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dentity of Korean Culture

Search Result 77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도시공원의 지역적 정체성 평가와 유용성 -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for Regional Identity of Urban Parks and It's Utility -focused on the new towns in the Capital Region-)

  • 오정학;고동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89
    • /
    • 1999
  • Recent expansion of urban parks has been partly successful in terms of providing urban outdoor recreation space. Unfortunately we paid very littl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gional identity to urban parks until recently. Thu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of the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s of Korea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regional identity of urban parks.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how well the current urban parks have realized their own regional identit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ncept of 'identity', the identity items were created, while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such variables as in urban park identity, park satisfaction, belongingness to the reg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order to test the model, the causations were analyzed. Meanwhile, the scales to evaluating identity were reviewed by means of the unstructures group interview, and were finally determined as 10 items; culture, uniqueness, symbolic, historic nature, homogeneity, harmony, difference, public benefit, nativeness and traditionality. Data from three new towns in the capital region-Bundang, Ilsan and Sanbon-were collected, and their central parks were referred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rough this survey that subjects 'sentiments regarding the sample towns' regional identity differed slightly. Residents of Bundang felt the strongest amount of regional identity, followed by those of Ilsan and Sanbon.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scale on regional identity is 'park satisfaction', followed by 'belongingness to the region' and 'residental satisfaction'. Th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rpret the causations in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way than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t the regional identity affects 'belingingness to region' through the intermediated variable 'park satisfaction', while affecting '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variables 'park satisfaction' and 'beligningness to region'. In other words, although the regional identity of a park does not directly affect 'belongingness to region' or 'residental satisfaction', it has indirect effects on them through intermediate variables.

  • PDF

현대 중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연구 - 전통문화코드 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Fashion Design -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code analysis -)

  • 남미령;박은경
    • 복식
    • /
    • 제63권2호
    • /
    • pp.125-14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Chinese fashion design by examin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 are accepted and presented in fashion under the influences of western cultures. This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survey on related works. Also this study performed demonstrative analysis of Chinese daily newspapers (People's Daily and Xinmin Evening News, 2007-2010) and fashion collections by Chinese and Chinese descent designers(2007-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a is trying to express Chinese traditional ideas and factors in the design areas, and also trying to achieve an universal generalization. Second, the Chinese designers emphasized traditional ideas and culture in their designs. The Chinese descent designers were affected more by western culture. The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were the beauties of sophisticated and splendorous decoration, vastness and elegance. Also the compromised images, neutral images and antique images were common in both groups. Third, the Chinese designers presented fashion designs on formalized and imitation stage. Also they tried to make a metaphorical stage. The Chinese descent designers showed designs on a metaphorical stage. In conclusion, the contemporary Chinese fashion design should find the way to globalize and ident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de simultaneously.

상호협조적-독립적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 (The Parent-adolescent Career Congruence Process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 손영미;박정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25-35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끈끈한 유대감(부자유친성정)과 권위적 효의식을 지지하는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지하는 독립적 부모자녀관계가 어떠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을 거칠 때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5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병렬다중매개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자유친성정은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권위적 효의식은 진로정체감에는 부정적인 직접 영향을 미치지만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매개하면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자녀관계는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침입성은 진로정체감에 부정적인 직접 효과만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유사합치과정은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독립적 부모자녀관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으며, 진로정체감과는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 대한 문화보편적 특성과 문화특수적 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연구 (A Study on Fashion Communication Methodology to Build Fashion Brand Identity)

  • 고승민;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1호
    • /
    • pp.68-82
    • /
    • 2024
  •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placing great importance on establishing and communicating brand identity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landscape of consumer preference and media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ologies for building a strong brand identity for domestic designer fashion brands. To achieve this, trends in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were categorized, and key words were derived to develop three new communication methodologies through an analysis of 10 domestic brand ca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a strategy that focuses on forming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brand identity. To this end, the propose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delivering sustainable messages through emotional storytelling, which is a key approach for building emotional bonds with consumers. Second, expanding the brand experience to elicit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by immersing them in special situations to experience brand identity. Third, brands can enhance consumer brand loyalty by fostering continuous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and cultivating brand culture through omnichannel strategies that encompass both offline and online channels.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various fashion brands along with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domestic fashion brand startups and brand identity construction. With these strategies, it is anticipated that brands will establish clear and specific content and build a stronger brand identity by engaging in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that offer consumers sustainable values and brand experiences.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나는 사회화 도구로써의 복식분석 (An Analysis on Costume Socialization in Koran Traditional Fairy Tale)

  • 정미혜;김진구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1호
    • /
    • pp.105-12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socialization in Korean fairy tales by the socialization theory. Clothing socialization analyzed of seven categories-norm, role, self-identity, morality, institution, social class and social change, From the costume in the Korean fairy tales, clothing socialization can be visualized.

