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ologie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소쉬르·퍼스의 기호론과 바르트의 신화분석 영화 '베테랑'을 중심으로 (Semiotics analysis of Saussure, Peirce, and Myth of Barthes Focused on the film 'Veteran')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6
    • /
    • 2015
  • 본 연구는 영화 '베테랑'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이다. 영화 베터랑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적문제점들을 기호인 영화로 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호이론으로 그 영화가 지시하고자하는 심층적 의미와 우리사회에 던지는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동시대 학자인 소쉬르의 기호론인 기표와 기의, 퍼스의 기호학인 도상, 지표, 상징, 그리고 바르트의 신화론과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영화 '베터랑'에서 감독이 생각하는 우리사회의 저 밖에 지시대상들을 기표인 배우들의 역할인 함축적 의미로 대체시켰다. 따라서 지금 우리사회가 바라는 그 이상 것인 신화로 승화 시켰다. 그래서 우리사회의 현실상 올바른 이념인 이데올로기의 과정으로 권선징악과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이 영화 '베테랑의 기호'가 해석한 것처럼 재벌 같은 특정집단을 위한 사회보다 더불어 같이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신동일 영화에 나타난 타자, 경계, 충동 연구 - <컴, 투게더>를 중심으로 (A Study on Others, Boundaries, Drives in the Director Shin, Dong-il's Films - Focusing on the )

  • 유재응;김태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7-13
    • /
    • 2018
  • 신동일 감독은 한국 영화계에서 작가적 고집으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작가 중 한명이다. 신동일 감독은 현대 사회의 시스템과 이데올로기, 그리고 병폐에 대해 비판하고 줄곧 그것에 대해 질문을 던져온 작가이다. 그가 <반두비> 이후 8년 만에 선보인 <컴, 투게더>(2017)는 전작들에서 추구했던 작품세계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도 전작들과는 다른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신동일 감독이 추구하고 있는 작품세계를 크게 타자, 경계, 충동의 3가지로 나누어 전작들과 <컴, 투게더>의 공통점과 변화들을 비교하면서 분석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신동일 감독의 작품 세계를 고찰하고 변화 방향을 가늠한다.

BAUHAUS의 타이포그래피 연구 (A Study on the Typography of BAUHAUS)

  • 하상오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43-52
    • /
    • 1999
  • 바우하우스에 있어서 타이포그래피의 다양한 실험은 인쇄공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바이마르 후기에 이르러서 이 공방의 책임자가 된 모홀리-나기는 기능주의적 사고방식으로부터 접근하여 먼저 활자의 개량을 요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우하우스 통일문자의 제작과 아울러 사진기술을 이용한 영상과 문자를 결합시켜 새로운 형태의 타이포그래피인 다이포 포토를 개발하였다. 또한 모홀리-나기의 이념을 이어받아 합목적적인 조형을 목표로 한 헤르베르트 바이어는 심리학 생리학의 제반법칙에 기초를 둔 다양한 광고제작물을 실현하여 현대 정보광고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바이어의 뒤를 계승한 요스트 슈미트는 기능성에 입각한 레터링, 타이포그래피 교육과 실천에 주력하는 한편 전시 계획에 따른 타이포그래피의 효율적 공간구성으로 디스플레이 디자인 영역을 새롭게 개척했다. 이와 같이 바우하우스 작가들에 의해 시도된 일련의 타이포그래피 실험은 동일한 시대, 같은 지도자에 의해 계승되었슴에도 불구하고 전통과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정신과 다가오는 시대를 예견하는 뛰어난 통찰력, 역동적인 대응방식을 통하여 현대 시각커뮤니케이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

조선후기 여자 일상복의 변천에 관한 연구-실학자의 복식관과 풍속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Ordinary Costume For Woman in the Late Chosun Period-Focused on Shilhak Scholars' Viewpoints on Costumes and Costumes in genre paintings-)

