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egal park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9초

원룸주거의 현실과 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Tasks of One-room Housing)

  • 김한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61-68
    • /
    • 2013
  • This study tries to provide fundamental policy information for one-room housing by analyzing current living conditions of one-room housing near 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s on-site survey as well as residents'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some one-room houses have been converted from single-family houses. Pilotis are often used as parking lots in newly built one-room houses. There are illegal equipments and illegal parkings around one-room village. Second, residents satisfy with proximity to workplace. However, they show strong dissatisfac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noise, air flow, waste disposals. In particular, they feel very uncomfortable with gloomy lights and fear about potential crime. Third, residents like their independent lives, but complain about narrow living space and unprotected privacy. In addition, many of them feel lonely due to lack of public space in which residents can communicate.

메가 픽셀 CCTV를 적용한 기존 불법 주정차 시스템의 방범 기능 향상에 대한 제안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ecurity features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of the existing system for Mega Pixel CCTV)

  • 김남국;박구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35-137
    • /
    • 2014
  •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기술도 발달하지만 시민의식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그 만큼 범죄도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 따라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방범용 CCTV를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방범용 CCTV를 늘리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예산이 필요하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불법 주정차 시스템에 방범 기능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CCTV는 화소가 낮아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기 때문에 방범 기능에 적용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본 논문에는 기존의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메가 픽셀을 적용하여 불법 주정차 시스템의 방범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저화질 CCTV를 사용 할 때보다 불법 주정차 단속뿐만 이라 방범 시스템으로도 더 나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 PDF

어린이 보호구역 주·정차 방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Parking and Stopping Prevention System in Child Protection Zone)

  • 오은열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69-75
    • /
    • 2022
  • 초등학교 주변에는 교통약자인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어린이 보호구역내 스쿨존(school zone)을 지정하여 이 구역내에서는 차량 운행속도를 30km/h 미만으로 운행함에 따라 주·정차가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이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다양한 도로여건에 따라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인한 운전자 시야확보 및 주행차량에 대한 인지의 어려움 등이 상존하고 있어, 이에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불법 주·정차방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교통약자인 어린이들에 대해 교통사고방지와 운전자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요선행연구와 문헌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주·정차방지시스템에 대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축방안을 통해 교통사고 방지, 스마트한 운전자의 안전운행 유도, 보행자 안전의식 강화, 운전자의 안전의식 경각심 유도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어린이공원 주변공간의 환경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of Children's Park Access Area - A Surve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 Groups -)

  • 배연희;변기동;하미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71-78
    • /
    • 2018
  •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elements of spatial planning for areas surrounding children's parks in order to improve child safety. It will identify different aspects of child safety and extract elements of safety planning for the areas surrounding children's parks from a literature review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he study classifies the space between one's residence and the children's park as either a "means of access", such as pedestrian walkways and streets, or a "boundary", which consists of the entrance, exit, and fences; then, the derived safety planning elements were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this classification.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planning elements,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of environment planners who specialize in the palnning and designing of residential area as well as government employees who are in direct charge of managing children's parks. The survey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pedestrian walkway(means of access) near the park is the most crucial factor in regards to the safety of children, followed by the entrance and exit(boundary), fency(boundary), and streets (means of access),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Thus,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walkway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foremost, and it should precede improving the surrounding streets. Second, an investigation of the need for safety devices near the children's park showed that securing visibility,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n illegal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imperative. Illegal parking near children's parks poses a grave risk to pedestrian safety and demands immediate action. Furthermore, a section of streets within 300m of the park entrance should be designated as a children protection zone, in addition to the designation of school zones near elementary schools.

블록체인 기반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 관리 모델 (Blockchain-Based Shared Electric Kickboard User Management Model)

