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산업단지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8초

산업단지 조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Evaluating Effects of the Creation of Industrial Park on Employ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 이종호;김진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0-58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분석과 설문 및 심층 면담조사 등을 바탕으로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례연구는 경남의 신규 조성 산업단지 가운데 김해, 양산 산막, 함안, 거창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산업단지의 유치 업종과 입지적합성, 입주예정 기업의 소재지 및 종업원 수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고용효과를 고용적합성, 고용유지성 그리고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규 고용창출 효과 측면에서 고용적합성은 함안과 거창이 양산과 김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유지성은 김해와 양산이 거창과 함안에 비해 비교적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자리 질 측면에서는 산업단지 조성과정에서 창출되는 일자리는 일시적이지만, 단지 조성에 따라 제조업의 가동률이 높아질수록 안정적인 상용직 일자리의 창출 기회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용인시 IT산업단지 조성방안 (IT Industry Complex Scheme in Yongin City)

  • 최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9-17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용인지역 IT산업 육성을 목표로 용인지역 IT산업 육성 성공요인 및 성공전략에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용인지역 IT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을 우선적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하는지를 IT기업, 행정공무원, 교수 및 연구원의 측면에서 AHP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IT산업단지 조성전략 분석에서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용인지역 IT산업단지 조성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방문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제시한 용인지역 IT산업단지 조성방안은 용인시 IT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경북 농공단지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operation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s of rural industrial complex in Gyeongbuk)

  • 김영형
    • 산업클러스터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09
  • 본 연구는 경북농공단지를 중심으로 운영실태 및 현황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북농공단지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업체 간 연계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여러 유형의 업체들이 단순 집적한 형태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젊고 우수한 인력이 도시로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고, 대부분의 농공단지가 오래전에 조성되어 기반시설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농공단지를 특성화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미국가 산업단지의 인근의 농공단지는 전기전자로 특화된 농공단지를 조성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북농공단지의 산업구조 고도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농공단지 관리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전략 또한 마련되어야 한다. 전문 운영기관에 관리운영을 위탁 하거나 혹은 농공단지별 정보화사업을 실시하여 자체적으로 운영을 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업단지 클러스터와의 연계를 통한 활성화 방안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 PDF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An Appraisal of the Industrial Complex Campus Program as a Policy for Upgrad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the Case of the Changwon Industrial Complex Campus)

  • 채민수;이종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8-24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에 있어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의의와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창원 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창원대학교 메카융합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은 R&D역량과 정부재정지원 확보, 기업 간 정보의 교류활성화 측면에서 성과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사업대상 지역의 불균등 분포, 규정 및 관리감독의 부실, 타 정부사업과의 프로그램 중복, 연구 성과의 생산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단지캠퍼스 신규 선정 시에는 지역적 안배를 적절하게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재정지원이 종료된 산업단지캠퍼스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관리 방안과 사업성과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관련 규정 및 관리감독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업단지 유형 개발 연구: 네트워크형 산업단지 (Study on the New Type of Industrial Complex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 이현주;김태균;최대식;이은엽;송영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2-535
    • /
    • 2017
  • 기존의 산업단지 개발은 대규모 단일 공간 집적형태로 신규 부지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식이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한 기술적용과 융복합화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업단지 공급유형으로 단일공간에 대규모로 집적하는 형태가 아닌 다수의 공간에 분산 배치하여 연계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을 위해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89%의 기업이 네트워크형 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동 산단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호 보완기능형성', '결절지간 교통편리성'을 선택하였다.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는 도시공간과의 개방 연계 지향 및 기반인프라 공유 등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화 산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단지 위기지수 도출을 위한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Method for Deriving The Crisis Index of Industrial Complex)

