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 of th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2,934건 처리시간 0.036초

도심 보행을 위한 GIS 거시 평가체계 개발 - 부산을 중심으로 - (GIS Macro Evaluation System for Urban Walk - Focusing on Busan -)

  • 유연서;김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581-590
    • /
    • 2022
  • 사람의 이동권 보장과, 도시의 활동성 제고를 기본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공공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품격 있는 보행 공간 조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런 품격 있는 보행 공간 조성을 위한 자료 구축의 밑거름을 마련하기 위해 보행길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요인과 공간을 견지하여 기본 체계를 설정하고 이 체계를 연구의 기본 틀로 하였다. 기존문헌을 통해 알아본 동향은 보행안전정책, 보행중심계획, 인식전환, 교통시스템, 활동연계보행, 시설활용보행, 자연역사연계보행, 콘텐츠융합보행 등 여덟 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관련연구들에서 언급된 거시·미시 지표와 요소를 종합하여 분류하고 이를 통합하여 보편성과 차별화를 위한 바탕을 갖추었다. 다음으로 이를 보완하여 보행 체계의 기본 구성에 따라 안전항목에 보행잠재성과 경사안전성, 편리항목에 보행기초연결성과 대중교통연계성, 건강항목에 보행정돈성과 휴식편의성, 매력항목에 경관자원연계성과 활동풍부성 여덟 개의 거시 평가 체계를 설정하고 측정방법을 개발하였다.

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 암환자의 임상적 예후인자 (Clinical Prognostic Facto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 문도호;최화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200-208
    • /
    • 2005
  • 목적: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에서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은 폐색의 다양한 증상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위장관 폐색으로 진단받아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48명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완화적인 암절제 환자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특성과 시술내용을 조사하였고 예후인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단변량 분석을 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은 65세이고 남자가 25명(52%), 여자가 23명(48%)이었다. 가장 많은 암은 대장직장암으로 26명(55%)이고 다음으로 10명(21%)의 위암이었다.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던 환자는 25명(58%)이었고 20명(42%)은 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18명은 항암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으로 15명(31%)이었다. 활동도 1점 혹은 2점이 23명(48%), 3점 혹은 4점이 25명(52%)이었다. 가장 많은 완화적인 시술은 대장루술로 19명이 받았다. 완화적 시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단변량과 다변량 분석에 의해서 전체 생존기간과 무증상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 만이 의미있는 독립 예후인자였다. 전체 중간 생존기간은 150일이었으며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은 90일이었다. 결론: 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의 전체 중간 생존기간과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만이 유일한 독립 예후인자였다.

  • PDF

청소년의 운동 중 신체적 외상에 대한 연구: 유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hysical Trauma on Adolescent during exercise: Focused on Judo)

  • 이종록;오청욱;이민선;서동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38-1945
    • /
    • 2014
  • 본 연구는 십대 유도 엘리트 청소년의 운동 중 신체적 외상의 정도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신체적 외상 개선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남자 67명 여자 14명 총 8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2013년 6월 1일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16.0 Version으로 빈도 분석,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항목은 신체적 외상의 경험 여부와 빈도, 부위, 종류, 시기, 원인, 치료 방법과 예방법으로 총 6개 항목이었다. 결과로서 외상 경험은 77(95.1%)명, 외상부위는 무릎 35(70.0%)명, 종류는 타박상 42(54.5%)명, 시기는 여름 54(70.1%)명, 원인은 신체적 충돌 40(51.9%)명, 치료방법과 예방에는 각각 병원이용 46(59.7%)명과 휴식 52(65.0%)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청소년의 운동 중 신체적 외상을 보건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 것은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정밀 체결토크 성능 너트런너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igh Precision Fastening torque performance Nut-runner System)

  • 김윤현;김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5-42
    • /
    • 2019
  • 현재 자동차 산업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제조업 분야에서 초정밀 제어를 요하는 너트 체결기가 요구되고 있고 너트 체결시의 중요한 성능 요소는 체결력 부족에 의한 풀림과 과도한 체결에 의한 파손 및 강한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건한 체결력 유지 등 조립 품질의 유지와 향상 및 제품 수명 보장을 위해 정확한 조임 토크, 각도 등이 요구된다. 현재 너트런너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는 너트 체결기는 고토크 및 정밀토크제어, 정밀 각도제어 그리고 생산량 증대를 위한 고속운전 등의 특성들이 필요하며 고출력이 가능한 BLDC모터 및 너트체결기 전용의 정교한 토크제어에 필요한 고정밀 토크제어드라이버와 고속, 저속, 고응답의 정밀 속도 제어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으나 현재 고객이 요구하는 고정밀, 고토크 및 고속 작업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체결 토크 및 고속 회전에서도 저진동 및 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는 d축, q축의 좌표변환에 의한 벡터제어와 토크제어기반의 BLDC모터 가변속 제어와 너트런너의 제어 기술을 제안하고 여러 실험을 통해 성능 결과를 분석하여 제안한 제어가 너트런너 성능을 만족하는지를 확인 하였다. 또한 일단 운전 체결 방식(One Stage 운전 체결 방식)으로 패턴을 프로그램하여 10,000[rpm] 고속 운전 후 목표 토크로 정확히 체결됨을 확인하였으며 토크 리플에 의한 가체결 토크 검출의 문제점도 외란관측기을 사용하여 해결하였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골프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oach Sup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Golf Participants)

