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ex macropod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방장산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Vascular Plant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t. Bangjang)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23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Mt. Bangjang was listed 422 taxa : 106 families, 299 genera, 372 species, 1 subspecies, 46 varieties and 3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5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Preservation priority order : No. 159), Tricyrtis dilatata (No. 97),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Prunus yedoensis (No. 110), Patrinia saniculaefolia (No. 122)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9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purpurea var. japonica, Prunus yedoensis,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Patrinia saniculaefoli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9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3 taxa(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 in class III, 5 taxa(Lilium distichum, Potentilla dickinsii, Caryopteris incana, Patrinia saniculaefolia, Ligularia fischeri) in class II, 20 taxa(Ulmus parvifolia, Clematis patens, Aconitum jaluense, Ilex macropod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31 genera, 36 species, 2 varieties, 38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0% of all 422 taxa vascular plants. Because of recent rapid increase of cars and people around here, analysis shows many naturalized plants and high naturalized ratio. And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So,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고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23
    • /
    • 2004
  • 백두대간 덕유산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1과 243속 353종 53변종 5품종 총 411종류가 확인되었다. 개비자나무, 생강나무, 대팻집나무 및 노각나무 등이 나타나 남부아구로 볼 수 있으나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처녀치마 및 금강애기나리 등 중부아구 식물도 확인되었으며, 해발 1,000m 이상인 곳에는 고산식물이 많이 분포하였다.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솔나리와 산작약, 그리고 구상나무, 금강애기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누른종덩굴, 등대시호, 흰참꽃 및 꽃창포 등으로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보호 야생 동ㆍ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종은 솔나리 1종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종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 일월비비추, 죽대, 뻐꾹나리 등 12과 21속 20종 1품종 1변종으로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금곡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Mt. Geumgok, Gyeongju-si, Gyeongsangbuk-do)

  • 유주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8-270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금곡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식물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에 목적이 있다. 금곡산의 관속식물은 91과 298속 397종 4아종 46변종 6품종 등 총 453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변산바람꽃, 솜양지꽃, 노랑무늬붓꽃 등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서어나무, 변산바람꽃, 고광나무, 해변싸리, 노랑갈퀴, 병꽃나무 등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잣나무, 왕버들, 꿩의바람꽃, 홀아비꽃대, 대극, 대팻집나무, 조개나물, 빗살서덜취, 노랑제비꽃, 물박달나무, 좀목형, 승마 등 3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빈대, 둥근잎나팔꽃, 큰개불알풀, 울산도깨비바늘, 지느러미엉겅퀴, 큰도꼬마리, 큰이삭풀, 큰김의털 등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2분류 군이었다. 도시화지수(UI)는 11.2%, 귀화율(NI)은 7.9%, 교란율(DI)은 18.2%로 분석되었다.

조계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of the Mt. Joghesan)

  • Kim, Jong-Hong;Suk-Mo Chang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63-88
    • /
    • 1990
  • 1980년 7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20회에 걸쳐 전라남도 도립공원인 조계산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의 식물은 총 122과, 424속, 597종 107변종, 10품종이었으며, 식용식물이 204종, 약용식물이 199종 기타 유료섬유자원식물이 30종으로 나타났다. 상록활엽수는 차나무, 조릿대, 붉가시나무 등 22종이고 상록침엽수는 비자나무, 소나무, 금송, 편백나무 등 15종이었다. 식물군락은 참나무류와 서어나무, 조릿대 등 활엽수림으로 우점종은 조록싸리, 덜꿩나무, 물푸레나무, 가막살나무, 개옻나무, 느티나무 등이고 초본류는 참억새, 그령, 지리대사초, 새이삭여뀌, 갈퀴나물, 밀나물, 쑥부쟁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조계산에서 선암사지구는 식생이 양호하였으나 타지역은 식물상이 많이 파괴되었으며 굴목치지구는 산화의 피해를 많이 받은 지역으로 산화에 비교적 강한 참나무류가 우점종이었다. 특징 수종은 털조장나무, 박쥐나무, 대팻집나무, 히어리, 노목인 자귀나무, 고로쇠나무, 차나무 군락, 노각나무, 흰말채나무 종이며, 초본으로는 관엽식물인 족제비고사리, 꼬리고사리, 거미고사리, 일엽초 등과 천마, 보춘화, 새이삭여뀌군락 등은 부호가 요망된다. 조계산의 소나무림은 1650~1963년 인력에 의해 대채되었던것이 복구되지 못하여 조계산을 중심으로 접치지구와 오두치지구의 700m이상 지역은 거의 무송림지역으로 되어 있었다.

