 산화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에틸렌글리콜을 매개전해 산화시 전류밀도, 지지전해질 농도, 체류시간, 제거효율 등을 검토하였다. 매개전해산화시 에틸렌글리콜의 제거효율은 Fe(III)/Fe(II) 산화환원계보다 Co(III)/Co(II) 산화환원계가 우수하였고 매개전해산화 제거효율은 100%이었다. 에틸렌글리콜을 시료로 하였을 경우 좋은 수율로 탄산가스가 생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급성 폐손상 소아 환자에서 조기 예후 인자로서의 antithrombin-III (Antithrombin-III as an early prognostic factor in children with acute lung injury)

  • 이영승;김성국;강은경;박준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43-448
    • /
    • 2007
  • 목 적 : 급성 폐손상이 있는 소아에서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III의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대상 환자에서 진단 초기의 AT-III 값을 측정하고 사망여부에 따라 AT-III 값을 비교 분석하고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예후인자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8개월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98명의 환자 중 급성 폐손상의 정의를 만족하고 기계적 환기요법을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의학적인 변수와 기저질환, 초기 안정화 이후의 호흡지수들, 기계적 환기요법의 여러 설정 등을 측정하였다.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내의 PRISM-III 점수, LIS 점수를 측정하였고 입원 3시간 내의 AT-III 값을 측정하였다. 사망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한 후 예후인자를 비교분석하였고, PRISM-III 값과 AT-III 값에 대해서는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함께 시행하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사망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에 대해서 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상대위험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8개월 동안 198명이 입원하였고 21명의 환자가 진단기준을 만족하였다. 남자가 13명(61.9%)였고 연령은 5(1-14)세였다. 급성 폐손상이 발생한 장소가 병원이 아닌 경우가 33.3%였고 기저질환이 폐 병변인 경우가 66.7%였다. 대상 환자 중 AT-III 값이 70% 이하인 경우가 10명(42.9%)이였고 8명의 환자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38.1%였다. 사망에 따른 두 군 간의 비교에서 초기 안정화 이후 동맥혈 pH와 $PaO_2/FiO_2$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고, OI와 호기말 양압은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 유순도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LIS와 PRISM-III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AT-III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AT-III와 PRISM-III 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회귀분석에서 PRISM-III, LIS, OI는 모두 다른 변수에 독립적으로 유의한 사망의 위험인자였으며 70% 미만으로 정의한 AT-III 감소는 급성 폐손상 환자에서 다른 변수에 독립적으로 사망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OR 2.725, 95% CI 1.284-4.119). 결 론 : 급성 폐손상으로 기계적 환기요법을 시행 받은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초기 AT-III 값은 PRISM-III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사망한 환자군에서 AT-III 값이 유의하게 더 낮았고 이것은 다른 위험인자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도 독립적인 사망의 위험인자였다. 이로써 AT-III가 급성 폐손상의 유의한 조기 예후 예측인자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급성 폐손상/급성 호흡부전증후군 환자에서 응고장애를 정상화 할 수 있는 처치들이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정수처리 응집효율 개선을 위한 Al(III)염과 Fe(III)염 응집제의 비교 (Comparison of Al(III) and Fe(III) Coagulants for Improving Coagulation Effectiveness in Water Treatment)

  • 한승우;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25-331
    • /
    • 2015
  • 낙동강 하류부의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Al(III)염과 Fe(III)염계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제의 특성 실험 결과, alum과 $FeCl_3$의 경우는 모노머성 화학종이 각각 98%와 93.3%로 응집제내에 함유된 주된 가수분해종은 모노머성 화학종임을 알 수 있었다. 염기를 첨가하여 제조한 염기 첨가비 r=1.2인 PACl의 경우 폴리머성 Al(III)종은 31.2%이었으며, r=2.2인 PACl의 경우 함유된 폴리머성 Al(III)종은 85.0%로 r 값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폴리머성 Al(III)종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제별 응집실험 결과, 원수의 탁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응집제별 탁도 및 유기물 제거정도는 $FeCl_3$ > PACl (r=2.2) > PACl(r=1.2) > alum의 순으로 나타났다. Al(III)계 응집제 보다 $FeCl_3$의 경우 응집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l(III)계 응집제의 경우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의 경우 polymeric Al(III)종을 많이 함유함에 따라 응집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염기도가 높은 응집제일수록 응집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적용된 응집 pH 범위(pH 4.0~9.5)에서 모든 응집제의 최적 응집 pH는 약 7.0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염기도 PACl (r=2.2)과 $FeCl_3$의 경우 pH 7.0 이상에서도 높은 탁도 응집효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H가 높은 상수원수의 경우 탁도 제거에서는 고염기도 PACl이나 $FeCl_3$ 응집제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 발생 시 목재 수종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Assessment of Fire Risk Rating for Wood Species in Fire Event)

