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Location arid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in Chonbuk Province

전북지역 산업단지의 입지 및 발달에 관한 연구

  • 백영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In Korea, as the state has played a vital role for industrial development, the location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have not been merely decided by economic factors but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as well. The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Chonbuk province has not been decided by industrial enterprises to be located there, but by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state.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Chonbuk could not attract a large-scale major complex because it had relatively inferior infrastructure for industry and uneasy access to overseas export markets, as compared to the capital region or the Southeast region of the country, and it has been left behind as a periphery in the national industrial system. Since 1980, the spatial policies for lessening regional disparities had mu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in this province. The industrial complex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activities in this region have also great influenced on structural changes of manufacturing as well as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regional economy. Especially, capital goods manufacturing tends to increase in this region as the development of sectors required relative higher skill and technology mainly occurs in these complexes. And where the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are located greatly influences the locational patterns of manufacturing in this province. The patterns of the industrial complexes in this region have concentrated in Chonju, Iksan, and Kusan, which are the largest cities in this province. Given these three cities to be very closely proximate, it seems to be easy to build network between them to develop the manufacturing activities in the near future.

한국에서 국가가 산업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산업단지의 입지와 발전은 경제적 요인에 만이 아니라 정치$.$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전라북도 산업단지의 입지 역시 단지 내에 입주할 기업의 결정이 아니라 국가의 투자전략에 의해 결정되었다. 공업화 초기 단계에는 산업기반시설과 해외 수출 시장에의 접근성에서 수도권과 남동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전라북도는 대단위 주요 산업단지의 입지 지역에서 제외되면서 국가공업체계의 주변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1980년대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공간정책이 시행되면서 전북의 산업단지 발달이 급속히 진행 되었다. 산업단지 개발이 본격화 되면서 전북의 산업단지는 지역 제조업 발달을 선도하면서 지역경제의 구조 변화는 물론 제조업의 구조 변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제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을 요하는 부문의 발달을 유도하여 전북의 제조업 고도화를 주도하고 있다. 대단위 산업단지의 발달은 전북 제조업의 공간적 패턴에 크게 영향을 주면서, 지역의 중심인 전주, 익산, 군산 세 도시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세 지역의 인접성을 감안할 때, 이곳에 입지한 산업단지는 지역 내의 네트워크 형성에 유리하여 전북 제조업 발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