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PCC model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Korea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미선나무의 분포변화 예측)

  • Lee, Sang-Hyuk;Choi, Jae-Yong;Lee, You-M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8 no.2
    • /
    • pp.219-225
    • /
    • 2011
  • Changes in biota, species distribution range shift and catastrophic climate influence due to recent global warming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last century. Since global warming affects various sectors, such as agriculture and vegetat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more accurate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two period (present and future) climate data were used. Mean data between 1950 and 2000, were used as the present value and the year 2050 and 2080 data from A1B senario in IPCC SRES were used for the future value. Potential habitation is analyzed by MaxEnt(Maximum Entropy model), and Abeliophyllum distichum's coordinates data wer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environmental data such as BioClim, altitude, aspect and slope. The result of six types GCM mean calculation, the potential habitability decreased by 40-60% of the average existing distribution. The methodogie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cable to the climate changing adaptation stratiegies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Development of Multisite Spatio-Temporal Downscaling for Climate Change and Short-term Prediction (기후변화 및 단기예측을 시공간적 다지점 Downscaling 기법 개발)

  • Kwon, Hyun-Han;Moon, Young-Il;Moon, Jang-Won;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0-124
    • /
    • 2009
  •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 경제, 자원, 환경, 수자원 등에 영향분석은 세계적인 연구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모형들이 기후변화 영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강우-유출 모형을 통한 유출의 변화 특성을 모의하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강수량자료의 정확한 추정이 기후변화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GCM 기후모형으로부터 유도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부터 여러 단계로 가공하여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강수량 자료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총칭해서 Downscaling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형으로 얻은 정보를 유역단위의 수문시나리오로 변환하기 위한 통계학적 Downscaling의 연구이론 변천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각 모형이 갖는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Weather Generator, Single-site Nonstationary Markov Chain, Multi-site Nonstationary Markov Chain, Multi-site Weather State Based Markov Model 등 다양한 모델의 변화 및 진보 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국내 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일강수량자료계열의 특성치, 극치수문량 변동특성 등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분석을 일부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PDF

Carbon Emission Analysis Considering Demand Response Effect in TOU Program (TOU 프로그램의 DR 효과를 고려한 탄소 배출 분석)

  • Kim, Young-Hyun;Kwag, Hyung-Geun;Kim, Jin-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60 no.6
    • /
    • pp.1091-1096
    • /
    • 2011
  • Currently, the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is the issue all over the world, and in particular, carbon emissions of the power plants will not be able to disregard from the respect of generation cost. This paper proposes DR (demand response) as a method of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therefore, carbon emissions cost.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considering DR, an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DR is focused on the side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considering Time-Of-Use (TOU) program,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methods in DSM. Demand-price elasticity matrix is used in this paper to model and analyze DR effect. Carbon emissions is calculated by using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provided by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nd generator's input-output characteristic coefficients are also used to estimate carbon emission cost as well as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RBTS IEEE with six buses. For the TOU program, it is assumed that parameters of time period partition consist of three time periods (peak, flat, off-peak time period).

Estimation of the Energy Saving Potential using Energy Bandwidth Analysis in Manufacturing Plant (에너지 대역분석 기법을 이용한 생산플랜트에서 에너지절감 잠재량 산정)

  • Park, Hyung-Joon;Shon, Jin-Geu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 /
    • v.60 no.4
    • /
    • pp.236-240
    • /
    • 2011
  •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ce issues in industrial sector is energy cost and energy efficiency. The manufacturing plants especially have made many efforts to reduce energy cost by implementing maintenances. But in many cases, they are not aware that how much energy could be saved more. If we know the best energy consumption, which signifies energy baseline, we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maintenances. One way to obtain the baseline is using proper statistics from a specific plant, a sector of industry. Energy bandwidth signifies the gap between actual Specific Energy Consumption(SEC) of a certain plant and minimum SEC of the best plant, and estimate energy saving potential(ESP) is a result of bandwidth analysis. We chose a model plant and implemented some maintenance for a year, and then we obtained ESP. Additionally we could determine the decreased amount of carbon emissions from the plant using Carbon Emissions Factor(CEF) by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Sea-Level Trend at the Korean Coast

  • Cho, Kwang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1 no.11
    • /
    • pp.1141-1147
    • /
    • 2002
  • Based on the tide gauge data from the Permanent Service for Meau Sea Level (PSMSL) collected at 23 locations in the Korean coast, the long-term sea-level trend was computed us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fit over the recorded length of the monthly mean sea-level data. The computed sea-level trend was also corrected for the vertical land movement due to post glacial rebound(PGR) using the ICE-4G(VM2) model output. It was found that the PGR-corrected sea-level trend near Korea was 2.310 $\pm$ 2.220 mm/yr, which is higher than the global average at 1.0∼2.0mm/yr, as assess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long-term sea-level trend near Korea revealed that the South Sea had the largest sea-level rise followed by the West Sea and East Sea, respectively, suppor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by Seo et al. However, due to the relatively short record period and large spatial variability, the sea-level trend from the tide gauge data for the Korean coast could be biased with a steric sea-level rise by the global warming during the 20th century.

