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won Gyeongje J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09초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ims of Cultivation Techniques of Joseon and the Imwon-gyeongje-ji, With a Focus on the Interconnection of Body-Environment-Society)

  • 전종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7-98
    • /
    • 2022
  • Objectives :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essence of Joseon's cultivation techniques as written in the vast encyclopedia Imwon-gyeongje-ji. Methods : Items related to cultivation techniques in the Imwon-gyeongje-ji were brought together and analyzed through various cases that match the theme and structure of this pap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Body-Environment-Society Results & Conclusions :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mwon-gyeongje-ji, it could be said that Seo Yu-gu consistently attempted to secure and improve health, well-being, and welfare in all levels of an individual's body, environment, and society while stating to have integrated Buddhist and Daoist methods based on Confucius cultivation. This thought is linked to the ideals of Zhongyong, one of the main scriptures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summarized by the concept of the Heaven-Earth Cultivation. In specific, contents within the 16 treaties of the Imwon-gyeongje-ji such as the Boyang-ji, Inje-ji, Jeongjo-ji, Yewon-ji, Yiwun-ji, Yuye-ji, Yegyu-ji, etc.,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personal, environmental and societal cultivation has great implications for people today in that it could lead us to an integrated path of cultivation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body, environment, and society.

『림원경제지(林園經濟志)』 어류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 『동의보감(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Knowledge on Fish in the Imwon-Gyeongje-Ji from a Korean Medical Perspective -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Dongui-bogam -)

  • 전종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1-90
    • /
    • 2022
  • Objectives : This paper summarizes contents on fish in the Injeji and Jeoneo-Ji parts in the Imwon-Gyeongje-Ji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in the Dong-uibogam from a Korean Medical perspective. Methods : Most of the knowledge of fish in the Imwon-Gyeongje-Ji is based on preceding material medica studies such as the Dongui-bogam in Joseon, the Bencao-gangmu in China, and the Hwahan Samjaedohoe in Japa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change among these knowledge information were examined within the context of each literature's development or through identifiable changes in knowledge on each particular kind of fish. Results & Conclusions : In the Imwon-Gyeongje-Ji, the consisting 16 parts are organically connected, sometimes functioning as cross-references. In particular, the medical contents on the efficacy of fish for treating disease is closely linked to contents on fish ecology and environment as written in the Jeoneo-Ji, which deals with the field of living things. On the more detailed knowledge on about 30 kinds of fish, one could grasp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nges of East Asian traditional knowledge on fishkind among historical study of influential Chinese texts, new stimulation and methodology through Japanese literature on natural history, and dynamic processes of inheriting and selectively accepting traditional knowledge of Joseon.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인제지(仁濟志)」 '탕액운휘(湯液韻彙)'와 처방 제형에 대한 연구 - '방(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by Seo-Yugu(徐有榘) Focusing on 'Fang(方)')

  • 전종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40
    • /
    • 2023
  • Objectives : This paper studies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which contains about 4,800 formulas. Created by 19th-century Joseon scholar Seo, Yugu, it not only lists the formulas according to their names, but also provides index by topic, which enabled the collection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massive medical information. Methods : We quantitatively examined the nearly 4,800 herbal medicines in the Tangaek-Unhoei and their categorization. Any uncommon or particular categorization was examined further b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Results & Conclusions : The prescriptions contained in the Inje-Ji are categorized under 26 headings. They are listed according to the 106 units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organized by double headings. This unique index makes it easy to browse the contents of such a vast book containing massive medicinal knowledge. In addition, the fifty or so remedies called 'Fang(方)' exemplify the author's attitude toward medicinal knowledge, which is both rational and inclusive. This is an attitude that should be recognized beyond tradition.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Seo Yu-gu's Design Concept for a Rural Residential Landscape)

  • 심명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7-137
    • /
    • 2022
  • 이 논문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14지 『이운지(怡雲志)』의 1권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향촌의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구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원경제' 기획 실천을 위한 토대인 향촌의 주거 공간은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통해 지향한 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원림·간소(園林·澗沼)>는 「형비포치」를 구성하는 네 부분 중 두 번째 주거환경 및 조경을 과 관련된 내용이다. 서유구는 <원림·간소(園林·澗沼)>를 통해 당시 문인들 사이에 이상적 정원에 대한 영감을 준 정도로 이해되었던 명말 유민 황주성의 「장취원기」를 조선적 풍수관에 입각해 해독하고, 장취원의 내용으로부터 배운 이상적 주거환경 조건을 조선의 향촌 주거에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서유구의 중국문헌에 대한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해 배운 내용을 조선에 적용하는 태도는 『임원경제지』<예언(例言)>에서 천명한 '조선만을 위한 내용을 채록한다'라는 『임원경제지』 저술의 목표를 보여주는 일례이자 서유구의 지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중요성을 띠고 있다.

취병(翠屛)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宙合樓) 취병의 원형규명 (Studies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hwibyeong and Investigating Original Form of the Chwibyeong at the Juhapru in the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2호
    • /
    • pp.86-113
    • /
    • 2014
  • 본 연구는 고문헌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분석하고 주합루 취병의 원형적 물상을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임원경제지", "증보산림경제" 등의 문헌분석결과 취병은 지지대의 종류, 식물소재, 식재형식에 따라 분류되었다. 지지대는 대나무, 진장목(眞長木), 기류(杞柳)에 따라 분류되며, 사용된 식물소재는 소나무, 주목, 측백나무 등의 상록침엽교목의 사용이 우세했다. 식재방법은 자연지반에 심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났으나, 분을 사용하여 인공지반에도 조성하였다. 둘째, 문헌에서 취병은 상록수를 사용한 식물 병풍에서만 사용된 용어였으며, 이의 상위범주어는 '병(屛)'으로 지시되었다. 즉 취병은 사계절 푸른 상록수의 특성을 일컫는 '취(翠)'와 대나무로 지지대를 만든 수벽 구조물인 '병'을 합성한 말이다. 또한 취병이라는 명칭에는 자연 산수를 묘사하는 문학적 상징성과 무산십이봉에 내재된 신선사상이 융화되어 있었다. 셋째, 1880년대에 촬영된 주합루 취병은 주목으로 보이는 침엽수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높이가 거의 2m에 달했다. 일제강점기 때 취병은 철거되었으나 취병의 소재로 사용된 주목이 몇 주 존치되어 있었고, 식재 시기가 불분명한 향나무가 어수문 양 옆으로 줄기를 늘어뜨린 채로 가꿔지고 있었다. 이 향나무는 한일병합 후 일본인에 의해 이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같은 시기에 어수문 좌우 협문이 변형되어 일본 건물의 합각모양을 한 지붕이 씌워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2008년 창덕궁 주합루 취병은 복구되었으나, 정밀한 고증의 부재로 원형적인 취병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식재된 조릿대가 동해를 입어 상당 부분 고사됨으로써 취병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바 가능한 본래의 식물소재를 사용하여 원형을 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취병 제작기술의 개발, 현대 조경에 응용하는 것은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