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S-specific primer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초

Probe-based qPCR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Predominant Candida glabrata Sequence Type in Korea

  • Bae, Jinyoung;Lee, Kyung Eun;Jin, Hyun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7-416
    • /
    • 2019
  • Recent years have seen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andidiasis caused by non-albicans Candida (NAC) species. In fact, C. glabrata is now second only to C. albicans as the most common cause of invasive candidiasis. Therefore, the rapid genotyping specifically for C. glabrata is required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ndidiasis. A number of genotyping assays have been developed to differentiate C. glabrata sequence types (STs), but they have several limitations. In the previous study,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h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01 C. glabrata clinical isolates to analyze the prevalent C. glabrata STs in Korea. A total of 11 different C. glabrata STs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m, ST-138 was the most commonly classified. Thus, a novel probe-based quantitative PCR (qPCR) assay was developed and evaluated for rapid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predominant C. glabrata ST-138 in Korea. Two primer pairs and hybridization probe sets were designed for the amplification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ITS1) region and TRP1 gene. Analytical sensitivity of the probe-based qPCR assay was 100 ng to 10 pg and 100 ng to 100 pg (per 1 μL), which target ITS1 region and TRP1 gene, respectively. This assay did not react with any other Candida species and bacteria except C. glabrata. Of the 101 clinical isolates, 99 cases (98%) were concordant with MLST results. This novel probe-based qPCR assay proved to be rapid, sensitive, highly specific, reproducible, and cost-effective than other genotyping assay for C. glabrata ST-138 identification.

가공식품 중 태국칡(Pueraria mirifica) 혼입 판별법 개발 (Detec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Pueraria mirifica (Thai kudzu) in Processed Foods)

  • 박용춘;진상욱;김미라;김규헌;이재황;조태용;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6-472
    • /
    • 2012
  • 식품 중 P. mirifica 원료 함유여부에 대한 판별법 마련을 위하여 식물의 종 동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 (rbcL), RNA polymerase C (rpoC1), intergenic spacer (psbA-trnH) 및 seco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2) 유전자부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부위를 증폭하기 위하여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719 bp, 520 bp, 348 bp 및 507 bp의 PCR 산물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유전자은행에 등록되어있는 염기서열과 유사성에 대한 분석한 결과 rbcL, rpoC1 및 psbA-trnH 부위는 상동성이 매우 높아 프라이머를 설계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ITS2의 경우 염기서열의 차이점이 있어 4종류의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 mirifica, P. lobata, B. superba에 대한 PCR을 실시한 결과 SFI12-miri-6F/SFI12-miri-7R 및 SFI12-miri-6F/SFI12-miri-8R의 경우 P. lobata 와 B. superba에서 비 특이적 밴드가 없으며 P. mirifica에서 예상크기인 137 bp 및 216 bp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 mirifica을 판별할 수 있는 종 특이 프라이머는 식품가능원료 및 가공식품에 대한 적용할 수 있어 인터넷 쇼핑몰 등 시중에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에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Usability of DNA Sequence Data: from Taxonomy over Barcoding to Field Detection. A Case Study of Oomycete Pathogens

