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S/W 산업 진흥정책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경남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을 위한 유비쿼터스 생산정보화기술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Strategy for u-Manufacturing Technology Introduction for Promotion of IT S/W Industry in Gyeongnam)

  • 문덕희;박철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71-80
    • /
    • 2011
  • 경남지역은 가공 조립 중심의 제조업에 높은 집적도를 강점으로 가지고 있다. 하지만 IT S/W(information technology software) 기술 산업의 부재로 인하여 지식기반 고부가가치화의 어려움, 설계 및 핵심기술개발 지원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경쟁력 약화 및 개도국의 추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의 낙후된 IT S/W 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u-Manufacturing 기술의 도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서 경남 제조업체의 요구사항 및 경남 IT S/W 업체의 능력 수준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경남 IT S/W업체의 진흥을 위한 u-Manufacturing 개념정립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제조IT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또한, u-Manufacturing 기술도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외사례를 통한 소프트웨어산업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oftware industry by overseas cases)

  • 조성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9-991
    • /
    • 2013
  • 세계 S/W시장은 연 평균 7.3%의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성장해 왔지만 국내 S/W산업은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소프트웨어 선진국에 비해 취약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산업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S/W 산업 육성전략과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며,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소프트웨어 시장 현황을 통해 국내S/W산업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국내 S/W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S/W산업의 구조는 내수시장 중심, 글로벌 시장 진출 미흡, 기술 장벽이 낮은 저부가가치 S/W산업으로 그 체질적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국내 S/W산업 발전전략으로는 인증제도 활성화 기반 마련, S/W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다변화 등의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스마트공장 기술 및 표준화 동향 (Status of Smart Factory Technologies and Standardization)

  • 이현정;유상근;김용운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3호
    • /
    • pp.78-88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인구구조의 변화, 에너지 형태의 전환, IT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한 스마트제조 기술의 출현 등 제조업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독일과 미국 등 주요 제조강국들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제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조업 진흥을 통한 생산 효율 증대와 친환경 고객 맞춤형 생산으로 국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도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 공장과 스마트제조 관련 정부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보급과 확산을 추진 중이다. 본고에서는 국내외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에 대한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국내외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구축 사례 연구 -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기술규격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Case of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 김성겸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97-146
    • /
    • 2007
  • 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모든 기록들은 대부분 종이 형태로 작성, 관리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종이를 대신하는 추세이다. 전자기록은 종이기록과 달리 생산과 보관의 편리성을 갖고 있어서 업무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종이기록처럼 원본과 사본의 뚜렷한 구분이 어렵고 전자적 환경에서 외부 영향에 의해 변경, 훼손될 수 있으며 S/W, H/W 환경이 변화할 때 마다 즉각적인 조치를 취함에 있어 어느 경우에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의 편리성과 생산비용의 효율성으로 인해서 현재 업무 환경에서 전자기록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민간, 학계에서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그 방법 중의 하나가 본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공인전자문서 보관소 사업(이하 공전소 사업)이다. 원활한 공전소 사업를 위해서 행정적으로는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과 기술적으로는 전자기록의 신뢰성, 진본성 보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했다. 그래서 공전소 사업 주체인 산업자원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은 2005년 전자거래법 개정을 통해서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 규정을 보완하고 2006년에는 공전소 이용자의 요구인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진행됐다. 이러한 공전소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공전소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연구에서는 디지털 형태의 장기보존을 위한 표준인 ISO 14721 정보패키지 모델을 적용하여, 전자기록이 생산 시점의 SIP, 보관 시점의 AIP, 이용자 활용 시점의 DIP 메타데이터 기능을 마련하고 이들이 공전소 정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정보패키지를 생성,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전소 전자문서 정보패키지의 생성, 진행 과정과 적용 방법, 패키지 간의 흐름도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이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