  • 진의;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423-430
    • /
    • 2021
  •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위험성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III, -IV에 의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적삼목, 전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FPI-III는 polymethylmetacrylate (PMMA) 기준으로 0.86~12.77로 나타났다. FGI-III는 PMMA를 기준으로 0.63~5.26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 지수인 FRI-IV에 의한 화재 등급은 0.05~6.12였으며 적삼목이 단풍나무와 비교하여 122.4배 높았다. FRI-IV에 의한 화재위험성 등급은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전나무, PMMA, 적삼목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3~162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인 50 ppm보다 2.1~3.2배 높게 나타났다. 적삼목과 같이 체적밀도가 작고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소재는 FPI-III가 낮고 FGI-III가 높으므로 화재위험성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란탄족(III)족 이온과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의 착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lexation of some Lanthanides with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

  • 김정석;이창헌;한선호;서무열;엄태윤;박진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40-848
    • /
    • 1992
  • 이온성 거대고리 리간드,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K22DAP)를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의 양성자화 상수와 몇 가지 란탄족원소와의 안정도 상수를 전위차적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양성자화 상수는 log$K_1$ = 9.05, log$K_2$ = 8.37, log$K_3$ = 1.88 및 log$K_4$ = 0.99이고, La(III), Nd(III), Gd(III) 및 Lu(III)와의 안정도 상수 (logKML)는 각각 11.14, 11.43, 11.74 및 10.88이었다. 거대고리 이온운반 물질로서 K22DAP를 사용하고 TTA(thenoyltrifluoroacetone)를 추출제로 하여 란탄(III)족 이온의 추출성질을 연구하였다. pH 8.0의 수상에서 La(III)과 Nd(III)이온은 주로 삼성분착물 Ln(K22DAP)TTA를 형성하였다.

  • PDF

Flavonoid Inhibitors of β-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Lee, Jee-Young;Lee, Ju-Ho;Jeong, Ki-Woong;Lee, Eun-Jung;Kim, Yang-M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8호
    • /
    • pp.2695-2699
    • /
    • 2011
  • ${\beta}$ Ketoacyl acyl carrier protein synthase III (KAS III) initiates fatty acid synthesis in bacteria and is a key target enzyme to overcome the antibiotic resistance problem. In our previous study, we found flavonoid inhibitors of Enterococcus faecalis KAS III and proposed three potent antimicrobial flavonoids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with MIC values in the range of 128-512 ${\mu}g/mL$ as well as high binding affinities on the order from $10^6$ to $10^7\;M^{-1}$. Using these series of flavonoids, we conducted biological assays as well as docking study to find potent flavonoids inhibi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KAS III with specific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Here, we propose that naringenin (5,7,4'-trihydroxyflavanone) and eriodictyol (5,7,3',4'-tetrahydroxyflavanone) are potent antimicrobial inhibi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KAS III with binding affinity of $3.35{\times}10^5$ and $2.01{\times}10^5\;M^{-1}$, respectively. Since Arg38 in efKAS III is replaced with Met36 in saKAS III, this key difference caused one hydrogen bond missing in saKAS III compared with efKAS III, resulting in slight discrepancy in their binding interactions as well as decrease in binding affinities. 4'-OH and 7-OH of these flavonoids participated in hydrogen bonding interactions with backbone carbonyl of Phe298 and Ser152,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se flavonoids display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MRSA strains in the range of 64 to 128 ${\mu}M$ with good binding affinities.

