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by Seo-Yugu(徐有榘) Focusing on 'Fang(方)'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인제지(仁濟志)」 '탕액운휘(湯液韻彙)'와 처방 제형에 대한 연구 - '방(方)'을 중심으로 -

  • JEON, Jongwook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Jeonbuk National Univ.)
  • 전종욱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 Received : 2023.08.04
  • Accepted : 2023.09.10
  • Published : 2023.11.25

Abstract

Objectives : This paper studies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which contains about 4,800 formulas. Created by 19th-century Joseon scholar Seo, Yugu, it not only lists the formulas according to their names, but also provides index by topic, which enabled the collection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massive medical information. Methods : We quantitatively examined the nearly 4,800 herbal medicines in the Tangaek-Unhoei and their categorization. Any uncommon or particular categorization was examined further b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Results & Conclusions : The prescriptions contained in the Inje-Ji are categorized under 26 headings. They are listed according to the 106 units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organized by double headings. This unique index makes it easy to browse the contents of such a vast book containing massive medicinal knowledge. In addition, the fifty or so remedies called 'Fang(方)' exemplify the author's attitude toward medicinal knowledge, which is both rational and inclusive. This is an attitude that should be recognized beyond tradi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전북대학교 교육 연구 및 학생지도비 지원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徐有榘. 林園經濟志. 日本大阪府立中之島圖書館 소장.
  2. 徐有榘. 林園經濟志 1~6. 서울. 보경문화사. 1983.
  3. 徐有榘. 楓石全集. 서울. 보경문화사. 1983.
  4.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 탐구당. 1993.
  5. 許浚 著. 東醫寶鑑번역위원회 編. 대역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1999.
  6. 徐有榘 지음. 정명현 외 옮기고 씀. 林園經濟志: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서울.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2/2013개정판.
  7.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儒醫列傳). 파주. 들녘. 2011.
  8. 김호. 楓石의 醫學論: 仁濟志의 利用厚生을 중심으로. 서울. 실시학사 편. 풍석 徐有榘 연구 上. 사람의무늬. 2014.
  9. 문석윤. 楓石 徐有榘의 葆養志의 형성에 대한 연구. 서울. 실시학사 편. 풍석 徐有榘 연구 下. 사람의무늬. 2015.
  10. 徐有榘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역. 林園經濟志 佃漁志 1, 2. 서울. 풍석문화재단. 2021.
  11. 徐有榘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역. 林園經濟志 仁濟志. 미출간본.
  12. 조창록. 楓石의 실학자적 위상과 '林園經濟'. 서울. 실시학사 편. 풍석 徐有榘 연구 上. 사람의무늬. 2014.
  13. 조창록. 풍석 徐有榘에 대한 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4. 김대중. 풍석 徐有榘 산문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1.
  15. 전종욱.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28. 林園經濟志와 조선의 일용기술. 파주. 들녘. 2022.
  16. 오재근.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醫史學. 2012. 21(2).
  17. 박상영. 仁濟志의 조선후기 의사학적 위상과 의의. 한국실학연구. 2013. 25.
  18. 오준호.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 의사학, 2021. 30(1). http://dx.doi.org/10.13081/kjmh.2021.30.69
  19. 전종욱.조창록. 林園經濟志.仁濟志의 편집 체재와 조선 후기 의학 지식의 수용 양상. 醫史學. 2012. 21(3).
  20. 전종욱. [서평] 풍석 徐有榘 연구(상, 하): 임원에서 시작하는 조선 유학의 마지막 변주 一林園經濟志. 泰東古典硏究, 2019. 43.
  21. 전종욱. 조선 鍼灸의 지향에 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 32(3). https://doi.org/10.14369/jkmc.2019.32.3.059
  22. 전종욱. 19세기 조선의약 풍경과 약로 -신대우 가계 기록물과 徐有榘 이규경의 저술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22. 35(1). ttps://doi.org/10.15521/jkmh.2022.35.1.135
  23. 전종욱. 「林園經濟志」와 朝鮮 養生의 志向에 대한 硏究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22. 35(2). https://doi.org/10.14369/jkmc.2022.35.2.077
  24. 전종욱. 「林園經濟志」 어류 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22. 35(3). https://doi.org/10.14369/jkmc.2022.35.3.071
  25. 조창록, 「林園經濟志」의 찬술 배경과 類書로서의 특징. 진단학보. 2009. 108.
  26. 정명현. 林園經濟志 사본들에 대한 서지학적 검토. 규장각. 2009. 34.
  27. 심상규. 두실존고. 蘭臯徐尙書準平有榘送白魚. 한국고전종합DB [cited on 15 July, 2023]; Available from: https://db.itkc.or.kr/dir/item?itemId=MO#/dir/node?dataId=ITKC_MO_0602A_0040_010_0990
  28. 남공철. 금릉집. 答徐準平有榘. 한국고전종합DB [cited on 7 July, 2023]; Available from: https://db.itkc.or.kr/dir/item?itemId=MO#/dir/node?dataId=ITKC_MO_0593A_0110_020_0270
  29. 国学典籍网. 駢字類編. [cited at 17 July, 2023]; Available from: http://ab.newdu.com/book/ms16618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