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Normalizatio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44초

CNN기초로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한 감정 표정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Emotion Expression Using Three Methods Based by CNN)

  • 양창희;박규섭;김영섭;이용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5-70
    • /
    • 2020
  • CNN's technologies that represent emotional detection include primitive CNN algorithms, deployment normalization, and drop-off. We present the methods and data of the three experiments in this paper. The training database and the test database are set up differently. The first experiment is to extract emotions using Batch Normalization, which complemented the shortcomings of distribution. The second experiment is to extract emotions using Dropout, which is used for rapid computation. The third experiment uses CNN using convolution and maxpooling. All three results show a low detection rate,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We will develop a deep learning algorithm using feature extraction method specialized in image processing field.

Human Motion Recognition Based on Spatio-tempor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Hu, Zeyuan;Park, Sange-yun;Lee, Eung-J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77-985
    • /
    • 2020
  • Aiming at the problem of complex feature extraction and low accuracy in human action recognition, this paper proposed a network structure combining batch normalization algorithm with GoogLeNet network model. Applying Batch Normalization idea in the field of image classification to action recognition field, it improved the algorithm by normalizing the network input training sample by mini-batch. For convolutional network, RGB image was the spatial input, and stacked optical flows was the temporal input. Then, it fused the spatio-temporal networks to get the final action recognition result. It trained and evaluated the architecture on the standard video actions benchmarks of UCF101 and HMDB51, which achieved the accuracy of 93.42% and 67.82%.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h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rate and has obvious advantages in action recognition.

블록 기반 밝기 표준화를 통한 이진영상의 고속 불균일 조명 보정 (Fast Correction of Nonuniform Illumination on Bi-level Images using Block Based Intensity Normalization)

  • 정지혜;김정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12호
    • /
    • pp.1926-1931
    • /
    • 2012
  • We investigated a novel fast non-uniform illumination correction method for bi-level images. The proposed method divides a bi-level image into sub-images and roughly estimates block-wise illumination by low pass filtered maximum values of sub-images. After that, we apply bilinear interpolation using the block-wise illumination to estimate non-uniform illumination, and compensate for the effect of non-uniform illumination using the estimated illumination. Since the proposed method is not based on computation intensive iterative optimization,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effectively for applications that require fast correction of non-uniform illumination. In simulations, the proposed method showed more than 20 times faster speed than existing entropy minimization method. Moreover, in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restored images by the proposed method were more close to true images than images restored by conventional method.

변화지역 탐지를 위한 시계열 KOMPSAT-2 다중분광 영상의 MAD 기반 상대복사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bject Based Image Analysis Methods for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gricultural Areas)

  • 염종민;김현옥;윤보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6-80
    • /
    • 2012
  • 원격탐사 방법을 활용한 변화지역 탐지, 재난재해 지도 작성, 작황 모니터링 등 다중시기의 위성영상을 활용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계열 영상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공통의 스케일로 정규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중시기 영상에 대한 정규화 방법은 절대복사보정과 상대복사 보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상대복사 보정을 통한 시계열 위성영상처리 기법을 다루고자 한다. 2011년 3월 해일 피해가 발생했던 일본 센다이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고, KOMPSAT-2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한 사고 전, 후의 피해지역 탐지에 있어 상대복사 보정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상대복사 보정 기법 중에서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PIFs(Pseudo Invariant Features) 지역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MAD(Multivariate Alteration Detec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사례연구 분석결과 MAD 방식에 의한 자동 PIFs 지역의 추출은 비교적 높은 정확도 수준에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복사 보정된 시계열 위성영상을 사용함으로써 변화지역 자동탐지의 신뢰수준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단층영상에서 사이노그램 정규화를 이용한 금속 영상왜곡 저감 방법의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etal Artifact Reduction Based on Sinogram Normalization in Computed Tomography)

  • 전호상;윤한빈;남지호;김호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303-314
    • /
    • 2013
  • 금속 인공물을 포함한 인체 단층영상의 경우 금속 영상왜곡으로 인한 화질의 저하가 매우 심각하다. 금속 영상왜곡 저감을 위한 많은 방법 중 사이노그램 정규화를 통해 평탄한 사이노그램을 제공하여 금속 궤적을 쉽게 찾고, 단순 선형 보간으로 금속물을 대체하는 두께 및 배경 정규화 방법이 최근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의 이론적 배경을 개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금속 인공 물질의 크기 및 개수에 따른 두 방법의 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개발한 이론에 의하면 배경 정규화 방법이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피검사체 배경 구성 물질의 개수 및 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평탄한 사이노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금속 인공 물질의 다양한 크기 및 개수에 대한 두 방법의 보정 결과 역시 배경 정규화 방법이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훨씬 나은 보정 결과를 보여 주었다. 배경 정규화 방법은 영상분할 과정을 요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생략하더라도 비록 영상왜곡 잔상이 미약하게 나타나긴 하지만,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훨씬 나은 보정 결과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영상분할 과정을 생략한 배경 정규화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단순 선형 보간으로도 금속 궤적에 의해 손실된 데이터의 기술이 충분하고, 또한 사용자의 개입이 없는 알고리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컴퓨터단층영상 시스템에 쉽게 탑재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 수리장비 관리를 위한 이미지 비교기법 (A Method to Compare Images for Managing Tools to Repair Ships)