  • PDF

장안산과 팔공산 구간(전북 장수)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e Trail from Jangansan to Palgongsan, Jangsu, Jeonbuk)

  • 오현경;한윤희;박경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7-244
    • /
    • 2013
  • The vascular plants in the trail from Jangansan to Palgongsan were listed 389 taxa (8.0% of all 4,881 taxa of Korean vascular plants); 84 families, 226 genera, 325 species, 1 subspecies, 55 varieties and 8 forms.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H) were 110 taxa (28.3%), geophytes (G) were 77 taxa (19.8%), megaphanerophytes (MM) were 48 taxa (12.3%), nanophanerophytes (N) were 47 taxa (12.1%)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o, resource plants of 237 taxa of edible (60.9%), 278 taxa of medicinal (71.5%), 229 taxa of ornamental (58.9%) and 178 taxa of the others (45.8%).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7 taxa (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1.2% of all 571 taxa of rare plants); Paeonia japonica (VU), Viola albida, Viola diamantica, Lilium distichum, Disporum ovale, Tricyrtis dilatata, Iris ensata var. spontanea (LC), etc. Based on the list of endemic plants, 7 taxa (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2.1% of all 328 taxa of endemic plants); Salix koriyanagi,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Philadelphus schrenckii,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Carex okamotoi,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46 taxa (1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4.3% of all 1,071 taxa of specific plants); 2 taxa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Cardamine yezoensis, etc.) in class IV, 6 taxa (Acer palmatum, Ulmus davidiana, etc.) in class III, 14 taxa (Ligularia fischeri, Cymopterus melanotilingia, etc.) in class II, 24 taxa (Ilex macropoda,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6 families, 16 genera, 18 taxa (Phytolacca americana, Robinia pseudoacacia, Oenothera odorata, Erechtites hieracifolia, Festuca arundinacea, etc.)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Naturalization rate (NR) was 4.6% of all 38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5.6%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덕유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n T$\v{o}$kyusan National Park)

  • 임경빈;김용식;전승훈;전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03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나아가 식물구계학적 논의와 자원식물의 생태학적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3회에 걸쳐 9개 조사구역별로 야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관속식물의 수는 97과 297속 541종류로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19종류는 인공식재된 수종이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 희귀식물은 16종류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내 식물의 구계학적 위치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비목, 감태나무, 복분자딸기, 주목, 개비자나무 및 구상나무 등의 한국구 대표인자와 온대남부의 공통요소들이 자생하고 있는 전형적인 한국구남부에 속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을 대표하는 식물요소로는 복수초 군락, 주목 군락, 사스래나무 군락, 원추리류 군락, 흰참꽃나무 군락, 철쭉 군락, 금강애기나리 군락, 뻐꾹나리 군락, 구상나무의 분포사실 및 두문산 일대의 습지군락의 분포와 향적봉 일대의 고산초원 발달 등을 들 수가 있었다. 식물자원적 가치가 높아 과도한 이용압력을 받고 있는 종으로는 천마 외 15종의 약용식물, 복수초 외 7종의 관상식물 및 곰취 외 13종의 식용식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현지주민의 소득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밀한 생태분류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에 따라 보전대책이 수립되야 하겠다.

  • PDF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nd Classification Type of Flora in the Bongamsa(Temple) Area, Mungyeong)

  • 오현경;한윤희;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7-469
    • /
    • 2011
  •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은 99과 303속 468종 1아종 70변종 13품종으로 총 552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상 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고란초, 너도바람꽃, 개회향, 구상난풀, 꼬리진달래, 참배암차즈기, 천마 등 12종류가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무늬족도리, 진범, 점현호색, 청괴불나무, 벌개미취, 분취 등 11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고란초, 천마 등 2종류, IV등급에 승마, 등, 가는잎향유 등 5종류, III등급에 물박달나무, 당조팝나무, 청시닥나무, 산앵도나무, 개회나무 등 10종류, II등급에 돌양지꽃,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왕쌀새, 박새 등 7종류, I등급에 거미고사리, 개비자나무, 박달나무, 대팻집나무, 피나무, 물고추나물, 숫잔대 등 24종류로 총 48종류(전체 552종류의 관속식물 중 약 8.7%에 해당)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끈끈이대나물, 큰달맞이꽃, 컴프리, 붉은서나물 등 21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552종류의 관속식물 중 3.8%로 분석되었다. 봉암사 일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군은 희귀식물인 고란초, 너도바람꽃, 천마, 수정난풀, 구상난풀, 꼬리진달래 및 중층 습원식물인 개회향, 꽃창포 등이 있으며, 외래종은 봉암사 경내의 식재종, 대상지안의 조림 및 인공림, 이입된 귀화식물 등으로 구분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Iris koreana of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Areas in Special Protection Zone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5호
    • /
    • pp.365-375
    • /
    • 2017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 2구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1과 166속 222종 2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114분류군(44.7%), 초본식물은 141분류군(55.3%)으로 확인되었다. 세부구역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총 178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총 1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노랑붓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 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개족도리풀, 은꿩의다리, 고광나무, 떡윤노리나무, 민땅비싸리, 참갈퀴나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지리대사초,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 노랑붓꽃 1분류군, IV등급에 층실사초 1분류군, III등급에 큰여우콩, 호랑가시나무, 단풍나무, 새비나무, 호자덩굴, 산기장 등 6분류군, II등급에 자주잎제비꽃, 큰참나물, 이팝나무, 청괴불나무, 좀딱취, 지리대사초, 금난초 등 7분류군, I등급에 쇠고비, 전나무, 폭나무, 개족도리풀,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투구꽃, 상산,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돌외, 송악, 오갈피나무, 개시호, 정금나무, 들메나무, 올괴불나무, 조릿대풀, 큰천남성, 일월비비추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노랑붓꽃 특별보호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연성과 건강성이 우수한 지역이므로 향후에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보호구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Study on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Jeonju City)

