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mersive Media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Market Analysis of Seoul's Commercial Districts by Food Service Sector Using Sales per Store (점포당 매출액을 활용한 서울 소재 외식업종별 상권 분석에 관한 연구)

  • Sora Jang;Jaeho Hwang;Sooyon Seo;Moo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398-401
    • /
    • 2023
  • 본 연구는 서울소재 외식업종의 6년간 점포당 매출액 데이터를 이용해 시계열 군집분석을 수행, 업종 및 지역별 상권을 세분화하고 '성장 상권'부터 '쇠퇴 상권'에 이르기까지 재정의한다. 이를 통해 예비 창업자와 소상공인이 업종과 지역을 선정하는 지표들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Hyper-reality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Prospects (초실감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발전 전망)

  • Y.S. Cho;E.H. Hyun;S.J. Bae;H. Jeong;S.D. Ah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9 no.2
    • /
    • pp.1-11
    • /
    • 2024
  • The metaverse is expected to evolve into an immersive environment based on photorealistic stereoscopic imaging to integrate real and virtual worlds. To transition from flat images to immersive stereoscopic images, such as light fields and holograms, a continuous cycl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reached in media, content, and device technologies, ranging from acquisition and generation to transmission and synthesis as well as reproduction and interaction. Additionally, owing to the multitude of components involved in the metaverse, proper service realization will be challenging without concurrent advancements in compu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such components. We introduce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media, contents, and devices at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ward the next generation of stereoscopic images.

Spatial Audio Technologies for Immersive Media Services (체감형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공간음향 기술 동향)

  • Lee, Y.J.;Yoo, J.;Jang, D.;Lee, M.;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4 no.3
    • /
    • pp.13-22
    • /
    • 2019
  • Although virtual reality technology may not be deemed as having a satisfactory quality for all users, it tends to incite interest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the technology can allow one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they may never experience in real lif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is indirect experience is the provision of immersive 3D audio and video, which interacts naturally with every action of the user. The immersive audio faithfully reproduces an acoustic scene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listener, and this technology is also called spatial audio.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trend of spatial audio technology in view of acquisition, analysis, reproduction, and the concept of MPEG-I audio standard technology, which is being promoted for spatial audio services.

A Study on Setting the Minimum and Maximum Distances for Distance Attenuation in MPEG-I Immersive Audio

  • Lee, Yong Ju;Yoo Jae-hyoun;Jang, Daeyoung;Kang, Kyeongok;Lee, Taej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7
    • /
    • pp.974-984
    • /
    • 2022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inimum and maximum distance setting methods used in geometric distance attenuation processing, which is one of spatial sound reproduction methods. In general, sound attenuation by dis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that is 1/r law, but when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audio object is very short or long, exceptional processing might be performed by setting the minimum distance or the maximum distance. While MPEG-I Immersive Audio's RM0 uses fixed values for the minimum and maximum distances,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methods for setting the distances considering the signal gain of an audio object. Proposed methods we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 of the proposed methods and experiments using RM0 renderer.

Towards Group-based Adaptive Streaming for MPEG Immersive Video (MPEG Immersive Video 를 위한 그룹 기반 적응적 스트리밍)

  • Jong-Beom Jeong;Soonbin Lee;Jaeyeol Choi;Gwangsoon Lee;Sangwoon Kwak;Won-Sik Cheong;Bongho Lee;Eun-Seok R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54-57
    • /
    • 2022
  • 다수의 색상 및 거리 정보로 구성된 몰입형 영상 부호화를 위한 MPEG immersive video (MIV) 표준은 각 시점의 영상 간 중복성 제거 및 잔여 영상 병합을 통한 압축률 향상을 목표로 한다. 시점에 따른 카메라 그룹핑을 통해 압축률 향상이 가능하나, 그룹 기반 MIV 부호화 기술은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신 버전의 MIV 참조 소프트웨어에 그룹 기반 부호화 기술을 이식하고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그룹 기반 부호화 기술의 효율을 검증하였다.