Growth Properties of the Iron-reducing Bacteria, Shewanella putrefaciens IR-1 and MR-1 Coupling to Reduction of Fe(III) to Fe(II)

  • Park, Doo-Hyun;Kim, Byung-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73-278
    • /
    • 2001
  • Shewanela, putrefaciene IR-1 and MR-1 were cultivated by using various combinations electron donor-acceptor, lactate-Fe(III) lactate-nitrate, pyruvate-FE(III), pyruvate-nitrate H$_2$ acetate-Fe(III) and H$_2$-acetate-nitrate. Both strains grew fermentatively on pyruvate and lactate but not on without and electron acceptor. In culture with Fe(III), both astrains grew on pyruvate and lactate but on H$_2$-acetate- CO$_2$. In cultivation with nitrate, both stains grew on pyruvate lactage and on H$_2$-acetate-CO$_2$ The growth yields of IR-1 pyruvate, pyruvate-Fe(III) and lactate-Fe(III) were about 3.4, 3.5, and 3.6(g cell/M substrate), respectively. From the growth properties of both strains on media with Fe(III) as an electron acceptor, the bacterial growth was confirmed not to be increased by addition of Fee(III) as an electron acceptor to the growth medium, which indicates a possibility that the dissimilatory reduction of Fe(III) to Fe(III) may not be coupled to free energy production.

  • PDF

내과계 중환자들의 예후 판정에 었어서 제 7병일 APACHE III 점수의 임상적 유용성 (The Prognostic Value of the Seventh Day APACHE III Score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 김미옥;윤수미;박은주;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36-244
    • /
    • 2001
  • 연구배경 : 중환자의 예후를 계량화 하려는 채점 체계 중 APACHE III 체계는 중환자실 제1병일 접수는 물론 일 갱선점수도 중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평균 재원일이 외국과 비교하여 3-4배의 차이가 나는 점을 감안하면, 일 갱신점수는 예후를 판정하는 지표로서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에 제7병일(평균 중간 재원일)의 APACHE III 점수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내파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241명의 제1병일과 7병일 APACHE III 점수를 조사하여 생존군과 비생존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 수는 241명으로 이 중 사망자가 65명으로 26.6%의 사망률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재원일 수는 $10.3{\pm}13.8$일이였다. 제1병일 APACHE III 점수는 $59.7{\pm}30.9$, 제7병일 APACHE III 점수는, $37.9{\pm}27.7$점이였다. 제1병일과 제7병일 APACHE III 점수는 생존군과 비생존군에서 $49.9{\pm}23.8$, $86.3{\pm}32.3$점, $30.1{\pm}18.5$, $81.1{\pm}30.4$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P<0.0001). APACHE III 점수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제1병일과 제7병영일의 비차비(odds ratio)는 각각 1.0507, 1.0779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01). 결 론 : 이상의 결과로서 제1병일 APACHE III 점수 뿐 아니라 제7병일 점수 또한 사망률 예측과 입원 후 치료 경과에 의해 변화된 예후를 평가하기에 유용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평균 중간 재원일인 제7병일 APACHE III 점수는 일 갱선점수가 경제적으로 물적, 인적 비용이 많이 드는 상황에서 비용효과면에서 임상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혼합치열기 반대교합자에서 III급 악간견인력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LASS III INTERMAXILLARY TRACTION IN MIXED DENTITION WITH ANTERIOR CROSSBITES)

  • 백종은;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19-43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the Class III intermaxillary elastics act upon the craniofacial structures of mixed dentition with anterior crossbites. The cephalometric headplafes of 16 childrens treated only with Class III elastics (C III elastics group) and 23 childrens treated with Class III elastics and Reverse pull headgear simultaneously (C III elastics + RPHG group) were traced, digit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 Anterior displacement of maxilla was observed in both groups. 2. Simultaneous Class III elastics and reverse pull headgear group showe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xilla, however Class III elastics group manifested no rotational change of maxilla. 3. Simultaneous Class III elastics and reverse pull headgear group showed the down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mandible, however Class III elastics group manifested no rotational change of mandible. 4. Counterclockwise canting of occlusal plane, labial tipping of upper incisor and lingual tipping of lower incisor and mesial displacement of upper molar to pterygoid root vertical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