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 Assessment Index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1초

생태면적률 산정지표 개선방안을 위한 전문가 의견분석 연구 (An Expert Opinion Analysis Study for Improvement of Biotop Area Ratio Index)

  • 송병화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438-448
    • /
    • 2022
  • 본 연구는 공간계획 단계에서 생태적 건전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계획수단으로 환경생태계획 기법과 환경계획지표인 생태면적률의 정량적인 산정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재 운영 중인 공간유형 및 산정지표에 대해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공간유형 및 가중치의 개선에 대한 의견분석을 통해 대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공간유형 및 산정지표의 심층분석을 위한 공간유형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를 위한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50인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태면적률 유형별 한계점과 개선에 대한 의견분석을 통해 발전하는 기술과 공법, 유지관리 효율성, 경제성, 시공기술의 향상 등과 연계한 생태면적률 적용을 통해 도시환경의 개선과 생태면적률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 열저감 관점에서의 오픈스페이스 토지이용 공간패턴분석 (Open Space Spacial Patter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Heat Mitigation)

  • 강상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33권4호
    • /
    • pp.155-163
    • /
    • 2024
  • 연구목적은 오픈스페이스 토지이용 공간패턴이 도시 열저감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가능성 수준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InVEST Urban Cooling Model을 이용, 5개 토지이용 시나리오별 Cooling Capacity Index 산출, (2) Guidos Spatial Pattern Toolbox를 사용, 토지이용 시나리오별 각각의 오픈스페이스 Entropy와 형태학적 공간패턴 산출, (3) InVEST 결과값과 Guidos 결과값들의 Spearman rank correlation analysis.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Cooling Capacity Index와 오픈스페이스 면적비 순위 상관성은 보통이며(rho=0.50), 그 외 지표들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 열저감 관점에서는 오픈스페이스 총량만이 큰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있으며, 그 외 오픈스페이스 입지 공간패턴은 도시 열환경 관리 관점에서 큰 의미는 없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식생분포에 따른 하도의 통수능 검토를 위한 3차원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Model to Evaluate Stream Discharge Capacity due to Vegetation)

  • 노준우;이진영;안기홍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37-48
    • /
    • 2011
  • Recently,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unctions of nature river are important due to the increase of expectation for river restoration. So it should be considered the effect of vegetation affecting the conveyance capacity and hydraulic resistance. However, it has not yet proposed a objective standard and modeling method to estimate the effect of conveyance capacity according to vegetaion distribution in the watercourse such as water level or velocity. Therefore, this study simulates the variations of water level and velocity using 3-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EFDC, to consider a conveyance capacity in downstream of the Soyang Reservoir. The simulation results were validated using statistical index such as F-test and T-test. As results, the water level rises about 0.01 to 0.47m and velocity difference are about -0.95m/s to 0.23m/s.

국립공원관리를 위한 위성영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A Study of Appl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 in case of Bukhansan National Park-)

  • 박경;장은미;신상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3호
    • /
    • pp.167-174
    • /
    • 2001
  • National Parks in Korea occupy about four percents of South Korean land. This paper aims to prove the potentiality of the appl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Different satellite images such as Landsat TM, IRS-1C, Alternative image, and IKONOS image are analyzed for the detection of changes, the extraction of degraded areas, and the comparison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nd paved areas are overvalued in relatively higher resolution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oice of images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specific purposes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resolution data may be the solu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 PDF

구체손상에 따른 콘크리트 교각의 고유진동수 변화 (Damage Effects on the Natural Frequency of Concrete Pier)

  • 박병철;오금호;박승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
    • /
    • pp.335-338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impact vibration test on the damaged concrete pier can be adopted for assessment of the bridge substructure integrity. Using the experimental modal analysis, the dynamic property changes of the concrete pier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amage levels which are modeled by the loss of cross section area of the pier body. As a result of the impact vibration test, it is found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bridge substructure is reduced due to the damage on the pier such as loss of cross section area, and the natural frequency can be used for assessment of the integrity index.

  • PDF

학교 교실 공기질 관리를 위한 건강영향 기반 실내공기질지수 개발 (Indoor Air Quality Index for School Classrooms Based on Health Effects)

  • 김도윤;권지유;이태정;박영구;조영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80-392
    • /
    • 2021
  • 어린 학생들에 대한 HQ (Hazard Quotient) 기반으로 학교교실 실내 공기질 지수 (IAQI-S)를 개발하였다. IAQI-S는 PM10, PM2.5, CO2를 포함하며, IAQI-S의 기준농도는 지정된 HQ값을 통해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IAQI-S를 이용하여 2017년 1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실시간으로 측정한 전국 46개 학교 123개 학급을 평가해보았다. 종합지수 평가 결과, PM10의 93.1%, PM2.5의 94%가 '좋음'과 '보통' 등급에 포함되었다. 8시간 예측 이동 평균을 기반으로 한 IAQI-S는 CAI(Comprehensive Air-quality Index) 및 외국에서 발표되었던 IAQI와 비교하였다. IAQI-S는 CO2를 포함하며 대기질지수 (CAI)에 비해 더 엄격한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표의 내재적 가중치를 고려한 하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 (Analyzing Ecological Soundness Considering the Implicit Weight of the Indicator)