Predi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for South Korea

  • Popli, Kanchan;Lim, Jeejae;Kim, Hyeon Kyeong;Kim, Young Min;Tuu, Nguyen Thanh;Kim, Seungd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4
    • /
    • pp.462-469
    • /
    • 2020
  • This study is proposing a System Dynamics Model for estimat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 from treating Municipal Solid Waste (MSW) in South Korea for years 2000 to 2030. The government of country decided to decrease the total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in 2030 as per Business-as-usual level. In context, four scenarios are generated to predict GHG emission from treating the MSW with three processes i.e.,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For prior step, MSW generation rate is projected for present and future case using population and waste generation per capita data. It is found that population and total MSW are directly correlated. The total population will increase to 56.27 million and total MSW will be 21.59 million tons in 2030. The methods for estimating GHG emission from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are adopted from IPCC, 2006 guidelines. The study indicates that Scenario 2 is best to adopt for decreasing the total GHG emission in future where recycling waste is increased to 75% and landfill waste is decreased to 7.6%. Lastly, it is concluded that choosing proper method for treating the MSW in country can result into savings of GHG emission.

Land Cover Change Predictio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CLUE Model (CLUE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 Oh, Yun-Gyeong;Choi, Jin-Yong;Lee,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46-1550
    • /
    • 2010
  • 최근 IPCC에서는 제 4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대기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2005년 기준 약 35% 증가하였으며, 지난 1세기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0.74^{\circ}C$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된 홍수, 가뭄, 사막화, 생태계 혼란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UN에서는 1992년 세계 환경 개발에 관한 리우 데 자네이로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기본협약을 체결하여 국제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중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주요한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온실가스 증가와 생물종다양성, 수문학적인 변화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학적, 사회학적인 시나리오 조건에서 미래의 토지이용변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과 과거의 토지이용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모델링 할 수 있는 CLUE(The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모델을 이용하여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시나리오에 기초한 토지피복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를 최소화하기위한 개발전략 수립에 있어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from a Multi-purpose 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다목적 댐 유역에 미치는 영향 평가)

  • Ha, Rim;Jeong, Hyeon-Gyo;Park, Jong-Yo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1-42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다목적 댐 유역의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 대상 유역은 북동부 산악지역에 위치한 충주댐 및 충주조정지댐을 유역 출구로 하는 다목적댐유역(충주댐 유역: $8360km^2$)이다. 모형유역의 32개 AWS와 10개 기상관측소의 강우 및 기상자료를 입력 하였으며, 모형의 검보정을 위해 댐 상 하류 4개 지점(영월1, 영월2, 충주댐, 충주조정지댐) 수위, 방류량 측정자료를 이용하였다. 미래 기후변화가 댐유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하여 IPCC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MIROC3.2 hires 모델 AIB와 B1 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LARS-WG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Weather Generator)를 사용하여 유역 규모의 기후자료를 상세화 하였다. 모형의 결과를 토대로 미래 2040s(2020년-2059년)와 2080s(2060년-2099년)의 환경유지유량을 추정하고, 미래 댐 유입량과 수위 관리의 시계열 변화를 예측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Water Quality Prediction for Climate Change Using Watershed Model in Andong Dam Watershed (유역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댐 유역의 미래 수질 예측)

  • Noh, Hee-Jin;Kim, Young-Do;Kang, Boo-Sik;Yi, Hy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5-94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안동댐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유역의 수환경 영향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래기후에 대한 수환경 평가는 기후자료를 입력 값으로 요구하는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거나 유량 이외에 유사, 영양물질과 같은 수질인자를 동시에 모의할 수 있는 유역모형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AR4 시나리오의 RCM 자료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기법을 이용하여 안동댐 유역의 총 4개 기상관측소에 대한 과거 20년(1991~2010)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강수 및 습도 그리고 온도에 대해 상세화 하여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또한 안동댐 유역 단위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해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수문-수질 모의가 가능한 유역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다. 과거의 기상자료와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모델의 검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증결과에 따른 적합성과 상관성을 판단하기 위해 결정계수($R^2$)와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사용하였으며, 모형의 효율성 검증으로는 Nash and Sutcliffe(1970)가 제안한 모형효율성계수(NSE)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기후 시나리오에 대해서 전망된 지역상세기후를 유역모형의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안동댐 유역의 미래수문 및 수질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Soil Water Storage in Watershed by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토양수분 영향평가)

  • Jung, Hyuk;Park, Jong-Yoon;Ha, Rim;Park, Hye-Su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3-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과 유출량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실시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평가는 용담댐 유역 ($930km^2$)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은 유출 3개 지점(용담, 동향, 천천)에서 2004~2008년으로, 토양수분 5개 지점(장수, 안천, 천천, 계북, 부귀)에서 2004~2008년으로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성과 상관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Nash-Sutcliffe 모형효율을 사용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IPCC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A1B, B1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MIROC3.2 hires 모델의 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유역 규모의 기후자료 생성을 위해 추계학적 일 기상자료 생성 모형인 LARS-WG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 Weather Generator)를 사용하여 2040s (2020~2059년)와 2080s (2060~2099년) 기간에 대하여 강수와, 최고온도, 최저온도에 대하여 상세화하였다. 추후 토양수분의 변화를 통한 수문 영향 평가와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거동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