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jin Wa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임진왜란 거북선 개판(蓋板)의 구조 (Structures of the Cover of Geobukseon for Imjin War)

  • 홍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1-210
    • /
    • 2011
  • 임진왜란 해상전투에 사용된 이순신의 거북선 복원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에 사용된 거북선의 외부, 내부구조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료(史料)가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복원된 거북선은 정조 19년(1795)에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의 목판화 그림과 설명문, 사료의 내용을 토대로 복원되었으나 두 거북선은 임진왜란 후 203년 뒤인 정조대의 거북선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과는 같지 않고, 현재 복원된 임진왜란 이순신의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의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구조적, 형태적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에 나타난 최초의 거북선 그림인 1593년 이덕홍 귀갑선도는 그동안 거북선의 연구에서 중요시 되지 않았으나 임진왜란과 시기적으로 일치하고 그림 해석을 통한 구조분석과 판옥선,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과의 관계를 분석하면 개판 윗면의 중앙부분은 평면구조이고, 전후좌우로 창검이 꽂혀있는 구조로 임진왜란 당시 기록의 내용에 접근된 거북선의 구조와 형태를 도출할 수 있다.

국보 제76호 임진장초(壬辰狀草)의 지질분석과 보존처리 (Material Properties and Conservation of Imjin Jangcho (Drafts of Imjin War Reports of Admiral Yi Sun-sin) of the 76th National Treasure of South Korea)

  • 정선화;신효영;홍순천;송정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106-119
    • /
    • 2014
  • 국보 제76호 지정문화재는 난중일기(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속정유일기, 무술일기) 7책과 서간첩 및 임진장초 등 총 9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충사 소장 유물로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장군이 직접 기록하였다는 역사성과 학술연구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UNESCO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2013년 6월)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이 중 임진장초는 충무공이 임진왜란 중 선조 25년(1592) 4월 1일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재임시로부터 동왕 27년(1594) 정월 10일 삼도수군 통제사를 겸직할 당시까지 정황(情況)을 비롯하여 출전경과(出戰經過), 군사상의 건의사항, 진중의 경비 및 준비상황들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장계(狀啓)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등초(謄草)한 책이다. 또한 조정의 임금님께 올린 보고서(장계, 狀啓)의 초본으로 1책(?), 반엽(半葉), 오침안정법, 선장본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임진장초에 대한 손상유형과 보존상태 및 보존처리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조선시대 고문헌이며 국가지정 중요 지류문화재의 보존처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중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임진왜란 시기 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jin War's Historical Materials with Multi-layer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현철;송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7-198
    • /
    • 2022
  • 융합 과학 연구가 활성화되며 인문학에서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가 장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 데이터에 텍스트마이닝과 개체계량학 연구 방법을 적용한 시론(試論)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징비록(懲毖錄)을 활용하였으며, 사료(史料)에서 주제 변화와 공통 개체를 탐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과 DMR 토픽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계량 분석의 활용 가능성 확인, 특정 주제의 시기적 변화, 인물 개체 간 미발견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남원(南原) 소재 명장 유정(劉綎) 유적과 작품 고찰

  • 박현규
    • 중국학논총
    • /
    • 제68호
    • /
    • pp.235-251
    • /
    • 2020
  • This study collected and intensively analyzed the works and remains in Namwon(南原) province by Liu Ting(劉綎) of Ming Dynasty during the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1598; 壬辰倭亂). Liu Ting engraved characters on the rocks as passing by the Yeowon hill(女院峙) twice. A local official of Namwon built a memorial stone at the guest residence of Namwon district to appreciate the contribution of Liu Ting to care for the local people. During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in 1597-1598(丁酉再亂), Liu Ting often climbed up the Yongdu pavilion(龍頭亭) located at Mt. Yongtu(龍鬪山) and fell in love with the splendid scenery while enjoying fishing at Jogi(釣磯). Immediately after the war, Liu Ting renovated the Guanwang Shrine(關王廟) in Namwon and built the memorial stone claiming that he defeated the Japanese army with the divine power from Guanyu(關羽).

임진왜란의 기억방식 연구 (A Study of the Way to Remember Imjin War)

  • 음영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9-480
    • /
    • 2018
  • 본 연구는 임진왜란이 기억의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되는 방식을 사관, 신하, 작가, 영화감독의 텍스트를 통해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의 진실이 변주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문제는 역사적 사건이 기억의 범주에서 돋보이고 은폐됨에 따라 역사의 진실은 당시와 현재에도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 PDF