  • 김홍명;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4호
    • /
    • pp.258-26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수계 하천의 생태적 건전성을 평가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지역은 금강수계 14개 중권역으로 하였다. 평가지표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전성 지표 선정은 지표 간 내재적 가중치 변화 특성을 고려한 조정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최종 통합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지표는 수량, 수질, 수생태, 서식·수변환경 부문 중 수생태 부문의 지수로 파악되었다. 하천의 생태적 건전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댐상류 유역(대청댐 기준)은 2014년까지 기준년도(2008)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상태로 평가되었으며 댐하류 유역은 좋지 않은 상태로 평가되었다. 년 단위 생태적 건전성 지수의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다. 용담댐, 용담댐하류, 보청천, 대청댐, 대청댐하류, 논산천의 경우는 시기별 차이는 있으나 건전성 지수의 저하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무주남대천, 영동천, 갑천의 경우는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초강, 대청댐상류, 미호천, 금강공주, 금강하구언은 건전성이 개선된 후 다시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Spatial Composition Affecting Bird Collision in Suwon-city, South Korea)

  • 김수련;최재연;서자유;김수경;백지원;송원경;박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41-249
    • /
    • 2022
  • 도시에서 사람과 야생조류는 함께 살아가고 있으나, 도시화가 가져온 생태계 파편화로 조류의 서식과 이동에 위협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야생조류 사체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조류에게 취약한 공간, 위협요인을 확인하고자, 사체 확인 지점과 반경 500m 이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체 확인 지점은 NDVI 0.3, NDBI -0.05, NDWI -0.16의 특성을 보였다. 반경 500m 이내에는 NDVI 0.34, NDBI -0.01, NDWI -0.18, 건물 높이 13.8m, 방음벽 길이 227.3m로 확인되었다. 토지피복유형은 초지, 시가화건조지역, 나지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 저수지 등과 인접한 아파트의 녹지, 골프장 등이 섞여있는 시가화지역의 가장자리가 위협적인 공간으로 도출되었다. 도시에서 조류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부터 수직적 공간 변화에 따른 영향이 검토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도시의 수직 구조물에 대한 공간 자료 구축과 현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자연에서 도시로 변화될 수밖에 없는 공간은 야생동물이 안전하게 회피, 적응할 수 있는 시공간적 측면이 고려된 사전예방적 관리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매체별 취약성을 반영한 장외영향평가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f Off-site Risk Assessment using Vulnerability by Environmental Medium)

  • 최우수;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50-156
    • /
    • 2018
  • As the types and usage of chemical increase, modern countries should protect their health and environment from the risk of hazardous chemical. Chemical accidents not only affect humans but also cause huge losses to the environment. Moreover, since its effects do not e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xtent of the damage and establish a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in advance. In 2015, the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Act provided a system for assessing the impact on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 workpla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act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vegetation and aquatic, with the current hazard assessment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isk of environmental receptors. This study improved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formula by using the environmental vulnerability index and established the end point concentration criterion which can estimate the damage range to environmental media.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a virtual accident scenario was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extent of impact on the environmental medium can be calculated, and the degree of environmental risk of the zone can be quantified through the risk analysi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vulner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liability of the existing risk anaylsis method beacause it is a risk analysis method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absolutely necessary and when the residents and environment are complex.

Emergy 분석을 이용한 환경영향평가의 종합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valuation by the Emergy Analysis)

  • 강서희;이석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5-343
    • /
    • 2017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s an important policy implemented before starting development projects to estimate and reduce environmental impact. However, the difficulty of quantification on several rating categories has hampered comprehensive analysis. Instead of it, the current EIA just summarizes outcome of investigation. Therefore, EIA fails to definitively ascertain whether the development shold be approved or not.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way to comprehensive decision-making by applying Emergy analysis and Emergy indicators to EIA. Production (P), Emergy Yield Ratio (EYR), Environmental Loading Ratio (ELR) and Emergy Sustainability Index (ESI) were selected for indicators. The indicators of range approving the development were set up with comparing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or according to circumstances of which view of average that was classified as region or industry is appropriate to analysis. As a result, the value after development of P should be higher than the value before development. EYR and ESI of the value before development should be higher than region or industry average. On the contrary to these, ELR of the value after development should be lower than region or industry average. To verify applying Emergy indicators to EIA comprehensive analysis, Emerg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real case. As a result, applying Emergy analysis could suggest whether the development is appropriate or not. These indices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applied decision-making on environmental impa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