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compensa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깊이 정보에 따른 레이어별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조명 불일치 보상 기법 (Illumination Mismatch Compensation Algorithm based on Layered Histogram Matching by Using Depth Information)

  • 이동석;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C호
    • /
    • pp.651-66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별 객체를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적용하는 색상 불일치 보상기법을 제안한다. 다시점 비디오의 조명 불일치 현상은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와 카메라간의 잘못된 보정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색상 불일치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전처리기법이 제안되었다. 히스토그램 매칭을 통해 모든 시점의 다시점 영상 히스토그램은 정해진 참조 시점영상의 히스토그램과 매칭이 되고,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상은 상호 독립적인 색상 분포와 히스토그램 분포을 가지는 여러 개의 객체로 구성된다. 특히 다시점 영상은 시점에 따른 프레임마다 객체의 구성과 위치 및 그 깊이가 각각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영상 내에서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먼저 분리하고, 객체별로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적용하여 색상 보상을 수행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객체 단위의 조명 보상기법이 기존의 영상 단위의 조명 보상기법보다 향상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n-Film Photosensors for OLED Flat-Panel Displays

  • Cok, Ronald S.;Nishikawa, Ryuji;Ogawa, Takash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277-280
    • /
    • 2004
  • Thin-film photosensors 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glass substrates using active-matrix OLED TFT manufacturing processes have been constructed and optimized, and their performance has been characterized. Suitable control circuitry and applications are proposed. The photosensors may be integrated into OLED displays for detection of ambient illumination and for detection of OLED light emission, thereby enabling output, uniformity, and aging compensation.

  • PDF

조명변화와 곁침에 강건한 적응적 모델 기반 다중객체 추적 (Adaptive Model-based Multi-object Tracking Robust to Illumination Changes and Overlapping)

  • 이경미;이윤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449-46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색상 비디오 프레임에서 조명변화와 겹침으로 인한 왜곡에 강건하게 다수의 사람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명변화에 따른 외형변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 비종속적인 본래(intrinsic) 영상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존재하는 조명을 제거하며, 매 프레임마다 조명 영상을 적응적으로 갱신한다. 카메라 내에서 사람을 추적하기 위해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계충적 사람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겹침의 문제를 해결한다. 추적된 사람모델은 사람모델 리스트에 저장되어 해당되는 사람이 카메라에서 사라진 후에도 일정 기간 보존됨으로써, 재등장한 사람의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모델기반 방법은 실내${\cdot}$외 영상을 대상으로 여러 시나리오로 실험되어, 조명변화로 왜곡된 사람의 색상정보를 옳게 보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겹치거나 헤어진 후에도 성공적으로 추적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조명변화에 적응적인 움직임 검색 기법과 2차원 다이렉트 모드를 사용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Multi-View Video Coding Using Illumination Change-Adaptive Motion Estimation and 2D Direct Mode)

  • 이융기;허재호;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21-327
    • /
    • 2005
  • 조명 변화에 적응적인 움직임 탐색 및 보상 방법과 2차원 다이렉트 모드 (2D Direct Mode)를 이용한 MVC (Multi-view Video Coding)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인접한 영상으로부터 휘도 화소 값의 움직임 탐색 및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SAD (Sum of Absolute Difference)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조명 변화에 적응적인 움직임 탐색 및 보상은 움직임 벡터의 정확도를 높이고, 비트의 절감을 위하여 새로운 SAD 계산식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시점 간의 예측 시에 사용될 수 있는 2차원 다이렉트 모드는 MPEG-4 AVC의 시간적 다이렉트 모드 (Temporal Direct Mode)로부터 확장된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MVC 방법은 MPEG-4 AVC의 Simulcast 부호화와 비교하여 약 0.8dB의 PSNR (Peak Signal-to-Noise Ratio) 향상을 보였다.

다시점 비디오의 색상 성분 보정을 위한 특징점 기반의 전처리 방법 (Feature based Pre-processing Method to compensate color mismatching for Multi-view Video)

  • 박성희;유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527-25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기반 색상 보정을 통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전처리 방법을 제안 한다. 다시점 영상은 조명 및 카메라 간의 특성차이로 인해 인접 시점 간 색상차를 갖게 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본 논문에서는 영상 간의 대응되는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상대적인 카메라의 특성을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응되는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 Harris 코너 검출법을 사용하고, 모델링 된 수식의 계수는 가우스-뉴튼 순환 기법(Gauss-Newton circulation algorithm)으로 추정한다. 또한 참조 영상을 기준으로 보정해야할 타겟 영상의 색상값을 RGB 성분별로 보정한다. 테스트 영상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제안한 전처리 방법으로 보정을 하였을 경우,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 때보다 화질 및 압축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누적 히스토그램 기반의 전처리 방식과 비교했을 때, PSNR은 성분별로 0.5 dB ~ 0.8dB 정도 개선되고 bit rate 는 14% 정도 감소되는 성능을 확인하였다.

