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T 투자

Search Result 3,01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NTENT PRISM / 국내 벤처캐피탈 IT부문 투자 '코스닥시장 동향에 크게 의존'

  • Lee, Gyeong-Hyeong
    • Digital Contents
    • /
    • no.3 s.118
    • /
    • pp.102-109
    • /
    • 2003
  • IT분야의 벤처기업 창업 활성화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는 '98년도부터 투자 사업을 통해 IT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해 오고 있다. 이글에서는 정보통신부가 출자한 IT전문투자조합의 운영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최근까지 IT전문투자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 투자 내역을 토대로 지난 4년간 국내 벤처캐피탈의 IT부문 벤처 투자 동향을 분석해 보았다. 이번글은 아직 벤처캐피탈 투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IT부분을 중심으로 과거 국내 밴처 캐피탈의 투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글을 통해 향후 IT전문 투자조합 및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조합 운영에 있어 개선점을 제시해 국내 벤처캐피탈의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ethodology to Assess IT Investment by ROI (IT ROI에 의한 투자 타당성 평가 방법론 연구)

  • Kim, Young-Woon;Chong, Ki-W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1 no.1
    • /
    • pp.53-67
    • /
    • 2006
  • It is difficult to justify an IT investment unless the investment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a corporation's performance under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demonstrate the benefit of the investment through a pre-investment assessment process to induce the executive's decisio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o assess the investment by analyzing cost and benefit of the investment. This methodology shows tangible cost as well as hidden cost by analyzing total cost of ownership. The methodology also produces ROI by performing cost benefit analysis includ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factors. This paper suggests a systematic way to support If investment decision marking process by evaluating the investment objectively.

  • PD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Impact on the IT Investment Performance - Extended IS Success Model (IT 투자와 성과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 발전된 IS 성공 모형 -)

  • Suh, Han-Jun;Yoon, Sung-Chul;Kim, Min-Seo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1-9
    • /
    • 2003
  • 지난 수년간, IT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IT 투자 의사결정 및 평가를 위한 성과 분석은 최근 가장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IT 투자와 성과간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IT 투자 성과 측정의 어려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복합성으로 인하여 낮은 IT 투자 성과의 원인을 제시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연구는 실제 IT 투자 규모와 IT 투자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조직, IS프로젝트, 사용자 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내고자 하였다. 2개 제조업체의 총 44개의 단위시스템들에 대하여, IT 투자 비용은 형태별로, IT 투자 성과는 정성적, 정량적인 효과를 정보, 시스템, 사용자, 조직효과 관점에서 측정하고 있다. 또한, 각 시스템을 구축하였던 업무 담당자들, 사용자들에 대한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하여 조직, IS프로젝트, 사용자 요인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IT 투자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IT 투자 규모도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정보전략계획의 수립, 경영진의 지원,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와 같은 IT 투자 실행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IT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투자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ssessment of IT ROI by Estimating the Monetary Value of Non-financial Benefits (비재무적인 효과의 화폐가치화를 위한 IT ROI의 평가)

  • Kim, Young-Woon;Chong, Ki-W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1 no.1
    • /
    • pp.91-112
    • /
    • 2006
  • Unlike typical corporate investments, IT expenditures have direct impact on many aspects of a business, including those that are difficult to quantify. Therefore, financial indicators alone do not do justice to the full effect of an If investment. Proposed in this paper is a methodology to measure the return on IT investments, including non-financial impacts expressed in terms of monetary values. This methodology shows tangible cost as well as hidden cost by analyzing total cost of ownership. The methodology also produces ROI by performing cost benefit analysis includ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factors. This paper suggests a more objective validation of If's impact on the business activities. It rationalizes investment priorities and provides a systematic approach to effective IT investment.

