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UCN Red Lis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서해안 송도매립지에서 번식하는 검은머리갈매기의 현황과 번식생태 (Breeding Status and Ecology of Saunders' Gulls (Larus saundersi) in Songdo Reclaimed Land, West Coast of Korea)

  • 권영수;정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77-282
    • /
    • 2009
  • Saunders' gulls (Laurs saundersi) which are listed as globally vulnerable species on the IUCN Red List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and breed mainly in China and Korea. Their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between 7,100 to 9,600. Songdo reclaimed lands in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are the main breeding sites for these species. However, most of these breeding sites have been seriously disturbed in the last several years because of new urban development constru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on the breeding ecology of Saunders' gulls. Since 1998, the breeding popula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South Korea, with the number of nests rising from 85 nests in 2000 to 185 nests in 2005. Egg volume is more variable than breadth or length. Clutch size, hatching and breeding success were $2.9{\pm}0.81$ (n=182, mean$\pm$sd.), 48.07% (75 hatched egg/156 eggs) and 29.08% (155 fledglings/533 eggs), respectively. Factors affecting breeding failure were predation, rainfall, starvation and supernormal clutches. These results are provided along with other cited literature to argue for conservation of Saunders' gulls.

The first record of the rare fern Pteris griffithii (Polypodiales: Pteridaceae: Pteridoideae) in the Bhutan Himalayas

  • DORJI, Rinchen;DEMA, Sangay;NIROLA, Mani Prasad;GYELTSHEN, Chok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4-28
    • /
    • 2022
  • Pteris griffithii Hook., one of the rarest fern species on the Indian subcontinent, is reported from Bhutan for the first time. The identity of this species was confirmed through morphological determination at the National Herbarium (THIM) of the National Biodiversity Centre (NBC) of Bhutan. It was found only in one location, in Gyelpozhing in eastern Bhutan, at an elevation of 521 m a.s.l. on 10 January 2016. Given that a very limited study of this species was conducted, the knowledge baseline with regard to its distribution is poor. It is also reported that this species has not been found for several years. The species is also considered to be very rare or critically endangered in some countries; however, there are no assessments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for this particular specie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considering its rarity and data deficiency. This species is also reported from the adjacent neighboring Indian state of Arunachal Pradesh as very rare, and also from Myanmar; however, confirmation of its presence in China is not clear at this time. Therefore, considering its data deficient status, we attempt to document it scientifically to create a knowledgebase pertaining to this particular species. Concurrently, this species merit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its distribution patterns in Bhutan and any related anthropogenic threats.

한국 특산 식물 미선나무, 식물자원으로의 잠재력 (The Potential of the Korean Endemic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as a Plant Resource)

  • 장태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9-9
    • /
    • 2023
  • 한국 특산 식물인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는 IUCN Red List의 EN (위기종) 등급에 지정되 어 보호받아 왔다. 미선나무는 국내 자생지 6곳을 포함하는 13개의 서식지에서 생육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7년 이후, 국내에서는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하에 법정보호종에서 해제되어 멸종위기종 복원 성 공 사례의 귀감이 되었으나 국내를 제외하면 미선나무의 활용은 아직 어려운 현실이다. 미선나무는 1속 1종이지만 종 내에서 다양성이 존재한다. 꽃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다양한 분류가 이루어지며, 옥황1호을 포함한 분홍, 상아, 연녹색, 흰색 등으로 구분된다. 유전체 연구 및 성분 분석을 통해, 각 표현형마다 유전 정보와 유효 성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활용 가치를 높이려면, 유전적으로 안정되고 표준화가 가능한 원료가 필요하며, 이는 신품종을 이용하거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내포한다. 일반 식품으로의 활용은 어려우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용들은 미선나무의 높은 활용 가치를 투영한다. 활용 가치 평가를 위해 수행된 DNA 손상, 멜라닌 생합성, 항염증, 항산화, 항암 억제 등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진다는 결과들이 도출되었고, 많은 문헌들이 그 근거를 뒷받침한다. 또한, 유효 성분의 합성경로를 재정립하고 RNA 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미선나무에서 유래한 식물조직 배양체인 callus의 유도 및 배양이 진행되고 있으며, 옥황1호 유래 callus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미선나무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한계를 파악하고, 천연 식물 자원으로의 미선나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 PDF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구조 및 지속성 (Stage Structure and Population Persistenc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and Endangered Plants)

