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compensa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미토콘드리아 절편의 여러 투사각에서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획득한 영상의 정합과 밝기 보정 (Registration and Intensity Compensation of Tilted Images of the Mitochondria Section Obtained from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김동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3호
    • /
    • pp.1-9
    • /
    • 2009
  •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에서 특정 투사각에서 획득한 2차원으로의 투사 영상의 열을 사용하여 세포와 같은 물질의 3차원 구조를 복원한다. 이때 전처리 과정으로 2차원 투사 영상의 정확한 영상 정렬과 밝기 보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점(fiducial marker)을 사용한 정렬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열을 정렬하고, 수십 장의 영상들의 상이한 밝기 특성을 일정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상의 투과율 모델에 근거하여, 영상의 주변부의 밝기 정보를 사용하여 각 영상의 조명을 일정한 값으로 조정하고 투사각에 따라 대상의 밝기가 일정하게 변동하도록 밝기 보정을 수행하는 알고리듬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투과전자현미경으로부터 얻은 영상열을 사용하여 밝기 보정 알고리듬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고휘도 영역의 적합성 평가에 기반한 광원 보상 (Illumination Compensation Based on Conformity Assessment of Highlight Regions)

  • 권오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5-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이색성 반사 모델에서 분할 과정을 없애는 동시에 카메라의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광원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고휘도 영역의 화소는 광원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고휘도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광원의 특성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방법은 고휘도 영역 분할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영역 분할의 정확성이 광원 추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은 고휘도 영역에 대해 안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영역 분할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잡음 및 센서의 불균일에 따른 정확성 감소의 요인들은 제거하였다.

Motion Compensated Subband Video Coding with Arbitrarily Shaped Region Adaptivity

  • Kwon, Oh-Jin;Choi, Seok-Rim
    • ETRI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190-198
    • /
    • 2001
  • The performance of Motion Compensat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C-DCT) video coding is improved by using the region adaptive subband image coding [18]. On the assumption that the video is acquired from the camera on a moving platfor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cene is large enough, both the motion of camera and the motion of moving objects in a frame are compensated. For the compensation of camera motion, a feature matching algorithm is employed. Several feature points extracted using a Sobel operator are used to compensate the camera motion of translation, rotation, and zoom. The illumination change between frames is also compensated. Motion compensated frame differences a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called stationary background, moving objects, and newly emerging areas each of which is arbitrarily shaped. Different quantizers are used for different reg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C-DCT video coding using block matching algorithm, our video coding scheme shows about 1.0-dB improvements on average for the experimental video samples.

  • PDF

얼굴 특징 정보를 이용한 향상된 눈동자 추적을 통한 졸음운전 경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rowsiness Driving Warning System based on Improved Eyes Detection and Pupil Tracking Using Facial Feature Information)

  • 정도영;홍기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67-176
    • /
    • 2009
  • In this paper, a system that detects driver's drowsiness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automatic extraction and the tracking of pupils. The research also focuses on the compensation of illumination and reduction of background noises that naturally exist in the driving condition. The system, tha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ar-like feature, automatically collects data from areas of driver's face and eyes among the complex background. Then, it makes decision of driver's drowsiness by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istics of pupils area, detection of pupils, and their movements. The implemented system has been evaluated and verified the practical uses for the prevention of driver's drowsiness.

영상의 지역적 밝기 보상을 위한 주변 화소 서브 샘플링율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sub-sampling rate of neighboring pixel for local illumination compensation)

  • 원동재;문주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7-208
    • /
    • 2016
  • 최근 차세대 비디오 코덱 기술로써 다양하게 논의 되고 있는 영상 내 지역적 밝기 보상 기술은 다수의 광원이 존재하는 영상 내 다른 영역 마다, 다른 밝기 변화 정도를 보상해주기 위한 방법이다. 상세하게는, 현재 CU의 주변 화소와 예측 블록의 주변 화소를 이용한 보상 계수를 계산하여 현재 CU의 예측 화소에 보상을 해주는 것이다. 이 때, 보상 계수를 구하기 위한 현재 CU와 예측 블록의 주변 화소들을 서브 샘플링함에 있어서, 현재 CU의 크기에 따라서 서브 샘플링율을 차등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성능 변화를 분석한다.