  • 김동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3-144
    • /
    • 2020
  •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의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코치지원은 성취목표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성취목표성향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골프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건강효과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골프 기술습득이나 기량향상 등의 성취감을 만들어 성취목표성향이 높아진다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골프참여자의 건강신념과 환경관심도 및 운동지속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Environmental Concern and Continue Exercise for Golf Participants)

  • 김형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81-591
    • /
    • 2019
  •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과 환경관심도 및 운동지속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건강신념은 환경관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환경관심도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은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환경관심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골프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건강효과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골프 기술습득이나 기량향상 등의 성취감을 만들어 환경관심도가 높아진다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복합운동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환자의 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Pain and Muscle Ac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이선주;최원호;임재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84-1689
    • /
    • 2012
  • 본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을 가진 노인 환자에게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퇴행성 슬관절염 진단을 받은 노인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운동군(n=12)과 통제군(n=11)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 온열 및 전기치료를 포함한 물리치료를 40분간, 주 3회, 10주간 실시하였고, 운동군에는 추가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주 3회, 40분간, 10주간 적용하였으며, 훈련 전과 후의 VAS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10주)후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에서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통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둘째, 운동군에서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운동군과 통제군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퇴행성 슬관절염을 가진 노인 환자에게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통증과 근활성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게 복합운동뿐만 아니라 유산소운동,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등을 접목시켜 노인환자들이 손쉽게 할 수 있는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재배방법별 주요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세척단계까지 미생물상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Populations on Major Leafy Vegetables Cultiv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Production to Washing Stages)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농법별 주요 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수확된 농산물의 모의유통과 세척단계까지 동일 개체를 대상으로 미생물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단계별 미생물적 안전성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생산 및 유통중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 세균을 제외한 조사대상 미생물은 발병량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생산단계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이었던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균의 검출량은 엽채류의 종류,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생산단계보다 모의유통 중 증가하였으나, 세척단계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산과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미생물이 모의유통중 검출된 것은 수확후 처리과정 중 교차오염으로 예상되며, 생산단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던 미생물의 증가는 유통과정 중 증식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통단계에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의 확대 적용과 운반도구 등에 대한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관리 경험 (Health Management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Severe Congenital Heart Disease)

  • 황지혜;채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659-671
    • /
    • 2020
  • 중증 선천성 심장병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전인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다. 본 연구는 한국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관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하였다. 그러나 심장 기능, 자아정체성,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으며 부분적인 건강관리를 실천하고 있었다.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들은 신체적인 제한이나 주변의 차별적인 시선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지만, 질병정보 관리, 또래와의 동질성 추구, 자신의 질병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을 통해 정상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는 질병지식과 정신건강 내용을 선호하였고, 청소년 캠프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달방식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선천성 심장병 청소년의 건강한 성인기로의 전환을 도울 수 있는 건강관리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비타민 D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and Obesity to Improve Quality of Life)

  • 김성길;박부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39-1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D와 소변 microalbumin / creatinine (uACR)과 한국 성인의 비만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2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 (4,948명)이었다. 공변량을 보정한 공분산 검사는 비타민 D 결핍과 관련하여 uACR 수준에 대해 실시되었다[비타민 D 결핍, 25 (OH) D < 10 ng / dL; 비타민 D 부족, 25(OH) D ≥ 10, < 20 ng / dL; 충분한 비타민 D, 25(OH) D ≥ 20 ng / dL].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하지 않은 집단(BMI < 25 kg / m2)에서 uACR 수준은 관련 변수를 조정한 후에 비타민 D 상태의 증가와 함께 감소했다(p < 0.001). 둘째, 비만 인구 (BMI ≥25 kg/m2)에서 uACR 수준과 비타민 D 상태 사이의 연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p = 0.659). 결론적으로, 소변 microalbumin / creatinine 치는 비만이 없는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D 상태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나 비만이 있는 한국 성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