  • 이동형;김소담;김휘민;문애라;김상용;박병배;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48-557
    • /
    • 2021
  •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은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동아시아 특산식물로, 지구 수준의 IUCN Red List "위기(Endangered, EN)"로 평가되며, 한국의 국가 Red List에서는 "멸종위기(Critically Endangered, CR)"에 포함된다. 본 연구는 광릉요강꽃 자생지에서 7년 동안 수행된 개체통계학적(demographic)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 구조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광릉요강꽃은 국내 7개 지역(포천, 가평, 화천, 춘천, 영동, 무주, 광양)에서 자생지가 관찰되었고, 15개 아개체군에 4,356개체가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체군 크기 및 구조는 지역별로 상이하였으며, 인위적 관리가 개체군 크기 및 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7년 동안 개체 수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생존력(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은 지역별로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1세기 안에 멸절할 가능성은 포천 0.00%, 광양 10.90%, 춘천 24.05%, 화천 79.50%로 예측되었다. 모니터링이 수행된 위 연구지역은 현지 내 보호시설로 인위적 출입을 제한하고 있어 광릉요강꽃의 최대 위협요인인 인위적 남획 변수가 개체군 생존력에 반영되지 않았다. 즉, 실질적인 멸절 위험도는 본 연구에서 추정된 값보다 현저하게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광릉요강꽃 개체군의 멸절위험도의 객관적 판단을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위협요인이 있는 여러 지역의 개체군 정보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외로 광릉요강꽃 개체군에 대한 개체통계학적 모니터링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덕정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Korea)

  • 김중현;박성애;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61
    • /
    • 2018
  • 본 연구는 덕정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종을 조사하였다.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107과 305속 423종 8아종 48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덕정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식물 종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62분류군), 화본과(48분류군), 사초과(27분류군), 콩과(23분류군), 꿀풀과(21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키버들, 좀목포사초, 백운산원추리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5분류군으로 준위협종(NT)에 쑥방망이, 관심대상종(LC)에 물잔디, 미평가종(NE)에 왕과, 버들잎엉겅퀴, 멱쇠채가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4분류군, II등급 8분류군, I등급 11분류군으로 총 26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외래식물은 46분류군으로 귀화율 9.5%, 도시화지수 14.3%로 나타났다.

마니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7-53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anisan (Ganghwa-gun) from April of 2017 to August of 2018.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12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508 taxa: 107 families, 306 genera, 456 species, 7 subspecies, 43 varieties, 1 form, and 2 hybrids.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66 taxa), Poaceae (59 taxa), Fabaceae (25 taxa), Cyperaceae (25 taxa), Rosaceae (22 taxa), Liliaceae (20 taxa), Polygonaceae (17 taxa), Lamiaceae (14 taxa), Ranunculaceae (13 taxa), and Caryophyllaceae (13 taxa). Among these plants, 169 taxa were recoe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The six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C. erythrobasis H. $L{\acute{e}}v$. & Vaniot,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two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ylophora floribunda Miq.,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seven taxa of degree II, and 12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9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7%,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5.3%, respectively.

고려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Goryeo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2-395
    • /
    • 2020
  • 본 연구는 강화군 고려산(436 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71속 568종 10아종 45변종 2품종 4교잡종으로 총 62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려산은 한반도의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참나무류-소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본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식물은 314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며, 귀화율 9.2%, 도시화지수 15.5%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 식물들이 관찰된다. 고려산의 효과적인 관리와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체계적인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본 결과는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누층군 자암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Jaamsan in the Gyeongsang supergroup, Korea)

  • 김중현;박환준;남기흠;이경의;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229-248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누층군 자암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에 대해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110과 325속 483종 8아종 35변종 2품종 2교잡종으로 총 5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자암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고유종은 12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17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55분류군이며, 귀화율 10.4%, 도시화지수 17.2%로 나타났다. 자암산은 고유종, 희귀종을 포함하여 식물다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형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퇴적암벽, 건조한 능선, 계곡,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 지역의 암석과 토양은 양지식물에 대한 특이적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Korea)

  • 김중현;박환준;이경의;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71-387
    • /
    • 2020
  • 본 연구는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6속 364종 7아종 33변종으로 총 40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운봉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신갈나무 - 소나무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운봉산에서 새로이 확인된 식물은 193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0분류군이며, 귀화율 9.9%로 나타났다. 운봉산은 다양한 식물들과 지형 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화강암, 현무암 애추, 건조한 능선, 계곡, 웅덩이, 습지,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길상산 (강화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 김중현;김선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0-304
    • /
    • 2013
  • 본 연구는 길상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으로 총 5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길상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11.0%), 화본과(10.7%), 사초과(6.38%), 콩과(3.86%), 장미과(3.52%)였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족도리풀, 외대으아리, 고광나무, 개나리, 늦둥굴레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의 관속식물은 위기종(EN)인 구상나무, 준위협종(NT)은 산닥나무, 흑삼릉, 관심대상종(LC)에 측백나무, 개쓴풀, 금붓꽃, 미평가종(NE)으로 늦둥굴레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VI등급이 각각 2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3분류군, I등급 29분류군 등 4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6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0.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등 8분류군이었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6.5%), 반지중식물(26.0%), 지중식물(14.0%) 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