  • Choi, Young-Joon;Thines, Marco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1-41
    • /
    • 2015
  • Oomycetes belong to the kingdom Straminipila, a remarkably diverse group which includes brown algae and planktonic diatoms, although they have previously been classified under the kingdom Fungi. These organisms have evolved both saprophytic and pathogenic lifestyles, and more than 60% of the known species are pathogens on plants, the majority of which are classified into the order Peronosporales (includes downy mildews, Phytophthora, and Pythium). Recent phylogenetic investigations based on DNA sequences have revealed that the diversity of oomycetes has been largely underestimated. Although morphology is the most valuable criterion for their identification and diversity, morph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is time-consuming and in some groups very difficult, especially for non-taxonomists. DNA barcoding is a fast and reliable tool for identification of species, enabling us to unravel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oomycetes. Accurate species determination of plant pathogens is a prerequisite for their control and quarantine, and further for assessing their potential threat to crops. The mitochondrial cox2 gene has been widely used for identification, taxonomy and phylogeny of various oomycete groups. However, recently the cox1 gene was proposed as a DNA barcode marker instead, together with ITS rDNA. To determine which out of cox1 or cox2 is best suited as universal oomycete barcode, we compared these two genes in terms of (1) PCR efficiency for 31 representative genera, as well as for historic herbarium specimens, and (2) in terms of sequence polymorphism, intra- and interspecific divergence. The primer sets for cox2 successfully amplified all oomycete genera tested, while cox1 failed to amplify three genera. In addition, cox2 exhibited higher PCR efficiency for historic herbarium specimens, providing easier access to barcoding type material. In addition, cox2 yielded higher species identification success, with higher interspecific and lower intraspecific divergences than cox1. Therefore, cox2 is suggested as a partner DNA barcode along with ITS rDNA instead of cox1. Including the two barcoding markers, ITS rDNA and cox2 mtDNA, the multi-locus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resolve two complex clades, Bremia lactucae (lettuce downy mildew) and Peronospora effuse (spinach downy mildew) at the species level and to infer evolutionary relationships within them. The approaches discriminated all currently accepted species and revealed several previously unrecognized lineages, which are specific to a host genus or species. The sequence polymorphisms were useful to develop a real-time quantitative PCR (qPCR) assay for detection of airborne inoculum of B. lactucae and P. effusa. Specif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qPCR assay is specific for detection of each species. This assay is sensitive, enabling detection of very low levels of inoculum that may be present in the field. Early detection of the pathogen, coupled with knowledge of other factors that favor downy mildew outbreaks, may enable disease forecasting for judicious timing of fungicide applications.

  • PDF

Ribosomal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부위의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Phellinus속의 계통분석에 관한 연구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Phellinus by Comparing the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5.8S Ribosomal DNA)

  • 정지원;김기영;하명규;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24-131
    • /
    • 1999
  • 본 실험은 진흙버섯류 7종 15균주에 대한 5.85 rDNA와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종간 및 종내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5.8S rDNA와 ITS 부위를 증폭하고자 18S rDNA의 3'말단 부위와 28S rDNA의 5'말단 부위에 두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증폭을 행하였다. 5.8S rDNA와 ITS 부위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실험에 공시된 Phellinus속의 제균종은 크게 4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첫 번째 cluster는 Phellinus hartigii IMSNU 32041, Phellinus robustus IMSNU 32068로 이루어졌고, 두 번째 cluster는 Phellinus linteus KCTC 6190, IMSNU 31014, DGUM 25003, DGUM 25004, Phellinus sp. DGUM 25007, Namsan No. 1과 Phellinus weirianus IMSNU 32021, 세 번째 cluster는 Phellinus laevigatus KCTC 6229, KCTC 6230과 Phellinus igniarius KCTC 6227, KCTC 6228로 이루어졌으며, Phellinus chrysoloma KCTC 6225와 KCTC 6226이 마지막 cluster를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ITS 염기서열의 결과만으로 볼 때 Phellinus linteus와 Phellinus weirianus는 명확하게 종 단위의 개념을 정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정확한 분류를 위해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인 분류방법이 첨가되어야 하며, type strain에 대한 ITS 염기서얼도 결정되어야 한다. Phellinus속의 균들에서는 ITS2부위에 비해 ITS1부위의 변이율이 높았다. ITS 염기서열은 종 구분에 유용한 도구이며, 다른 균종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Phellinus linteus와 Phellinus weirianus에서만 ITS1 부위에서 특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오징어류 종 판별을 위한 다중 유전자 검사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rmine Squid Species Based on 16s rRNA Gene)