  • PDF

Efficient Representation of Patch Packing Information for Immersive Video Coding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패치 패킹 정보의 효율적인 표현)

  • Lim, Sung-Gyun;Yoon, Yong-Uk;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6-128
    • /
    • 2021
  •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비디오 그룹은 사용자에게 움직임 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면서 3D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와 방향의 시점(view)을 렌더링(rendering) 가능하게 하는 6DoF(Degree of Freedom)의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MIV 표준화 과정에서 참조 SW 인 TMIV(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도 함께 개발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부호화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TMIV 는 여러 뷰로 구성된 방대한 크기의 6DoF 비디오를 압축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뷰 비디오들 간의 중복성을 제거하고 남은 영역들은 각각 개별적인 패치(patch)로 만든 후 아틀라스에 패킹(packing)하여 부호화되는 화소수를 줄인다. 이때 아틀라스 비디오에 패킹된 패치들의 위치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압축 비트열과 함께 전송하게 되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패킹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기존 TMIV10.0 에 비해 약 10%의 메타데이터를 감소시키고 종단간 BD-rate 성능을 0.1% 향상시킨다.

  • PDF

A Method of Hole Filling for Atlas Generation in Immersive Video Coding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의 아틀라스 생성을 위한 홀 채움 기법)

  • Lim, Sung-Gyun;Lee, Gwangsoo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75-77
    • /
    • 2021
  • MPEG 비디오 그룹은 제한된 3D 공간 내에서 움직임 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면서 원하는 시점(view)을 렌더링(rendering)하기 위한 표준으로 TMIV(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라는 테스트 모델과 함께 효율적인 몰입형 비디오의 부호화를 위한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몰입감 있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시점 비디오가 필요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비디오를 고효율로 압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TMIV 는 여러 개의 입력 시점 비디오를 소수의 아틀라스(atlas) 비디오로 변환하여 부호화되는 화소수를 줄이게 된다. 아틀라스는 선택된 소수의 기본 시점(basic view) 비디오와 기본 시점으로부터 합성할 수 없는 나머지 추가 시점(additional view) 비디오의 영역들을 패치(patch)로 만들어 패킹(packing)한 비디오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틀라스 비디오의 보다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해서 패치 내에 생기는 작은 홀(hole)들을 채우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은 기존 TMIV8.0 에 비해 1.2%의 BD-rate 이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 PDF

Neural Network-Based Post Filtering of Atlas for Immersive Video Coding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신경망 기반 아틀라스 후처리 필터링)

  • Lim, Sung-Gyun;Lee, Kun-Woo;Kim, Jeong-Woo;Yoon, Yong-Uk;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39-241
    • /
    • 2022
  •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은 제한된 3D 공간의 다양한 위치의 뷰(view)들을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에게 임의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6 자유도(6DoF)의 몰입감을 제공한다. MIV 의 참조 소프트웨어인 TMIV(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에서는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시점의 입력 뷰들 간의 중복 영역을 제거하고 남은 영역들을 패치(patch)로 만들어 패킹(packing)한 아틀라스(atlas)를 생성하고 이를 압축 전송한다. 아틀라스 영상은 일반적인 영상 달리 많은 불연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부호화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다 본 논문에서는 아틀라스 영상의 부호화 손실을 줄이기 위한 신경망 기반의 후처리 필터링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기법은 기존의 TMIV 와 비교하여 아틀라스의 복원 화질 향상을 보여준다.

  • PDF

Similarity-Based Patch Packing Method for Efficient Plenoptic Video Coding in TMIV

  • Kim, HyunHo;Kim,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50-252
    • /
    • 2022
  • As immersive video contents have started to emerge in the commercial market, research on it is required. For this, efficient coding methods for immersive video are being studied in the MPEG-I Visual workgroup, and they released 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 (TMIV). In current TMIV, the patches are packed into atlas in order of patch size. However, this simple patch packing method can reduce the coding efficiency in terms of 2D encoder. In this paper, we propose patch packing method which pack the patches into atlases by using the similarity of each patch for improving coding efficiency of 3DoF+ video.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0.3% BD-rate savings on average over the anchor of TMI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