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 of th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2,947건 처리시간 0.034초

천골에 발생한 척색종의 치료결과 (Oncologic Outcome of Sacral Chordoma)

  • 조상현;이수용;전대근;송원석;공창배;이정동;조완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6-71
    • /
    • 2012
  • 목적: 천골에 발생한 척색종의 치료결과 분석을 통해 생존율 및 종양의 국소조절과 연관된 예후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56세였으며 남자9예, 여자 10예였다. 15명의 환자에서 후방접근법을 이용한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의 환자는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하였다. 종양의 위치가 S3 보다 근위부를 침범한 경우가 6예였으며 이중 4예에서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하였다. 광범위 절제 6예, 변연부 절제 8예, 병소내 절제 1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3개월(25-144개월)이었다. 결과: 5년 무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은 각각 34.7%, 79.7%였다. 재발은 9예, 원격전이는 7예에서 발생하였다.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 인자는 종양의 제3천추 상방 침범유무(p=0.033), 종양의 크기(p=0.032)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배뇨 및 배변 장애가 발생한 경우가 9예였으며 이중 2예에서는 자가도뇨 시행이 필요하거나 중증의 요실금이 발생하였다. 결론: 종양의 절제 가능성 여부와 더불어 전반적인 환자상태와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고려한 치료방법의 선택이 생존율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건강관리 중요도 인식이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ealth Management Importance Awareness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Basic Fitness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손성민;전병진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31-51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이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거주 지적장애인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07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총 12주 동안 주 2회 탄성밴드를 활용한 부위별 근력운동을 실시하였다.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평가로 프로그램 참여 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 도구를 활용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매우높음) 집단과 중요도(보통)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건강관리 중요도에 따른 중요도(매우높음), 중요도(보통) 집단의 수행도, 만족도, 근력, 유연성의 집단내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참여 전, 후 증가하였으며, 집단간 분석결과 수행도, 만족도의 사후분석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분석결과 근력, 유연성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에 있어서 중요도 인식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건강관리활동의 참여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요실금환자의 골반근육운동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배뇨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Urinary Symptoms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이영희;김선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0-369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urinary symptoms,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for vaginal contraction after pelvic muscles exercise were examined. Metho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participants were 27 married women from G cit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the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a subjective measur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developed by Jackson et al.(1996) and the Perineometer used as an objective measurement of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Result: 1.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exercise (t=-3.832, p= .001). 2. Comparison of results before the pelvic muscles exercise and after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veral urinary symptoms including enuresis (t=2.833, p=.009), frequency of incontinence (t=2.964, p= .006), incontinence volume (t=2.280, p= .031), incontinence before getting to the restroom (t=3.035, p= .006), incontinence with no reason or feeling (t= 3.051, p= 005) burning sensation (t= 2.132, p=.043), and a sense of residual urine (t=2.267 p=.032). The mean scores showed improvement in the urinary symptoms of management of incontinence (M=$0.04{\pm}0.22$), daily frequency of incontinence management (M=$0.13{\pm}0.85$), urinary control (M=$0.15{\pm}0.86$), running to the restroom (M=$0.15{\pm}0.60$) incontinence caused by coughing or physical activities (M=$0.19{\pm}0.57$) and hesitancy (M=$0.07{\pm}0.55$). Overall urinary symptoms decreased significantly (t =3.073. p= .007). 3. Peak pressure showed an increase from a mean of $24.26{\pm}16.20mmHg$ before the exercise to a mean of $28.63{\pm} 17.79mmHg$ after (t=-2.399, p=.024). Duration in seconds also increased from a mean of $6.00{\pm}4.95sec$ to $9.15{\pm}5.83sec$ (t=-4.400, p= 000).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serves to decrease urinary problems, improve self-esteem and increase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 PDF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Management System with Individually Adapted Complex Care)

  • 노시철;김주영;김진수;강상식;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3-91
    • /
    • 2012
  •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 신문영;박종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98-107
    • /
    • 2020
  •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및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직무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PASW(SPSS) 25.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기능(행정적, 교육적, 지지적)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 (Determinants of Housing-Cost Burden among Subsidized Households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