  • 이수진;박민정;김나희;서승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7호
    • /
    • pp.217-226
    • /
    • 2023
  • 공유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공유 모빌리티의 불법 주차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에서는 불법 주차된 공유 전동킥보드 견인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악의적인 이용자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비효율적인 방안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공유 전동킥보드에는 주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 GPS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을 종료를 하게 되면 반납 시 주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탑재된 센서들을 통해 수집하여 공유 전동킥보드 회사가 이용자가 올바르게 주차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주차 내역에 따라 신뢰점수를 부여하고 신뢰점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여 이용자가 스스로 공유 전동킥보드를 올바르게 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해당 정보들은 공유 전동킥보드 회사들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되어 공유 전동킥보드 회사들의 통합적인 이용자 관리가 가능하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auses of Casualties in Jecheon Sports Center Fire - Focus on Structural Factors of Building and Equipment -)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86-94
    • /
    • 2018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 대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저자의 화재조사 결과를 토대로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은 필로티 구조의 주차장, 필로티 주차장과 로비 사이 방화구획 미비, 필로티 주차장에 스프링클러설비 미설치, 1층 주계단에 방화문 미설치, 옥상에 소화수조 미설치, 2층 주출입구에 벽체 매립형 방화문 설치, EPS실 및 배관 피트 층별 방화구획 부실, 배수배관 연결부의 누수,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로와 실내에 면하는 벽체에 합판 설치, 폐쇄형 옥상구조로 개조, 주차장 반자 안쪽 천장에 스티로폼 단열재 부착, 2층 여탕 무창층 강화유리 구조, 드라이비트 외벽으로 분석하였다.

동대문 의류밀집상가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사례연구 (Implementing Special Transportation Management Zone System for Dongdaemoon Garment District)

  • 황기연;엄진기;이종운;조용학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17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규모 상업시설이 위치하여 주변교통여건이 매우 열악한 상태인 동대문 밀집상가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례연구를 통해 서울시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제도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제도인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제도의 구성요건에 관한 사항과 동대문상가 밀집구역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등의 크게 2분야로 구성되며, 사례연구에서는 현황분석, 특별관리구역 실행대안의 결정, 시행효과분석방법론의 구축, 교통관리 대안별 효과분석결과 등으로 구성된다. 동대문 밀집상가지역에 대한 교통특별관리구역 제도 시범사업 사례분석 결과, 두산타워가 속한 블록내에 주차면 10면이상, 연상면적 3000$m^2$ 이상 건물만을 대상으로 모든 도착통행에 대해 2,000원의 주차가산금을 부과하고,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의 불법주차 근절시키며, 주차10부제 등을 시행할 경우, 대상도로구간의 속도가 20.56km/h로 17.2% 개선되어 관리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개선폭이 가장 큰 가로는 청계천로 도심에서 외곽방향과 흥인문로 광희동에서 동대문구간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서울시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교통특별관리구역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제도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관련법을 개정하고 추진 행정체계를 정비하며,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통해 이해관계자 모두가 이득을 보는 Win-Win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Safe School Zone System using LabVIEW

  • Kim, Kyung-Hwa;Shim, Joon-Hwan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20-24
    • /
    • 2010
  • The total number of deaths by traffic accidents is decreasing every year in our country. However, in 2009, children died in traffic accidents at a rate of 2.3 deaths per 100,000 children,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1.9 deaths per 100,000 children). In particular, traffic accidents are showing rapid increase in school zone during the past 2 years because of problems in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zone. Traffic safety facilities such as road sign, reflector mirror, speed bump have the ultimate limit of vehicle accidents prevention. Thus, in school zone, children safety is still not guaranteed due to illegal parking and the absence of driver's awareness of safet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children from traffic accidents within school zones, we have realized a safe school zone system, which enables the drivers to better know the intended school zones and creates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unmanned monitoring camera, using LabVIEW.

  • PDF

구획정리사업 부지내의 제척지 주거환경 실태 - 대구시를 중심으로 - (The Living Environments of Leave-out lands i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 Focused on Daegu City -)

  • 김한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9-125
    • /
    • 2005
  •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guidelines for leave-out lands i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For this purpose, physical conditions which affect living conditions were surveyed.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living conditions in the lands are low with shortage of parking space and green area, narrow and low-performance road conditions, disordered fence and roof. Furthermore, illegal waste disposal made the condition even worse. Second, it is desirable to make separated plan for the leave-out lands because they have quite different living conditions from those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Third, it is suggested that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law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ve-out lands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lanning obligations for the leave out land should be imposed on land developers.

불법주정차 단속을 위한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설계 (The Design of Workflow System for Illegal Parking Management)

  • 궁상환;윤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68-171
    • /
    • 2007
  •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FDA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업무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들은 어느 장소에서나 최신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한 시대를 실현시켜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주정차 단속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PDA를 이용하여 원활한 주정차 단속업무를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정차 단속을 위한 업무흐름을 분석하고, 이를 지원하고 위한 워크플로우 엔진의 설계 및 응용의 구현을 목표로 하여 추진되었다. 중요한 논문의 내용으로는 시스템 시나리오의 분석 및 소프트웨어의 구조 및 모듈설계, 그리고 구현환경 및 구현결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