  • 김성진;홍종의;김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50-258
    • /
    • 2019
  • 1960년대부터 조성된 산업단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노후화되고 있다. 산업단지의 노후화에 따른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산업단지 쇠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산업단지 쇠퇴를 측정하고, 재생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업단지 위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쇠퇴는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의 결과이지만, 위기는 단기간에 걸쳐 급진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이다. 산업단지 쇠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생이 필요하지만, 산업단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업단지별, 업종별 외부환경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예측 평가할 수 있는 위기지수 개발의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 위기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산업단지 위기지수 개발을 위한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AHP를 기반으로 측정지표의 상대적중요도를 도출한다. 측정지표의 측정 단위가 다르고, 산업단지별 업종별 위기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규화법을 개발한다. 상대적 중요도와 정규화된 값을 기반으로 산업단지 위기지수를 개발하며, 이를 국가산업단지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대전환의 시대 산업단지 혁신방안과 과제 (Industrial Complex Innovation Plans and Tasks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 이승희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1-4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의 현주소와 지금까지의 산업단지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대전환의 시대 산업단지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본 후 산업단지를 어떻게 하면 혁신할 수 있는지, 그 방안과 과제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결론을 요약하면, 국가 경제의 주축인 산업단지의 경쟁력과 혁신을 제고 하기 위해 정부, 지역혁신기관, 기업이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대전환기에 적합한 산업단지로 변모, 우수 산업단지를 육성해야 하고 정부 각 부처의 정책과 예산 투입을 적극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전남산업단지의 지표온도 (Land Surface Temperatures of Industrial Complexes in Jeonnam Using Landsat 7 ETM+ Satellite Images)

  • ;;허정원;한동엽
    • 지역연구
    • /
    • 제31권3호
    • /
    • pp.99-112
    • /
    • 2015
  • 기상관측망은 충분히 고밀도로 구축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산업지역의 전체 지표온도를 얻기는 쉽지 않다. 넓은 지역에 걸쳐 취득하고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 원격탐사 정보를 통하여 특정지역에서 현재의 변화하는 지표온도를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전라남도는 광양제철소, 여수산업단지, 율촌산업단지, 대불산업단지와 같은 많은 산업단지와 함께 빠르게 산업화되고 있다. 산업단지 내 지표온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Landsat 7 ETM+의 열적외 파장영상을 이용하여 4개의 산업단지의 지표온도를 비교하였다. 이로부터 환경적 자연적 자원관리를 위한 산업단지의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산업단지계획가에서 환경적 문제와 관련된 개발방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 영향 및 시공간적 입지 특성변화 분석 (Temporal-spatial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for Industrial Complex Projectsin South Korea)

  • 최현진;박지현;박종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5호
    • /
    • pp.317-327
    • /
    • 2021
  • 산업단지는 국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대단위 면적 개발사업 및 제조업 관련 산업시설의 집적지로서 조성 및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2019년간 이루어진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산업단지 개발 동향 및 입지 특성의 변화, 산업단지 개발로 야기되는 환경 영향을 파악하였다. 특히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산림 훼손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산업단지와 도심지역과의 인접 정도 및 노출 인구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여 이를 통한 입지 특성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대상 기간 내 국내 산업단지의 개발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며, 주요 개발지역은 경기, 경남 및 경북, 충남 및 충북으로 확인되었다.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평균 산림 훼손 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단지의 영향권 내 주거시설 및 민감계층 이용시설 분포현황과 노출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입지 특성변화를 정량적·시계열적으로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북지역 산업단지의 입지 및 발달에 관한 연구 (On the Location arid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in Chonbuk Province)

  • 백영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07-326
    • /
    • 2003
  • 한국에서 국가가 산업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산업단지의 입지와 발전은 경제적 요인에 만이 아니라 정치$.$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전라북도 산업단지의 입지 역시 단지 내에 입주할 기업의 결정이 아니라 국가의 투자전략에 의해 결정되었다. 공업화 초기 단계에는 산업기반시설과 해외 수출 시장에의 접근성에서 수도권과 남동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전라북도는 대단위 주요 산업단지의 입지 지역에서 제외되면서 국가공업체계의 주변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1980년대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공간정책이 시행되면서 전북의 산업단지 발달이 급속히 진행 되었다. 산업단지 개발이 본격화 되면서 전북의 산업단지는 지역 제조업 발달을 선도하면서 지역경제의 구조 변화는 물론 제조업의 구조 변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제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을 요하는 부문의 발달을 유도하여 전북의 제조업 고도화를 주도하고 있다. 대단위 산업단지의 발달은 전북 제조업의 공간적 패턴에 크게 영향을 주면서, 지역의 중심인 전주, 익산, 군산 세 도시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세 지역의 인접성을 감안할 때, 이곳에 입지한 산업단지는 지역 내의 네트워크 형성에 유리하여 전북 제조업 발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