기억방식을 통해 본 임진왜란의 서사 양상 (Phases of the Discourse Through the Way of Remembe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음영철;박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61-170
    • /
    • 2018
  • 본 연구는 임진왜란을 통해 본 기억의 서사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억과 망각의 변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까지 임진왜란과 이순신 중심의 기억 서사의 주류를 이룬 것은 이순신의 영웅담론이었다. 임진왜란 당대에 씌여진 "징비록"과 "난중일기"는 임진왜란에 대한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가 서사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이순신이 중심이 되어 서술하였기에 백성과 격군의 겪은 임진왜란의 참상을 반영하지 못한 것은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둘째,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창작된 김훈의 "칼의 노래"는 기존의 영웅 담론에서 벗어나 인간 이순신의 내면을 독백의 형식으로 그려내었다. 임진왜란과 백성 중심의 서사는 전란에 참여한 해상의병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임진왜란에 대한 다른 서사를 보여주었다. 김한민 감독의 <명량>은 임진왜란에 대한 기존의 기억 방식을 수정한 것으로, 수많은 전쟁 장면을 통해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이 백성이고 이순신은 부수적임을 보여주었다. 역사의 진실은 기록된 것만으로는 전부를 알 수 없다. 소설과 영화와 같은 문화 텍스트는 임진왜란의 기억방식을 영웅이 아닌 개인에 두었으며 백성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음을 보여주었다.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Review on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 박훈평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have changed in time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Medical texts that reflect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time were enable us to look into how medical bureaucrats were trained and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the training. Chinese medicine influenced Joseon Dynasty's medicine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Before the Imjin War, Joseon dynasty's medicine was large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ng dynasty's medicine. After the war,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Jin-Yuan era had increasingly more significant influence,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Ming dynasty's medicine. The facts found through this study include : 1) the basic courses were composed of Chandomac (纂圖脈), Dongingyeong (銅人經), and Boncho (本草); 2) Josenization of medical divis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世祖), and updated throughout the time of the King Seongjong (成宗) and King Sun Jo (宣祖); 3) Hyangyak (鄕藥) education with medical texts was limited to some periods like King Seongjong (成宗) and King Sejo (世祖); 4) the high proportion of Bangseo (方書) in the early era gradually decreased, and more of specialized and comprehensive medical books came to find their way into the standard curriculum.

명장(明將) 남방위(藍芳威)의 조선 활동과 현존 문물 고찰

  • 박현규
    • 중국학논총
    • /
    • 제72호
    • /
    • pp.47-70
    • /
    • 2021
  • In this paper, the focus was on the review of Ming General Nan Fangwei's activities during the Choson period and existing relevant historical artifacts & literacy works. Nan Fangwei's hometown was Jiangxi(江西) Changjiang(昌江; Jingdezhen景德鎭). Unfortunately, it has not been known where his descendants migrated later. During Jingdezhen Riot(景德鎭民亂), he went to serve as the head of the grass roots. After surrendering, he became a general in the Ming military base. During Jeongyujae War(丁酉再亂), he entered Chosun as a Youji general(遊擊) and participated in dozens of large and small battles. However, the defeat of Jungro-gun (中路軍) led him to a feud with the Ming's military authorities and to return him, which gave him a hard time to be forcibly dislodged to a remote region. Nan Fangwei established Namwon Guanwang Shrine(南原 關王廟). Since then, it has been preserved in Namwon Wangjeong-dong(王亭洞) through several r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works. In addition, he took good care of people by strictly cracking down on their subordinates with high integrity and virtuous deeds at the military base. Being deeply touched by his morality and virtue, the people of Gongju(公州) established 'Youji general Nan Fangwei Jongdeokbi(〈遊擊將藍公種德碑〉)'. In addition, when he had his leisure time, he collected Korean Chinese poems from various figures and edited and published 'Chosun Poetry Collection(《朝鮮詩選全集》)', which he played a catalyst to promote high-quality Korean poems to Chinese literacy community.

임진왜란 오천 충청수영성(忠淸水營城) 소재 명군(明軍) 유적과 시편

  • 박현규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101-116
    • /
    • 2020
  • I in this article analyzed poetry and prose written by Ming Navy forces who visited Chungcheong Navy Castle(忠淸水營) in Ocheon(鰲川)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the remains concerning them. Chungcheong Navy Castle was used as a way station when Ming Navy forces came and went to the Southern Sea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pril 1598, "Gyegong cheongdeok bi(季公淸德碑)" was erected to praise Gyegeum for his virtue. The villiagers have served "Gyegeum cheongdeok bi" as a god for the peaceful sea and good luck from the ancient times. Zhang Liangxiang(張良相) & Jia Xiang(賈祥) developed his great spirit to appreciate beautiful viewwhen he defeated Japanese force and ascended again to Yeongbo Pavilion(永保亭).

「경복궁도」 제작 시기와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and Background of Gyeongbokgungdo)

  • 홍현도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4호
    • /
    • pp.51-62
    • /
    • 2023
  • Gyeongbokgungdo depicts the composition and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well as a monument related to pro-jamrye held at the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in Yeongjo. Based on literature such as Dongguk Yeoji Seungram, such as Gyeongbokgungdo painted major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nd buildings in the backyard.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the foot of the mountain, waterway, and Pond,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site identifi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are reflected, and some of the Gyeongbokgungdo contain reconstruction records. As such, Gyeongbokgungdo depicts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facilities built after the Imjin War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time of reconstruction as it reflects the mountain and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layout of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do was partially reflected in the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and used as a material to understand the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