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gold metho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오제스키병 바이러스 항원검출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조직절편내 immunogold-silver법-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Aujeszky's disease virus antigens : Immunogold-silver method in tissue sections)

  • 김순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5-369
    • /
    • 1988
  • 본 연구는 감염돼지와 조직배양세포의 동결 및 파라핀 절편에서 immunogold-silver(IGS)법을 이용하여 오제스키병 바이러스를 검출코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자돈 5두와 돼지뇌유래 섬유 아세포 및 BHK 세포를 공시하였고, IGS법과 immunoperoxidase법의 1차 항원으로는 2종의 단크론성 항체와 고도면역혈청을 사용하였다. IGS법은 양성부위에서 흑색의 미세한 과립의 침착을 볼 수 있었고, immunoperoxidase법에 비해 탁월한 효과를 얻었으며, IGS법은 조직내에 존재하는 각종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Influence of Glutaraldehyde Concentration on Electron Microscopic Multiple Immunostaining

  • Bae, Jae Seok;Yeo, Eun Jin;Bae, Yong 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0권4호
    • /
    • pp.183-187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glutaraldehyde (GA) concentration on multiple electron microscopic (EM) immunostaining using pre-embedding peroxidase and post-embedding immunogold method. Influ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A included in the fixative on immuoreactivity was assessed in the multiple immunostaining using antisera against anti-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TRPV1) for peroxidase staining and anti-GABA for immunogold labeling in the rat trigeminal caudal nucleus. Anti-TRPV1 antiserum had specificity in pre-embedding peroxidase staining when tissues were fixed with fixative containing paraformaldehyde (PFA) alone. Immunoreactivity for TRPV1 was specific in tissues fixed with fixative containing 0.5% GA at both perfusion and postfixation steps, though the immunoreactivity was weaker than in tissues fixed with fixative containing PFA alone. Tissues fixed with fixative containing 0.5% GA at the perfusion and postfixation steps showed specific immunogold staining for GAB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GA concentration is critical for immunoreactivity to antigens such as TRPV1 and GABA.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 GA concentration is 0.5% for multiple immunostaining with peroxidase labeling for TRPV1 and immunogold labeling for GABA.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Translocation Mechanism of Glucose Transporters by Insulin

  • Hah, Jong-Sik;Kim, Ku-J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7권2호
    • /
    • pp.123-138
    • /
    • 1993
  • The mechanism of insulin action to increase glucose transport is attributed to glucose transporter translocation from intracellular storage pools to the plasma membrane in insulin-sensitive cell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visualize the redistribution of the glucose transporter by means of an immunogold labelling method. Our data clearly show that glucose transporter molecules were visible by this method. According to the method this distribution of glucose transporters between cell surface and intracellular pool was different in adipocytes. The glucose transporter molecules were randomly distributed at the cell surface whereas the molecules at LDM were farmed as clusters. By insulin treatment the number of homogeneous random particles increased at the cell surface whereas the cluster forms decreased at the intracellular storage pools. It suggests that the active molecules needed to be evenly distributed far effective function and that the inactive molecules in storage pools gathered and termed clusters until being transferred to the plasma membrane.

  • PDF

이중면역황금표지법을 이용한 작은와포자충의 세포골격 단백질 분포 관찰 (Localization of cytoskeletal proteins in Cryptosporidium parvum using double immunogold labeling)