  • 오현경;변무섭;임성구;박준모;김계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82
    • /
    • 2008
  •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건지산 도시자연공원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은 92과 242속 303종 48변종 3품종으로 총 354종류가 확인되었다.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에는 205종류(57.1%), 약용식물에는 234종류(65.2%), 관상창식물에는 167종류(46.5%), 기타용 식물에는 218종류(60.7%)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IV등급에 목련(식재)과 수염마름, III등급에는 호랑가시나무(식재)와 향나무(식재), II등급에는 꽃창포와 복자기(식재), I등급에는 전나무(식재), 잣나무(식재), 왕버들, 물오리나무, 종가시나무(식재), 애기괭이눈, 황매화(식재), 예덕나무, 대팻집나무, 사철나무(식재), 장구밥나무, 동백나무(식재), 정금나무, 까치수영, 들메나무, 광나무(식재)등의 16종류로 분석되어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이삭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가죽나무, 큰달맞이꽃, 미국나팔꽃, 도깨비가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기생초, 개망초, 붉은서나물,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12과 23속 28종 2변종으로 총 3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54종류의 관속식물 중 8.5%로 분석되었다. 이중 도깨비가지와 돼지풀은 환경부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최근 들어 건지산 일대에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으로 이들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대책방안이 요망된다.water 분획물에서 각각 49.24% 및 31.8%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지대의 육지지형이 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에 의해 내륙에서 해안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특히 시추코어 화산암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제주도 동부 저지대 지역 대부분이 IV와 V 화산활동기 동안 분출된 200Ka 이내의 비교적 젊은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및 지형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며, 화산암류의 K-Ar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구분이 재고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에 근거한 화산 층서의 해석은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과 함께 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퇴비원료로 이미 지정('02. 12. 31)된 제약오니 및 화장품 오니를 과량으로 토양에 시용한 후 유해 유기화합물, 미소동물, 미생물 및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거하여 고추를 재배한 포장에서 비료의 피해시험을 실시한 과 유해 유기화합물과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은 앞으로 연구를 통해서 보완할 경우 상당히 활용 가능성이 있는 좋은 평가방법인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 반응시간에 따른 탈착효율은 10분 이내에 전체 탈착량의 80%이상이 탈착 되었으며 1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장 내 B세포 및 T세포를 증가시켰으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ESMR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

삼림(森林)의 다목적(多目的) 경영(經營)을 위한 식생(植生)의 분류(分類)와 분석(分析) -팔공산(八公山) 동화사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Vegetation for a Multiple-purpose Management of Forest -Centering around Dong Hwa Sa Area on Mt. Pal Gong-)

  • 김병구;조현제;이병천;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32-42
    • /
    • 1988
  • 팔공산(八空山) 남사면(南斜面)에 위치(位置)하는 동화사(桐華寺) 지역(地域) 삼림(森林)의 다목적(多目的) 임업경영(林業經營), 즉 삼림(森林)의 입체적(立體的) 이용(利用)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수립(樹立)할 목적(目的)으로 ZM학파의 식생분석법에 기초를 둔 풍원(豊源) 및 Pfister의 식생분석법(植生分析法)으로 이 지역(地域) 삼림식생(森林植生)을 분석(分析)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이 지역(地域)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산지림(山地林)과 계곡림(溪谷林)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2) 산지림(山地林)은 A. 소나무군락(群落) B. 소나무군락(群落) C. 신갈나무군락(群落)으로, 계곡림(溪谷林)은 느티나무군락(群落)으로 구분(區分)되었다. 3) 소나무군락(群落)은 1. 소나무 전형군(典型群) 2. 소나무-산오리나무군(群) 3. 소나무-대팻집나무군(群)으로, 신갈나무군락(群落)은 1. 소나무-까치박달군(群) 2. 산벚나무-산수국군(群)으로 구분(區分)되었고, 느티나무군락(群落)은 1. 고로쇠나무군(群), 2. 만목성(蔓木性) 식물군(植物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4) Pfister와 풍원(豊源)의 식생분석법(植生分析法)은 다목적(多目的) 임업경영(林業經營)이나 입체적(立體的) 삼림이용(森林利用)을 위한 지침(指針)을 마련하는데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사료(思料)되었으나 각(各) 지역(地域) 삼림(森林)에 대한 식생분석(植生分析) 자료(資料)가 많이 있어야 객관적(客觀的)인 응용(應用) 方法(方法)이 제시(提示)될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