  • 양숙향;김용서
    • 복식
    • /
    • 제39권
    • /
    • pp.167-179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s of the period covered in the writings of Shilhak (practical science) scholars and to research the history of costumes and their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how they are worn in genre paintings which are said to describe the actual life of the period. This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correctly establish the history of costumes. To begin with, through the writings of the representative Shilhak scholars who are thought to have affected the changes in ordinary costumes for woman, this study examined how ordinary woman of the period looked in their costumes and how they regarded various costumes they had. Then, how their viewpoints of costumes influenced ordinary costumes was investigated. Not only relics, but what was commonly worn, as they appeared in the genre painting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daily living of that period, were researched chronolog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nge in ordinary costumes for woman in the late Chosun period was affected by Shilhak scholars who had ideologies of Shilsakusi (use of positive methods in studying), Yiyonghusaeng (the promotion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echonologies), and Ky ngsech'iyong (pursuit of stability in a rural economy). Moreover, after those changes there were many more changes. However, the criticism of costumes of that time and the will of revolution affected some time, costumes changed directly. The forms of the costumes had been changed in a variety of ways following the tendencies of the times, but the origin of today's hanbok (Korean traditional dress) had already been fixed in the late Choson period. Yet, today's hanbok are for special occasions, not worn as ordinary clothing. Thu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 hanbok is not suitable for daily life. One of the reasons is that Korean could not cope with the western costumes indepen-dently imported during Japanese occupation in the last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and con-tinuing the Japanese Colony. Thus, only a part of the ordinary costume of the late Choson period has remained until now.

  • PDF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을 중심으로- (Discourse Analysis of Free Child Care Policy for Infants-Focus on the Perspectives of Work-Family Balance)

  • 장수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3-59
    • /
    • 2013
  • 무상보육 시행 이후에도 무상보육은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무상보육 담론분석을 위해 주요 4대 일간지(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무상보육' 기사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카인즈(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와 조선일보 아카이브를 통해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무상보육 실시 후 자료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무상보육담론은 양육수당, 맞벌이 주부 대 전업주부, 보편복지 대 선별복지 등 다양한 대립구도를 형성하면서 경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분석 결과 보수적 또는 진보적 이데올로기가 실천되고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상보육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에서 성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현대 일본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Decoration Culture resident in Contemporary Japanese Fashion)

  • 채금석
    • 복식
    • /
    • 제54권3호
    • /
    • pp.113-12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piritual root of decoration and anti-decoration culture in contemporary Japanese fashion and find the aesthetic meanings of the decoration culture inside contemporary Japanese fash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1. surveying the historical change about the aesthetic sense of Japan. decoration culture 2. deducing the distinctive aesthetic ideology from the decoration culture 3. finding esthetically the inside meaning of 1.2. in contemporary Japanese fashion. First, the origin of decoration culture was concerned with the belief in the life after death of the Buddhism culture to represent the noble society of the Heian(평안) period and the religion of paradise after the Middle Ages. Second. this decoration culture based on two aesthetic ideologies, beautiful(염) aesthetics and lofty(숭고) aesthetics. The beautiful aesthetics implies words, such as bewitchment, elegance, dignity and brilliance which stand for the sensual pleasure and the eroticism. The lofty aesthetics that was introduced by TakeTakasi(장고) during the Heian period, had the meaning of magnificence, greatness and dignity. This could be recognized as the Confucianism ideas. Third, as the beautiful aesthetics that was the representative aesthetic ideology of the decoration culture, it was related to splendid and decorative designs, and was recognized as the beauty of brilliance and coquetry. The beauty of brilliance, as a decorative element, appeared in patterns of the traditional costume and dyeing as well as the beauty of coquetry indicated that the women's fashion in Japan had soft, feminine, and cute images, called Hawaii, by using various decorations, such as feminine details, flower patterns. ruffles. ribbons and so on. TakeTakasi's lofty aesthetics applied the beauty of exaggeration to every art form. It has influenced the form exaggeration by overlapping in traditional costumes as well as the 1970s big look and layered look in Europe fashion. Issey Miyake and Takeda Kenzo introduced the decorative play, such as transformation and a distortion, which considered refinement, bluff, and oddity of the Japanese decoration art.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포스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ers of Swiss Graphic Style)