  • PDF

Building IT ROI Assessment System for Estimating the Monetary Value of Non-financial Benefits (비재무적인 효과의 화폐가치화를 위한 IT ROI 평가 시스템 구축)

  • Kim, Young-Woon;Chong, Ki-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4D no.1 s.111
    • /
    • pp.107-120
    • /
    • 2007
  • When it tomes to IT investment, it's a challenge for the management to make the right decision. Unlike investment in other business area, it's hard to measure direct cost vs. effect in IT business. To validate the investment in I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objective assessment system that both provider and beneficiary of information can accept, and it is also required to suggest an assessment tool of fixed quantity that includes measuring standards and method for the economic effect of new investment. This study, therefore, has developed IT ROI Methodology that can prove investment validity by accepting the strong points of the existing models while complementing their weak points and by analyzing IT Investment and IT Efforts. It also has built an IT ROI System that reflects the methodology which is applied to 21 companies of 5 business categories.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effective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tool for IT investment by proving what positive impacts IT could have on business activities.

IT 기업의 R&D활동 성과

  • 김상태;표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8-32
    • /
    • 2005
  • 본 연구는 IT 기업의 R&D활동의 성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 R&D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진척이 이루어졌으나, 경제의 주체인 민간기업의 R&D 활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기업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R&D투자액을 집계하였으며, IT기업의 경영성과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기업은 대기업의 R&D투자 비중이 $93.6\%$에 달한다. IT R&D 투자 상위 10개 기업이 IT 산업에서 매출액의 $71\%$, 종업원의 $61\%,$ R&D 투자의 $87\%$를 차지한다. 둘째, 기업의 투자활동은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R&D 투자에 주력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유형자산투자는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R&D투자는 증가하고 있다. 셋째, IT 중소기업의 R&D투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결과의 시사점을 보면, IT 중소기업의 R&D 투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R&D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한편, 미래성장의 seed에 대한 준비와 단기 개발연구를 통해 기업의 수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IT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에 대한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IT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ong, Hyo Jin;Hong, Pilky;Lee, Young Soo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7 no.4
    • /
    • pp.44-60
    • /
    • 2010
  • Under the continuing economic growth without increase in employment, issues regarding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Under the circumstance, this study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employment with a sample of 498 businesses whose domestic sales for the period of six years from 2003 to 2008 are KRW 100 billion or abov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und that IT investment increases employment in most of the industries except for some of the service secto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ore IT investment increased employment but decreased the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therefore, IT investment has a substitutional relationship with low-skilled labor an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high-skilled labor. In the areas of electricity, gas and construction, employment increased as IT investment increased, with the greatest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In the service industry, increase in IT investment led to more employment and higher flexibility in producer services on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found between IT investment and employment in the areas of distribution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 PDF

Analysis of IT Investment Trends and Investment Behavior in Korea's Venture Capital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행태 및 IT 투자방향 분석)

  • Kim,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5 s.71
    • /
    • pp.167-178
    • /
    • 2001
  • 코스닥 및 나스닥 시장의 붕괴로 인한 벤처투자 시장의 급냉이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벤처캐피탈업계에도 커다란 악영향을 주고 있다. 벤처투자 시장의 실패와 성공의 엇갈린 결과들이 속출되고 있는 가운데, 벤처기업에 대한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동향, 투자특성 및 향후 IT 투자방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IT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벤처캐피탈들의 나아가야 할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라인-IT투자설명회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3 s.142
    • /
    • pp.68-68
    • /
    • 2005
  • 정보통신부가 유망 중소IT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해 국내 · 외 기관투자가 100여명을 대상으로‘국제 IT 투자유치설명회’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정통부는 지난달 21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국내 주요IT기업들과 해외 주요 기관투자가간의 만남을 통해 투자유치 활동을 벌이는‘코리아 컨퍼런스 2005’행사를 열었다.

  • PDF

A Study on the Criteria for Priorities in IT Investment Decision (IT 투자 대상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 기준 연구)

  • Hong, Kyeong-Hyo;Kim, Ja-Hee;Kim, Woo-J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73-379
    • /
    • 2009
  • 최근 기업들은 증가하는 IT 투자가 기업 가치 증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합리적으로 검증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사회 및 최고 경영자는 IT 투자 대상의 우선 순위 결정이 투명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기반하여 결정하고자 하나. IT 투자 대상의 우선 순위 결정을 위한 기준은 매우 다양하고 표준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합리적인 투명한 결과를 얻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이 IT 투자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각각의 기준들에 대한 가중치를 어떠한지를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IT 투자 대상의 우선 순위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이 평가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이해 관련자들이 IT 투자 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합리적이고 투명한 의사 결정이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