  • 박성훈;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89-2496
    • /
    • 2014
  • 기존 수기 작성기반 선박 수리장비 관리 시스템은 빈번한 장비 분실 및 연체로 장비 관리에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코드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바코드 훼손에 따른 위조 장비의 대체 문제에 대처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가의 선박 수리장비의 관리를 위해 추가적인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수리장비 관리를 위한 이미지 비교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을 이용한 정규화와 이미지 비교 판단 조건을 제안한다. 실시간 촬영 및 오버랩과 Crop 기능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정규화 하였고, 유사이미지에 대처할 수 있는 이미지 비교 판단 조건 세 가지(사각형의 내각의 합, 각 내각의 크기, 모서리의 좌표점)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이 방향, 조명, 크기 등의 변화에도 강건함을 보이며 테스트 결과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다중 비디오카메라에서 색 정보를 이용한 특정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듬 (The Interesting Moving Objects Tracking Algorithm using Color Informations on Multi-Video Camera)

  • 신창훈;이주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3호
    • /
    • pp.267-274
    • /
    • 2004
  • 본 논문은 다중 비디오카메라에서 색 정보를 이용한 특정 이동물체 추적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중 비디오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RGB 칼라 좌표계를 HSI 칼라 좌표계로 변환한 후, 영상의 색조 영역만을 가지고 배경영상과 물체가 존재하는 영상에서 차영상 기법과 가산투영 기법을 사용하여 이동물체를 검출한다. 검출된 이동물체 영역의 색조는 0도부터 360도 사이에서 24단계로 정규화 된다. 정규화된 이동물체의 색조 분포도를 구한 후, 가장 높은 분포를 갖는 3개의 정규화 레벨과 3개의 정규화 레벨 사이의 간격을 이동물체의 특징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각 카메라간의 이동물체 동일성 관별은 이동물체 특징파라미터를 가지고 판별하고, 추적 감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에 각기 다른 장소에 4대의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여 이동물체의 대상을 사람으로 놓고, 특정사람을 감시한 결과 각 카메라에서 검출된 특정사람의 색조분포도 변화는 10%내를 유지함을 보였고, 특징 파라미터로 4대의 카메라에서 특정사람이 자동 추적감시 됨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KOMPSAT-1 EOC Images

  • Lee, Kwang-Jae;Kim, Youn-S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22-227
    • /
    • 2002
  • This research will examine into the capabilities of KOMPSAI-1 EOC image application in the field of urban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with that as its foundation, come to understand the urban changes of the study areas. This research is constructed in three stages: Firstly, for applicati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which utilizes multi-temporal remotely sensed data, the data normalization process is carried out. Secondly, change detection method is applied fur the systematic monitoring of land use changes, which utilizes multi-temporal EOC images. Lastly, by using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land use changes, the existing land use map is updated. Consequently, the land-use change patterns are monitored, which utilize multi-temporal panchromatic EOC image data; and application potentials of ancillary data fur updating existing data can be presented. In this research, with the use of the land use change, monitoring of urban growth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of KOMPSAT-1 EOC imag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was examined. Henceforth, the future expa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KOMPSAT-1 EOC image is anticipated.

  • PDF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정규화를 사용한 다양한 히스토그램 평준화 기법을 비교 (Comparison of Based on Histogram Equalization Techniques by Using Normalization in Thoracic Computed Tomography)

  • 이영준;민정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5호
    • /
    • pp.473-480
    • /
    • 2021
  • This study was purpose to method that applies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in CT and X-ray scan, especially in the lung region. Also, we researched the parameters of the image before and after applying for Histogram Equalization (HE) such as mean, median values in the histogram. These techniques are mainly used for all type of medical images such as for Chest X-ray, Low-Dose Computed Tomography (CT). These are also used to intensify tiny anatomies like vessels, lung nodules, airways and pulmonary fissures. The proposed techniques consist of two main steps using the MATLAB software (R2021a). First, the technique should apply for the process of normalization for improving the basic image more correctly. In the next, the technique actively rearranges the intensity of the image contrast. Second, the Contrast Limited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CLAHE) method was used for enhancing small details, textures and local contrast of the image. As a result, this paper shows the modern and improved techniques of HE and some advantages of the technique on the traditional HE.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various techniques related to the HE can be helpful for many processes, especially image pre-processing for Machine Learning (ML), Deep Learning (DL).

깊이 이미지를 이용한 타이어 표면 결함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re Surface Defect Detection Method Using Depth Image)

  • 김현석;고동범;이원곡;배유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5호
    • /
    • pp.211-220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스마트공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조업에서는 강건한 성능의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타이어 제조공정의 육안검사 단계에서 타이어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3D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깊이 이미지를 이용한 타이어 표면 결함 검출 방법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타이어 표면 깊이 이미지는 타이어 표면의 얕은 깊이로 인해 발생되는 낮은 깊이 대비와 데이터 취득 환경으로 인해 기준 깊이 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조업의 특성상 검출 성능과 함께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 있는 성능을 지닌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타이어 표면 결함 검출 알고리즘이 복잡한 알고리즘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단순한 방법들을 통해 깊이 이미지를 정규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검출 성능과 속도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딥러닝 방법인 YOLO V3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정규화 방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규화 방법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정규화 방법으로 mAP 0.5 기준 약 7%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