  • PDF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보상을 위한 에지 방향성을 고려한 새로운 전처리 기법 (New prefiltering method considering direction of edge to illumination compensation of multi-view video)

  • 이동석;서영호;김동욱;유지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7-79
    • /
    • 2010
  • 본 논문은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현상을 효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영상의 에지 방향성을 고려한 전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다시점 비디오는 카메라 간 서로 다른 위치와 방위로 인해 인접한 시점 영상 간에 존재하는 동일 물체에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 매칭 기법은 모든 시점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정해진 참조시점 영상의 히스토그램에 매칭시켜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현상을 보상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매칭을 수행하기 전에 ELA(Edge-based Line Averaging) 선형 보간 기법과 Cosited 대표 값 추출 필터를 결합한 전처리 필터를 선행하여 조명 보상 효과와 다시점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켰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전처리 기법이 일반적인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 비해 약 2 dB의 평균 PSNR 향상과 34%의 비트율 절감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Lan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Classification in Image Sequences

  • Lim, Sungsoo;Lee, Daeho;Park, Youngta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2호
    • /
    • pp.4489-4501
    • /
    • 2014
  • We propose a novel lane detection method based on classification in image sequences. Both structural and statistical features of the extracted bright shape are applied to the neural network for finding correct lane marks. The features used in this paper are shown to have strong discriminating power to locate correct traffic lanes. The traffic lanes detected in the current frame is also used to estimate the traffic lane if the lane detection fails in the next frame. The proposed method is fast enough to apply for real-time systems; the average processing time is less than 2msec. Also the scheme of the local illumination compensation allows robust lane detection at nighttime.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widely used in intelligence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driver assistance, lane change assistance, lane departure warning and autonomous vehicles.

LED 조명 제어를 위한 컬러센서 기반 포터블 스캐너 개발 (A Development of a Portable Color Scanner Using Photo Sensors for Full-Color LED Illumination Control)

  • 천성용;이찬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4-25
    • /
    • 2011
  • Full-Color LED lighting system requires efficient control of the lighting color in order to easily achieve various color effects. In this paper, we present not only a portable color scanner using color sensors which can control lighting color directly from detected color but also methods to convert detected color to a complementary color, similar colors and so on. In addition, we propose a compensation method for measured sensor color to reduce measurement errors more than 50[%] in detected color. The developed color scanner is applied to control full-color LED ceiling light for emotional lighting.

개선된 영상생성 모델과 적응적 필터를 이용한 칼라 영상 보정방법 (Color Image Compensation Method using Advanced Image Formation Model and Adaptive Filter)

  • 최호형;윤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0-18
    • /
    • 2009
  • 일반적으로 PDA, 모바일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으로 촬영된 영상은 촬영 장비의 생동 폭의 한계로 인해 낮은 영상 대비를 갖는 영상들이 획득된다. 이러한 이유로 영상 개선 방법은 여러 가지의 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들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영상 개선을 위한 몇 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후광효과(halo-artifact), 회색계의 왜곡(graying-out), 칼라 잡음(color noise) 등의 영상 왜곡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레티넥스 기반 영상 향상 방법을 제안하며, 회색계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HSV 칼라 좌표계를 사용하며, 후광효과를 줄이기 위해 영상을 전역조명성분, 국부조명성분, 반사성분으로 나누는 개선된 영상 생성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다른 방법들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배열 구조 바이스태틱 지대공 레이다의 이미징 기법 (Imaging Method for Array Structured Bistatic Ground-to-Air Radar)

  • 최상현;양동혁;송지민;양훈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599-60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지상에 수신 레이다들이 배치된 바이스태틱(bistatic) 환경에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이미징(imaging) 기법을 적용하여 이동표적을 탐지 및 이미징할 수 있는 지대공 바이스태틱 레이다 시스템 및 이에 대한 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이 기존 SAR 시스템과는 달리 수신 레이다들의 집합에 의해 안테나 개구면(aperture)을 합성하도록 하여 탐지 영역에 대한 조사(illumination)가 길 필요가 없으며, 또한 표적 영상 복원을 위해 평면파 근사화(planewave approxiamtion)에 기반한 SAR 폴라 포맷(polar format)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수신 레이다들이 공간상에서 균일하게 이격될 필요가 없음을 보인다. 인접 펄스 수신신호 처리를 통한 클러터 성분 제거 과정이 포함된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유도하며, 시스템 구현과 관련된 영상 해상도 및 수신 레이다의 공간상 위치 불규칙성에 따른 보상 방법을 설명한다. 최종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