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15016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머신러닝을 이용한 기관 출력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A Machine Learning-Based Method to Predict Engine Power)

  • 김동현;한승재;정봉규;한승훈;이상봉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51-857
    • /
    • 2019
  • 본 연구는 운항선의 운항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선박 마력 예측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조선에는 ISO15016법을 이용하여 외부환경 요인에 대하여 수식을 통해 저항을 예측하나 관련 계산식이 복잡하고 요구하는 입력변수들이 많아 운항하는 실선 적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예측, 인식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우수한 성능의 선박 출력 예측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예측 모델은 실선 운항 빅데이터만 확보된다면 ISO15016법 대비 우수한 성능의 예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78K 벌크캐리어의 운항 DATA를 활용하여 ISO15016 기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VM 알고리즘 기반의 마력해석법을 비교하여 ISO15016의 단점인 선박 모델 데이터 준비 부분을 줄이고 부정확한 마력 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ISO 15016 해석법에 의한 사고선박 예인 시 파랑 중 부가저항 추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Program of Added Resistance Due to Waves at the Towing Condition of a Disabled Ship Using ISO 15016 Analysis Method)

  • 최혁진;김은찬;이승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64
    • /
    • 2016
  • 해상에서 사고선박을 예인할 때 피예인선의 저항을 추정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의 하나이다. 피예인선에는 선체 자체의 기본 저항 외에 각종 부가저항이 있는데, 가장 큰 성분중의 하나로 파랑에 의한 부가저항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O 15016 표준의 이론해석 방법에 의해 사고 선박 예인시 파랑중 부가저항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정립하고, 이를 전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다. 예제 선박의 계산 결과를 기존의 표준 결과와 비교하였고, 이 알고리즘과 전산 프로그램은 실제로 사고 선박의 저항과 이에 따른 예인력 추정시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Uncertainty in Sea Trial Measurement System on Speed-Power Performance

  • Seo, Dae-Won;Noh, Jackyou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9-276
    • /
    • 2020
  • Sea trial tests are necessary to verify speed-power performance, and are an import contract between ship owners and shipyard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published ISO 15016:2015, which specifies the correlation method between model and full-scale ships. The results of sea trials have been questioned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speed and power measurements, especially when sea conditions differ from ideal calm water conditions. In this paper, such uncertainties were investigated by utilizing the standard speed-power trial analysis procedure defined in ISO 15016:2015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expanded uncertainty of the delivered power (PDid) at 95 % confidence interval (k = 2) was ±1.5 % under 75 % MCR conditions.

선박 최적운항시스템을 위한 추진성능 데이터베이스 생성 연구 (A Study on the Database Generation of Propulsion Performance for Ships Optimum Routing System)

  • 김은찬;강국진;이한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7-103
    • /
    • 2016
  • 최적의 선박 운항 항로를 찾기 위해서는 선박의 정확한 추진성능을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선박 최적운항시스템의 추진성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전산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실해역에서의 추진성능은 표류와 표면 거칠기 등 선체 상태뿐 만 아니라 파랑과 바람 등 해상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이 부가저항 추정 방법들은 ISO 15016:2002 표준의 실선 속력시운전 해석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추가로 바람과 선체 표면 거칠기에 대한 몇 가지 추정 방법이 보완되었다. 이 추정 방법들은 종합적인 전산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향후 최적 운항경로 계산에 활용될 쇄빙연구선 아라온 호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 계산이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모든 선박의 항로 최적화 계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체 및 프로펠러 성능 모니터링 방법 실선 적용을 통한 고찰 (A Study on the Monitoring Method of Ship Hull and Propeller Performance by Operating Ship)

  • 김동현;정봉규;한승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1
    • /
    • 2020
  • 본 연구는 ISO19030 - 선체 및 프로펠러 성능 모니터링 방법을 실선 178 k 벌크선박에 적용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실가스 저감 규정 대응과 해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저감 솔루션을 선박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량적으로 선박 성능을 분석하기 쉽지 않아 에너지 저감 솔루션의 평가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해운 산업의 요구에 따라 2016년 ISO19030이 표준화되어 선박 성능 분석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환경 보정법은 각 날씨 영향을 고려한 보정이 아닌 정수(Calm Sea) 상태에서 운항한 데이터만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분석 방식은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라 데이터가 필터링 되는 편차가 심하고 정확한 환경 보정을 하지 않아 6개월 이하의 분석은 신뢰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SO19030을 실제 3척 선박 3년 이상 장기간 운항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를 토대로 ISO19030 효용성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필터링 방식 대신 ISO15016의 파도 보정(STA-WAVE2)을 통해 성능 분석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