  • PDF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s and Mental Health)

  • 윤가영;이준배;박선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529-553
    • /
    • 2022
  •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문화.예술 활용에 관한 연구 - PRAD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t and Culture in Luxury Fashion Brand - Focused on PRADA's Case -)

  • 백정현;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46-163
    • /
    • 2012
  • This thesis aims to present how to make secure the identity of the brand with enhancing the esthetic expression of the brand and making the ways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variety, through investigating closely the case of Prada representative of the typical brands that have established the unique identity by cooperating the fashion with culture and art through their ingenious and consistent efforts. In the conclusion, the culture and art was found to be applied in two fields i.e. one of design and the other of marketing. In terms of the design, the method of inserting the image into the surface of the clothing and accessories was used. In the context, the illustration techniques, photographic patterns and applying the image of the art piece could be summarized to be used. In terms of marketing, the sponsorship of the art and exhibitions, look books, animations and fashion films, epicenter, the collaboration with the other kinds of enterprise, could be regarded as four ways of the approaches. The innovation and creativity, futuristic hybrid, nonprofit support of the art, the integration and consistency of the image of the arts could be concluded to be four major points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da renowned for the use of the culture and arts to its property.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한반도 통일의 가치정립의 토대에 대한 연구 -문화 개념과 정서 개념의 다문화적 접근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Muliticultural Society of Korea -focused on a possibility of the mulitucultural conception of culture and emotion)

  • 송선영
    • 윤리연구
    • /
    • 제80호
    • /
    • pp.51-77
    • /
    • 2011
  • 이번 연구는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한반도 통일의 가치토대를 어떻게 확립할 것인지를 탐구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의 주제는 다문화 구성원들, 특히 북한 주민들과 새터민,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 이주자 및 그 자녀들이 과연 한번도 통일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지, 즉 한민족 정체성과 그것의 가치분담이다. 이를 위해 이번 연구에서는 '문화 개념의 다문화 수준별 적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논문을 활용하고, 그 한계를 밝히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정서(emotion)'의 다문화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문화 개념의 적용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개념을 '의미의 패턴'으로 간주하는 경향으로서 주로 상징과 해석에 초점을 둔다. 이는 주로 타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국제결혼 이주민이 초기 한국 사회의 정착시기에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문화 개념을 지속적인 완전성을 향한 과정으로 이해하는 경향으로서, 이는 주로 자문화를 확인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국제결혼 이주민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면서 본격적인 삶을 영위할 때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연구성과를 북한 주민, 새터민, 국제결혼 이주민 가정의 자녀에게 적용했을 때에는 일정한 한계가 보인다. 첫째, 북한 주민들은 현재 북한 정권의 특성상, 다문화 사회에 대한 거부감이 크고, 단일민족주의를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이해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즉 북한 주민들이 자문화 차원에서 민족 정체성을 강하게 확인하더라고, 매우 폐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새터민의 경우에는 자문화 확인의 정도는 강하지만, 한국 사회의 정착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경제적 차별로 인해 자신들만의 정체성 확인에 그친다. 셋째, 국제결혼 이주민 가정의 자녀들과 그 부모들은 모두가 '한국인'이라는 정체성 수준은 매우 높았다. 다만 이주민 부모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순혈주의의 측면에서 이들 모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는 실정이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가치의 토대는 다문화 구성원들 모두가 분담할 수 있는 '정체성'의 문제이다. 이를 삶의 영역에서 확인하고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은 각 구성원들의 특성들을 모두 고려할 수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기존 연구의 문화 개념을 다문화 수준별로 접근했을 때 근본적인 문제는 내면적으로 구성원들 모두가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한민족 정체성에 대한 어떤 공통된 분담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명료하게 제시하지 못했다. 이런 점에서 다문화 사회에서 한반도 통일의 가치토대는 외면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내면적이고 정체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결국 다문화 구성원들이 관계의 삶의 영역에서 도덕적 행위자라는 점에서 이들의 정서가 문화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보다 세밀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 결혼이민 여성의 전통복식 문화적응태도 및 착용실태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Japa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 김순영;추호정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63-78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traditional dress donning practices among Japanes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after marrying Korean me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233 married women who emigrated from Japan to Korea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Hanbok acceptance attitudes(HAA) and Kimono transmission attitudes(KTA). Both HAA and KTA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thnic identity. 43.3%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y belonged both to Korean and Japanese ethnicity, 30.5% to Korean ethnicity, and 26.2% to Japanese ethnicity. Similar tendency (64.8% to bicultural identity, 31.3% to Korean, and 3.9% to Japanese) was found in the ethnic orientation towards their children. Both HAA and KTA had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nationality, education and income level. Second, 70.4% of women had no experience of wearing Hanbok, and 90.1% had no experience of wearing Kimono. The women mostly wore Hanbok and Kimono for social events and family weddings.

주택문화관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디자인 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Design Factors of Housing Cultural Center)

  • 김영훈;전혜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3-11
    • /
    • 2009
  • As the idea and function of the 'Model House' alters, so does the name - 'Housing Exposition' or 'Housing Cultural Center'. Its function Is not only to show and sell but to educate, promote and show culture. It works as a 'communication ground' about house. With the growing number of the Housing Cultural Center and the importance of function,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are building it competitively to connect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by expanding service. However, despite the necessity of 'Housing Cultural Center' is increasing, function and component of the Housing Cultural Center are yet defined and also specific direction of design, consumer services and programs are not properly established. Also, they are promoting and selling in lots only for a limited period which have problem in clients to participate and know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ies promotion. Most of Housing Cultural Centers are similar in concept, shape, color u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ousing Cultural Center with spacial and visual elements that comprise Housing Cultural Center, and study identity factor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build identity of the Housing Cultural Center. Ultimately, companies need to put forth to make difference in their own identity and apply it effectively in order to firmly establish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