3차원 체적 모델의 생성을 위한 색상 최적화 함수 기반의 조명 보상 기법 (A New Illumination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Color Optimiz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3D Volumetric Model)

  • 박병서;김경진;김동욱;서영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8-60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실사 3차원 모델 생성용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영상에 대한 조명 보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3차원 체적에 대한 촬영은 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시간에 따른 조명의 위치와 강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다시점 카메라는 총 8대를 사용하고, 공간의 중심을 향해서 수렴하는 형태이므로 조명이 일정하다고 할지라도 각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강도 및 각도는 다르다. 따라서 모든 카메라는 색상 보정 차트를 촬영하고, 색상 최적화 함수를 이용하여 획득된 8개의 영상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색상 변환 매트릭스를 획득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색상 보정 차트를 기준으로 모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본 논문은 3차원 객체를 8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 취득할 시 카메라 간의 색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컬러 보정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3차원 영상으로 복원 시 영상 간의 색차가 줄어드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서 스킵 모드의 휘도 보상 정보 유도 방법 (Derivation of Illumination Compensation Information for SKIP Modes in Multi-view Video Coding)

  • 박민우;박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16-52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에서 P-SKIP과 B-SKIP 모드에서 휘도 보상 정보를 유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P-SKIP 모드에서 휘도 보상 플래그와 휘도 보상값이 일관성 없이 유도되는 경우를 제거하여 휘도 보상 시에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과 B-SKIP 모드에 중복적으로 수행되는 휘도 보상 플래그와 휘도 보상값 유도 방법을 하나의 방법으로 통합함으로써 계산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실험 결과 객관적인 화질 측정 실험에서는 거의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며, 실제 복호 수행 시에 P-SKIP에서는 일관성 없이 유도되는 경우가 제거되면서 휘도 보상을 수행하는 블록의 수가 평균적으로 7.47% 감소하였고, B-SKIP에서는 휘도 보상을 수행하는 블록 당 평균 연산자의 수는 50.36% 감소하였고 실제 평균 복호 수행 시간은 46% 감소하였다.

Check4Urine: 스마트폰 기반 휴대용 소변검사 시스템 (Check4Urine: Smartphone-based Portable Urine-analysis System)

  • 조중재;유준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3
    • /
    • 2015
  • Recently, a few image-processing based mobile urine testers have actively been studied since the urine-analysis result can be available to the user in real time immediately after the test is done. However, the accuracy of test result can be severely degraded due to variable illumination environments and a variety of manners to capture the image with a camera embedded i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different users. This paper proposes the Check4Urine system, a novel smartphone-based portable urine-analysis tester and provides three techniques to improve such a performance degradation problem robust to various test environments and disturbances, which are the compensation algorithm to correct the varying illumination effect, an urine strip detection algorithm robust to edge loss of the object image, and the color decision algorithm based on the pre-processed reference tabl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heck4Urine system increases the accuracy of urine-analysis by 20-50% at various test conditions, compared with the existing image-processing based mobile urine tester.

비디오 검색을 위한 얼굴 검출 및 인식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for Video Retrieval)

  • 이슬람 모하마드 카이룰;이형진;폴 안잔 쿠마;백중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91-69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검색을 위한 새로운 얼굴 검출 및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인물 정함은 비디오 프레임에서 어떻게 얼굴을 정확하게 찾아내는가에 달려 있다. 얼굴 영역은 Adaboost 알고리즘으로 부스트된 viola-jones의 특징을 이용하여 비디오 프레임에서 검출한다. 얼굴 검출 후 조명 보정을 하고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으로 사람의 신원을 분류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정합율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보행 인식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영상 왜곡 보정 기법 (Image Distortion Compensation for Improved Gait Recognition)

  • 전지혜;김대희;양윤기;백준기;이창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97-107
    • /
    • 2009
  • 영상기반 보행인식 시스템에서 카메라와 객체가 이루는 각도(angle) 및 렌즈 왜곡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조명(illumination)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인식률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카메라에서 입력된 다양한 형태의 영상 왜곡을 보정하여 보행 인식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물리적, 환경적 왜곡 요인이 존재하는 입력 영상에서의 인간의 보행 인식률을 기존 방식과 실험적으로 비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영 변환(projective transform)을 통해 입력 영상의 왜곡을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입력 영상의 왜곡 보정 전, 후를 비교하여 알고리듬의 실효성을 확인한다. 제안된 방법은 카메라로부터의 거리 및 환경에 불변하는 보편적인 보행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보편적인 보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영상에서는 평균적으로 41.5%, 실외 영상에서는 평균적으로 55.5%의 향상된 보행 인식률을 보였다. 이것은 특정 개체의 특징을 데이터베이스(DB)화 하고 DB에 저장된 특정 개체를 검색하고 추적하는 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