  • 유재란;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15-224
    • /
    • 1996
  • 작은와포자충의 세포골격 단백질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actin, tropomyosin, $\alpha$-actinin 및 troponin-T의 분포를 이중면역 황금표지법 (double immunogold labeling method)으로 관찰하 였다 관찰된 모든 발육 단계의 충체에서 매우 많은 양의 tropomyosin이 세포질 및 세포막에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actin보다도 더 많은 양이 관찰되었다. ${\alpha}-actinin$의 경우는 주로 세포막에 소량이 분포하였으며 Troponin-T는 어느 발육 단계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 tropomyosin의 분포 정도도 미루어 볼 때 이 단백질이 작은와포자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추측되며, 주로 세포막에 다량으로 분포하는 actin, tropomyosin 및 ${\alpha}-actinin$은 면역진단 및 면역치료의 대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면역황금표지법에 의한 일록춘폐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성부위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Paragonimus iloktsuenesis during developmental stage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김훈식;이옥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65-376
    • /
    • 1995
  • 일록춘폐흡충(Poragonimus iloktsuenensis)의 표피층, 장상피층 및 난황선의 조직항원 성을 발육단계별로, 면역황금표지법(immunogoldlabelingmethod)으로 관찰하였다. 일록춘폐흡충 으로 감염건 횐쥐(Sprague-Dawley)로 부터, 감염후 2주 3주, 4주, 5주 및 33주에 적출한 충체를 항원으로 사용하였고, 감염 후 10주의 흰쥐혈청을 항체로 사용하였다 조직항원성은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표피층은 유약충으로부터 성충에 이르는 발육과정중 전반적으로 황금입자 표지가 많지 않았고 충체가 성숙되어감에 따라서 황금입자 표지가 다소 드물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충체 개체별 항원 강도에 차이가 많았다. 장상피층과 난황선은 충체의 발육단계에 관계없이 많은 수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강한 항원성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 일록춘폐흡충의 표피층 장강피층, 및 난황선은 중요한 조직항원 부위로 보이나, 표피층은 항원성이 낮은 편이고, 발육단계 및 개체별로 항인강도에 차이가 있었다. 장상피층 및 난황선도 개체별로 황금입자 표지강포에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충체의 발육단계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강한 항원성이 유지되는 조직부위로 보인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호르텐스극구흡충의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Echinostoma hortense Observed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 Yoon-Kyung Jo;Yong-Suk Ryang;Kyu-Je Lee;Insik Kim;Jang-Keun Ryu;Mi-Sook S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5
    • /
    • 1999
  • 호르텐스극구흡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성충을 획득하여 고정, 포매 및 절편하여 조직항원 분포 부위를 관찰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체는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채혈한 혈청과 호르텐스극구흡충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흰쥐에게 근육 주사하여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였으며, 이 혈청을 반응시켜서 호르텐스극구흡충 조직내의 항원성 분포를 규명하였다. 한편, 면역황금표식법에 의한 미세조직의 항원성 반응 여부는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충체 조직에서 황금입자와 강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은 표피층의 표지합포체, 난황세포의 구성물질, 유연조직의 분비과립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물질 등에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원은 생식세포와 소화분비 및 소화관계통에서 분비 유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유약함충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the young adult worm of Paragonimus westermani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권오성;이준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1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에 감염된 숙주에 대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분포하고 있는 부위를 화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IgG와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의 특이 IgG를 폐흡충 유약성충 조직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IgG를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층은 표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포함된 표피 합포체로 구성되어 기저층과 분명하게 구별되었으며 근육층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난황세포는 크기가 다양한 분비과립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조면소포체가 발달되어 있었다. 맹관의 막구조물은 잘 발달되었으며 장상피 합포체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한펀, 폐흡충에 감염된 실험동물의 특이 항체로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의 세포질에 황금입자의 매우 특이적인 표식가 관찰되었고 난황세포에서는 분필과립에 황금 입자가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맹관 상피 합포체는 미약하게 황금 표지가 되었고 맹관 막구조물과 맹관 내강에도 특이하게 황금 표지가 관찰되었지만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보다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는 폐흡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과 난황세포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형성되며 일부는 맹관 내용물에 의해 약간의 면역항체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pplication on Microwave Energy in the Preparation of Fish Samples for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 Kim Soo Jin;Oh Hae Keun;Song Young-Hwan;Chung Hyun-Do;Kim Young-Tae;Park Nam-Kyu;Choi Tae-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187-191
    • /
    • 1998
  • Chemotherapy can not be applied for the control of fish viral diseases because viruses depend on host machinery for their replication. Although new control strategies including vaccination are under development, avoidance of virus introduction by rapid and correct diagnosis is the best way of fish viral disease control. Although observation of virus particl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is an easy method for virus detection, it take a few days for the sample preparation. In order to shorten the sample preparation time, microwave radiation was applied in the procedure. With this method, 15 seconds was enough for fixation of virus infected fish samples or cultured cells inoculated with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which takes 2-4 hours with routine methods. Also four minutes was enough for polymerization of embedding resin which takes 24-48 hours with routine methods. Samples prepared with microwave were good enough for direct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immunogold labeling assay.

  • PDF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소화관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Land Snail Nesiohelix)

  • 정계헌;이용석;김은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9-159
    • /
    • 1998
  • In order to observe the anticellulolytic localization in the epithelia of the digestive tract such as esophagus, crop, and intestine of a Korean land snail N. samarangae, a cytochemical method and a immunogold labelling method were applied. For the 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Benedict reaction method applied. And for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rabbit serum immunoglobuins (IgG) was obtained from the rabbits injected with cellulase which was extracted from body fluid of the snail. The digestive tract tissues of N. samarang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2% OsO4 and embedded in Lowicryl K4M at -40$^{\circ}C$ under UV light (360 nm). The thin sections were loaded on the nickel grids and stained with the serum IgG and protein A-gold complex (particle size: 10 nm). Observations were undertaken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 JEM-1010). The epithelium of the digestive tract was consisted of five types of cells. In the cytochemical study, the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acuoles derived from the Bebedict reaction. In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protein-A gold particles were selectively labelled in Type 1, Type 3 and Type 4 cells in intestinal tissue. membranes of rER, in the surrounding cytoplasm of the rER and secretory granules, and in the apical cytoplasm of the cells. On the material being secreted from the apical cytoplasm was also label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The all results obtained throughtout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the snail N. samarangae seretes cellulase as one of digestive enzymes.

  • PDF

면역황금 표기법을 이용한 간흡충의 체액 항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fluid antigen of Clonorchis sinensis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주봉덕;임한종;김수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11-24
    • /
    • 1990
  • 간흡충의 항원성 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간흡충 충체로부터 분리한 체액을 실험 토끼에 주사하여 면역시킨 IgG와 간흡충에 감염된 실험 토끼의 IgG를 간흡충 조직 항원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 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흡충의 조직세포 사이의 구성물인 세포간질과 맹관의 내용물, 그리고 맹관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 모두에서 항원-항체 반응이 관찰되었지만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서 다소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표피의 기저층과 난황선의 난황 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서는 강한 반응이 나타나 이들을 구 성하는 물질은 체액 반응 IgG에 대한 특이 항원으로 생각되었다. 배설관의 내용물과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반응이 특이하였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한 반응은 매우 미 약 하여 항원성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수정낭의 정자세포 간질은 충체 감염 IgG에 반응 하고 정자세포의 두부는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 반응하여 매우 상이한 항원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충체의 세포간질과 맹관 구성물은 충체 감염시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하여 반응의 정도 차이는 있으나 항원성으로 관찰되는 것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정낭의 세포간질과 배설낭의 구성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이며 수정낭 내의 정자들의 두부와 난황을 구성하는 물질은 체액 면역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