  • 박서연;전희정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27-48
    • /
    • 2019
  •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housing welfare policy to ease low-income households' housing-cost burde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However,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still show a high level of housing-cost burde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current housing welfare policy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both subsidized and unsubsidized households' housing-cost burden.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2017 Korea Housing Survey" and divides groups into public housing residents,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We compared the level of housing-cost burden by employing t-test and chi-squared analys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cost burden by emplo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housing cost is the most burdensome for the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group, followed by the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and public housing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cost burden are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In case of public housing residents, housing characteristics usually affect the housing-cost burden. For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both housing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housing-cost burden. Looking at the detailed factors, except for the housing tenure and regional average rents that are common factors for all groups, the amount of depos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ehold employment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for both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and unsubsidized low-income renter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lind spot of the current housing welfare policy. Secon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efforts to ease the level of housing-cost burden for renters. Fourth, a program is needed for those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need a deposit support. Fifth, there should be further assistance with public housing for the poorest people.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적정 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ea Calcul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 신영선;강영은;지달님;김지애;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28-38
    • /
    • 2010
  •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등은 농촌마을의 대표적인 커뮤니티시설로서 공동생활이 일상화된 농촌 주민들의 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과 주민들의 문화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그러나, 현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커뮤니티공간의 협소함과 프로그램의 획일화에 대한 문제점은 우리나라 농촌마을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모색에 미흡하다. 따라서 농촌마을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과 계절별 연령별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활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농촌마을 커뮤니티공간의 적정면적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대표적인 5가지 유형의 커뮤니티시설인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마을마당, 운동공간 및 놀이공간의 적정 면적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향후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공간 면적 산정에 관한 기존연구 조사, 전국5개도 25개 농촌마을 지역 현황조사, 만족도조사를 통하여 커뮤니티시설별 적정한 면적기준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커뮤니티시설별 적정기준은 현재 대표적 커뮤니티시설별 평균 면적을 상회하는 결과로서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환경 개선과 주민들의 커뮤니티활동 및 의식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gnificance of Tissue Expression and Serum Levels of Angiopoietin-like Protein 4 in Breast Cancer Progression: Link to NF-κB /P65 Activity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 Shafik, Noha M;Mohamed, Dareen A;Bedder, Asmaa E;El-Gendy, Ahmed 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579-8587
    • /
    • 2016
  • Background: The molecular mechanisms linking breast cancer progression and inflammation still remain obscu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ssociation of angiopoeitin like protein 4 (ANGPTL4) and its regulatory factor, hypoxia inducible factor-$1{\alpha}$ (HIF-$1{\alpha}$), with the inflammatory markers nuclear factor kappa B/p65 (NF-${\kappa}B$/P65) and interleukin-1 beta (IL-$1{\beta}$) in order to evaluate their role in inflammation associated breast cancer prog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Angiopoietin-like protein 4 (ANGPTL4) mRNA expressions were evaluated using quantitative real time PCR and its protein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DNA binding activity of NF-${\kappa}B$/P65 was evaluated by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immunoassay. Serum levels of ANGPTL4, HIF-$1{\alpha}$ and IL-$1{\beta}$ were immunoassayed. Tumo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ere investigated. Results: ANGPTL4 mRNA expressions and serum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grade breast carcinoma ($1.47{\pm}0.31$ and $184.98{\pm}18.18$, respectively) compared to low grade carcinoma ($1.21{\pm}0.32$ and $171.76{\pm}7.58$, respectively) and controls ($0.70{\pm}0.02$ and $65.34{\pm}6.41$, respectively), (p<0.05). Also, ANGPTL4 high/moderate protein 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mo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addition, serum levels of HIF-$1{\alpha}$ and IL-$1{\beta}$ as well as NF-${\kappa}B$/P65 DNA bind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grade breast carcinoma ($148.54{\pm}14.20$, $0.79{\pm}0.03$ and $247.13{\pm}44.35$ respectively) than their values in low grade carcinoma ( $139.14{\pm}5.83$, $0.34{\pm}0.02$ and $184.23{\pm}37.75$, respectively) and controls ($33.95{\pm}3.11$, $0.11{\pm}0.02$ and $7.83{\pm}0.92$,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ANGPTL4 high serum levels and tissue expressions in advanced grade breast cancer, in addition to its positive correlation with tumo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HIF-$1{\alpha}$ could highlight its role as one of the signaling factors involved in breast cancer progression. Moreover, novel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NGPTL4 and the inflammatory markers, IL-$1{\beta}$ and NF-${\kappa}B$/p65, in breast cancer, which may emphasize the utility of these markers as potential tools for understanding interactions for axes of carcinogenesis and inflammation contributed for cancer progression. It is thus hoped that the findings reported here woul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new breast cancer management strategies that would promot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improve clinical outcomes. However, large-scale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se results.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Young Generation's Fairness Perception on Hopelessness: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안계한;김민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57-4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가 겪고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 없음이 사회적 관심으로 커져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청년세대인 20-30대 313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성 인식은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망감은 공정성 인식, 통제감, 자존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통제감이 매개하였다. 셋째, 공정성 인식과 무망감의 관계를 자존감이 조절하였다. 높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적은 반면 낮은 자존감 집단은 공정성의 인식에 따른 무망감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성 인식이 낮을 때 높은 자존감이 무망감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세대의 무망감을 낮추어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요추부 안정화 운동이 정적, 동적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ing and Gait of Stroke Patients)

  • 최원호;신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86-49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요추부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적, 동적운동의 균형 및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하였다. 27명의 뇌졸중 환자 중 실험군 14명과 대조군 13명으로 구분하고 하루 30분 주 4회로 6주간 실시하였다. 변인은 요추부 안정화 운동 전-후로 정적, 동적기립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 확인 하였다. 결과는 IBM SPSS(19.0 version)을 이용하여 전-후 차이검증과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과 이원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요추부 강화 운동 후 정적기립 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요추부 강화 운동 후 동적 기립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요추부 강화 운동 후 보행동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집단 간 상호 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요추부 운동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요추부 안정화 운동을 통해 신체치료 및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 되며 다양한 요추부 운동 적용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