  • 홍성일;안창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형성과 정착에 가장 큰 흐름을 차지하였던 포스터를 중심으로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체계적인 이해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이념, 그리고 시각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물론 편집디자인과 같은 포스터 외적인 다른 시각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도 스위스 그래픽 양식이 다듬어지고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지만 그 당시 대중들의 선동 선전에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디자이너들의 주된 표현 매체가 되었던 포스터를 통해 20세기 중반이후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인 양식의 교과서로 자리잡았던 스위스 그래픽 양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배경과 형성과정을 통해 그래픽 양식의 생성 의미를 되새겨 보고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시각적 특징과 그 양식의 특징들이 스위스 디자이너들의 포스터를 통해 어떻게 접목되고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어느 특정 디자인 양식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개인 디자이너의 독자적인 행보나 노력도 중요했지만 밑거름이 되었던 사회 문화적인 영향, 앞선 디자인 양식과 이념의 소산물과 함께 여러 디자이너들의 열정과 실험적인 결과의 진취적 과정이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중동 Terrorism의 대두와 전망 (A Study on the Rise and prospect of the Middle East Terrorism)

  • 최기남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409-441
    • /
    • 2005
  • Terrorism은 21세기 새로운 세계질서의 형성과정에서 핵심적인 가치관으로 등장하였으며 인류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국제 Terrorism을 리드하고 있는 중동지역 Terrorism은 인류의 수세기 동안 농축되어온 종교적 이념대립과 지역적 생존권 다툼에서 기원하며, 종교 문화적인 단층에서 발생하는 충돌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9.11 WTC Terror를 분기점으로 이슬람 원리주의 Terrorism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서방세력의 대립으로 가시화 되었으며 그 전망은 부정적이다. 미국의 Terrorism에 대한 강경한 대외정책으로 국가지원 Terrorism은 근절되겠지만 이슬람권 아랍민족의 반미감정의 결집은 전투적 이슬람 원리주의 전사들에 의한 반미 ${\cdot}$반서방 Terror를 심화시킬 것이며 현재 자생적으로 발생 진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확산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게도 당면한 위협이며, 이에 대한 대비는 종교, 민족 등 근본적인 문명의 괘선에 대한 접근을 통해 능동적인 국가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 PDF

웨스 앤더슨의 영화 속 유니폼에 표현된 이미지 연구 : 영화 <문라이즈 킹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Expressed in Movies of Wes Anderson : Focused on , )

  • 차지현;권미정;양삼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03-1312
    • /
    • 2017
  • 이데올로기들은 영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표출된다. 그 중 하나가 의상이다. 본 연구는 웨스 앤더슨의 영화 작품속 의상에 표출된 유니폼의 조형적 특징과 이미지의 분석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논자는 2010년 이후에 제작된 웨스 앤더슨의 작품들 중 <문라이즈 킹덤>(2012),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의 두 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니폼과 이데올로기 양자간의 인과성과 그것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영화에 등장한 유니폼은 인물들의 직업이나 역할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에서 나아가 소속감, 독립성, 권위, 사명감, 정체성과 동일체성, 자부심 등을 표출하고 있는데, 이 중 두 영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치는 소속감, 독립성과 권위, 사명감 등이다.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 차성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63-76
    • /
    • 2010
  • A law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legislated in December 2007. According to the law, projects for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a family-friendly culture.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developing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projects such as those advocating for flexible work hours, an employee support system, and child care and a family care support system. However, in terms of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re was no noticeable advancement.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vitalize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in terms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family-friendly village could be structured on the three axe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 model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motivation, systematization, and participating & practicing. In the motivation step, integration, community, and sustainability were needed as basic ideologies for a family-friendly village. In the systematization step,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for residents taking on leadership and activist roles was stressed. In the participating & practicing step, many ways to facilitat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starting the project from matters of common interests, making the resolution of families' problems a communal task of the residents, accep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associated with the matter, and taking a differentiated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family-friendly village should be taken as a common functional scheme in everyone of eight livable village models because a key factor in a family-friendly village, family care, serves an essential function in any livable villag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