  • 김현수;서용배;최성석;김진희;신지영;양지영;김군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류에 해당하는 대왕오징어, 오징어, 문어, 한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에 대해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한 시험법을 검토하였다. 시료 중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오징어류 4종에 대해 최적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으며, 시료로부터 직접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PCR 수행과정에서 반응을 저해하는 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 후 PCR을 실시한 결과, Single PCR의 경우 대왕오징어(552 bp), 오징어(463 bp), 문어(247 bp), 한치(354 bp)에 해당하는 종 특이적인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 의 경우 서로 다른 종 사이의 교차반응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4종에 대해 PCR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모두 약 $0.1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multiplex PCR의 경우 약 $0.25ng/{\mu}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오징어류가 함유된 수산물 가공식품 8건에 대해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유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오징어류 4종에 대한 종 특이적 프라이머는 생물 상태뿐만 아니라 수산물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이를 판별할 수 있어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상, 낭종 및 법랑아세포종 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NORMAL, CYST AND AMELOBLASTOMA CELLS)

  • 양철희;백병주;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8
    • /
    • 2005
  • 법랑아세포종은 1868년에 처음 보고된 이래 명칭, 발생기전, 분류 그리고 치료 방법 등에 관하여 수 많은 논란이 있어 왔는데 이는 법랑세포종이 양성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종양자체의 진행이 파괴적이고, 외과적 처치를 한 후에도 재발이 잘되며, 흔하지는 않지만 악성종양과 유사하게 전이를 보이는 등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정상세포와 암 세포 간에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 혹은 정상세포에서 변형이 일어날 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의 분리 및 분석하는 것은 암세포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NA differential display 방법 중 재연성과 반복성이 개선된 Ordered differential display(ODD)RT-PCR과 보다 개선된 $GeneFishing^{TM}$기술을 이용하여 악성과 양성종양 사이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조사하고, 특이 유전자의 profile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GeneFishing^{TM}$기술과 RT-PCR을 수행한 결과 nasopharyngeal carcinoma gene을 제외한 9개의 유전자는 악성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GeneFishing^{TM}$을 이용하면 각 시료간의 mRNA 상에서 발현차이를 보이는 DEG를 비교 분석하면 암관련 유전자, 항생제 태성 유전자, 그리고 분화 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연구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009년산 옥수수와 벼에서의 Fusarium 곰팡이독소 자연발생량 조사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Field-collected Maize and Rice in Korea in 2009)

  • 이승호;손승완;남영주;신진영;이수형;김미자;윤종철;류재기;이데레사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06-311
    • /
    • 2010
  • 2009년 국내산 옥수수 19점과 벼 32점을 대상으로 Fusarium 오염 및 Fusarium 독소 오염을 조사하였다. 옥수수와 벼 시료의 Fusarium 오염률은 각각 54.9%와 8.2%로 확인되었으며, 종 특이 primer를 이용한 PCR 증폭결과 옥수수시료에서 분리된 506균주 중 58균주의 F.graminearum 추정균주(11.5%)와 354균주의 F. verticillioides 추정균주(70.0%)가 동정되었다. 또한 벼의 경우, 분리된 315균주 중 276균주(87.8%)가 F. graminearum으로 추정 되었으며, F. verticillioides 추정균주는 검출되지 않았다. LC 및 LC-MS를 이용한 Fusarium 독소(DON, NIV, ZEA, FB)의 자연발생량 조사 결과, DON과 ZEA이 각각 2개의 옥수수 시료에서만 기준치 이상 검출되었다. FB는 대부분의 옥수수 시료와 한 개의 벼 시료에서 검출 되었으나 모두 기준치 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2009년산 옥수수와 벼의 곰팡이독소 오염수준은 대부분 기준치 이하로 심각하지 않았다.

First report of the photosynthetic dinoflagellate Heterocapsa minima in the Pacific Ocean: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zations and the nationwide distribution in Korea

  • Lee, Sung Yeon;Jeong, Hae Jin;Kwon, Ji Eun;You, Ji Hyun;Kim, So Jin;Ok, Jin Hee;Kang, Hee Chang;Park, Jae Yeon
    • ALGAE
    • /
    • 제34권1호
    • /
    • pp.7-21
    • /
    • 2019
  • The genus Heterocapsa is one of the major dinoflagellate groups, with some of its species having worldwide distributions. However, prior to the present study, the phototrophic species Heterocapsa minima has been reported only from the northeast Atlantic Ocean. Recently, H. minima was found in the Korean waters, and a clonal culture was established. This culture was used to examine the morphology of the Korean strain H. minima HMMJ1604 throug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s well as for its genetic characterization. Furthermore, to determine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H. minima in Korea, its abundance was quantified in the waters of 28 stations in all four seasons in 2016-2018 using the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The overall morphology of H. minima HMMJ1604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Irish strain H. minima JK2. However, the Korean strain had five pores around the pore plate, whereas the Irish strain had six pores. When properly aligned, the sequences of the large subunit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of the ribosomal DNA of the Korean strain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Irish strain. This species was detected in the waters of 26 out of 28 stations, but its abundance was greater than $1.0cells\;mL^{-1}$ at 8 stations. The highest abundance of H. minima was $44.4cells\;mL^{-1}$. Although this species was found in all seasons, its abundance was greater than $1.0cells\;mL^{-1}$ when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0.9-25.0^{\circ}C$ and 17.5-34.1, respectively. To the best knowledge, the present study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at H. minima lives in the Pacific Ocean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Korean waters.

SefA 유전자 PCR에 의한 Salmonella serogroup D1의 특이적 검출 (Specific detection of Salmonella serogroup D1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for sefA gene)

  • 전무형;김태중;장경수;강경임;김귀현;김기석;유상식;김현수;신광순;김철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23-530
    • /
    • 1999
  • Sal enteritidis thin fimbriae, SEF14, were found to be restricted to the predominantly poultry-associated members of the Salmonella serogroup D1 that a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pathogens in poultry industry. SefA together with sefB and sefC encode the proteins involved in SEF14 biosynthesis. In order to develop the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methods for Salmonella serogroup D1, a PCR technique for the amplification of sefA gene was established, and its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The bacterial genomic DNA was extracted by colony-picking and rapid boiled-lysate technique. In comparison of Sef I and Sef II primers used in the PCR, Sef I primer for sefA gene of 513bp showed higher specificity than that of Sef II. The established PCR was as sensitive as to detect 1pg of Sal enteritidis DNA. When 73 strains in 28 genera including the reference strains and the field isolates of various Salmonella serotypes, Bacillus subtilis, Bordetella bronchisepdca, E coli, Listeria spp.,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spp., Streptococcus spp., Vibrio parahemolyticus, Yersinia spp. were studied, the established PCR yielded specifically positive results with only Salmonella serogroup D1.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CR for sefA gene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among the specific detection methods for Salmonella serogroup D1.

  • PDF

한국산 나문재속의 종내·종간 RAPD marker 변이 (RAPD marker variations between and within the species of Korean Suaeda)

  • 심현보;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4
    • /
    • 2004
  • 나문재속은 염습지에서 가장 흔히 자라는 식물인데, 한국산 나문재속은 형태적 변이가 심하여 종 식별이 어렵다. 본 연구는 RAPD분석을 통해 한국산 나문재속의 종간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 서, 남해안에서 칠면초 집단간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6개의 primer로부터 65개의 유용한 band를 얻었는데, 그 중 61개가 다형성이었다. RAPD 분석결과 Schanginia절에 속하는 나문재는 Heterosperma절에 속하는 나머지 종들과 조사된 모든 primer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외부형태적으로 구별이 어려운 칠변초, 해홍나물, 기수초에서 종간에 차이가 있는 DNA band가 발견되었다. 칠면초 집단에 대한 조사에서 지역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RAPD marker가 나타났으나, 지역 내 생육지에 따른 변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