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A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초

(${\kappa}/{\lambda}$${\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Mixed ${\kappa}/{\lamda}$- and ${\kappa}/{\iota}$-carrageenan Films)

  • 한윤정;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2-46
    • /
    • 2008
  • ${\kappa}$-Carrageenan에 ${\lambda}$-carrageenan 또는 ${\iota}$-carrageenan을 일정 비율 (${\kappa}:{\lambda}$ 또는 ${\kappa}:{\iota}$ = 2:1, 1.5:1.5, 1.2:1.8)로 가하고 동일한 양의 PEG를 첨가하여 제조한 ${\kappa}/{\lambda}$-carrageenan 혼합 필름과 ${\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물성을 ${\kappa}$-carrageenan, ${\lambda}$-carrageenan 또는 ${\iota}$-carrageenan에 PEG를 첨가하여 제조한 단독 필름들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kappa}/{\lambda}$-Carrageenan 혼합 필름 또는 ${\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인장강도는 ${\lambda}$-carrageenan 또는 ${\iota}$-carrageenan의 혼합비율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으며, 혼합 필름의 인장강도는 각각의 단독 필름들의 인장강도보다 낮았으며, ${\kappa}/{\lambd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인장강도가 ${\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인장강도보다 높았다. ${\kappa}/{\lambda}$-Carrageenan 혼합 필름 또는 ${\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신장률과 수증기투과도는 ${\lambda}$-carrageenan 또는 ${\iota}$-carrageenan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혼합 필름의 신장률과 수증기투과도는 각각의 단독 필름들의 신장률과 수증기투과도보다 높았으며, ${\kappa}/{\lambd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신장률과 수증기투과도가 ${\kappa}/{\iota}$-carrageenan 혼합 필름의 신장률과 수증기투과도보다 높았다.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생물학적 연구 (A BIOLOGICAL STUDY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102
    • /
    • 1970
  • 1. 1969년 5월 20일부터 거제도 동쪽 연안 장승포, 농포 지선에서 숙란을 가진 어미를 체집하여 두흉갑장과 체장 및 체중과의 관계와 성장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2. 거제도 동쪽 해역에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두흄갑장의 평균 범위는 5월산 51mm, 6월산 57mm, 7월산 47mm 이며, 9월산은 50mm였다. 3. 거제도산 보리새우는 조기 산란군과 후기 산란군의 2계군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채집된 보리새우 모하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 (W)자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5월산 $$L=2.6544{\iota}+3.1258$$ $$W=1.892{\iota}^{1.9844}$$ 6월산 $$L=2.8659{\iota}+2.1796$$ $$W=1.082{\iota}^{2.4323}$$ 7월산 $$L=2.5840{\iota}+3.3090$$ $$W=1.290{\iota}^{2.3094}$$ 9월산 $$L=2.4234{\iota}+4.5775$$ $$W=1.599{\iota}^{2.1857}$$ 관계식들은 회귀 직선과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고,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 체중조성은 월산 어미가 가장 높은 편이었다. 5. 6월 산과 9월산 어미의 두흉갑장과 체장, 두흉갑장과 체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다 같이 유의의 차가 없이 거의 같은 크기였다. 6. 양식장에서 성장된 보리새우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체중(W)의 관계식은 거제도산 $$L=3.7738{\iota}-0.0005\;(r=0.934)$$ $$W=0.4690{\iota}^{3.0713}$$ 오마도산 $$L=2.9933{\iota}+1.6.155\;(r=0.990)$$ $$W= 0.6328{\iota}^{2.6579}$$ 금당도산 $$L=3.2749{\iota}+0.9055\;(r=0.983)$$ $$W= 0.5768{\iota}^{2.8076}$$ 으로서 거제도산의 조성비가 높은 편이었다. 7. 보리새우 유생기의 경과 일수에 따른 체장의 성장식은 $Z_1\~Z_3$ L=0.1279D+0.2686 (r=0.979) $M_1\~P_6$ L=0.1697D+0.5634 (r=0.994) $P_7\~P_{21}$ L=0.1344D+1.9501(r=0.978)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 할 수 있다.

  • PDF

유클리드의 분할론(${\pi}{\varepsilon}{\rho}{\acute}{\iota}}\;{\delta}{\iota}{\alpha}{\iota}{\rho}{\acute{\varepsilon}}{\sigma}{\varepsilon}{\omega}{\nu}\;{\beta}{\iota}{\beta}{\lambda}{\acute{\iota}}o{\nu}$)에 대하여 (About the Euclid's book on divisions of figures)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46
    • /
    • 2011
  • 유클리드의 저작 중 원론을 제외한 다른 저작들은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이들 저작에 관한 연구 역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유클리드의 저작 중 하나인 분할론을 그 역사와 함께 소개하고, 분할론이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한 후, 분할론의 수학교육적인 의의와 활용 방안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A Novel Channel Estimation Scheme for OFDM/OQAM-IOTA System

  • Kang, Seung-Won;Chang, Kyung-Hi
    • ETRI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430-436
    • /
    • 2007
  • An OFDM/offset QAM (OQAM)-IOTA system uses the isotropic orthogonal transform algorithm (IOTA) function, which has good localization properties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This is employed instead of the guard interval used in a conventional OFDM/QAM system in order to be robust for multi-path channels. However, the conventional channel estimation scheme is not valid for an OFDM/OQAM-IOTA system due to the intrinsic inter-symbol interference of the IOTA function. In this paper, a condition is derived to reduce the intrinsic interference of the IOTA function. This condition is obtained with the proposed pilot structure used for perfect channel estimation. We also derive the preamble structure appropriate for practical channel estimation of the OFDM/OQAM-IOTA syste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OFDM/OQAM-IOTA system with the proposed preamble structure perform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OFDM system, and it has the additional advantage of an increased data transmission rate which corresponds to the guard interval retrieval.

  • PDF

OFDM/OQAM-IOTA 시스템 (OFDM/OQAM-IOTA System)

  • 주효;허주;장경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0-128
    • /
    • 2004
  • 일반적인 OFDM/QAM 변조 방식은 연속된 심볼 사이에 보호구간 (guard interval)을 삽입함으로서 시간 영역에서 다중경로채널에 강한 특성을 가지지만, 도플러 효과에 의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간 간섭에 약한 특성을 보인다. 이에 반해 OFDM/OQAM 변조 방식은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성을 가지는 IOTA (Isotropic Orthogonal Transform Algorithm) 필터를 사용하여 이동 환경에서 지연 확산(delay spread)과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에 강한 특성을 보이며, 보호구간을 사용하지 않아 OFDM/QAM 시스템에 비하여 주파수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DM/OQAM-IOTA 시스템의 물리 구조 및 OFDM/OQAM-IOTA 시스템을 위한 perfect channel estimation 방식을 제시하고, AWGN 및 1-path Rayleigh fading 채널 환경에서 OFDM/OQAM-IOTA 시스템과 일반적인 OFDM/QAM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OFDM/OQAM-IOTA 방식이 OFDM/QAM 방식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PDF

Odd/Even Center Preamble 구조를 가진 OFDM/OQAM-IOTA 시스템 (OFDM/OQAM-IOTA System With Odd/Even Center Preamble Structure)

  • 강승원;허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2A호
    • /
    • pp.1153-1160
    • /
    • 2005
  • 일반적인 OFDM/QAM 시스템은 시간 영역에서 다중경로 채널에 강인한 특성을 갖기 위해 연속적인 심볼 사이에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는 반면, OFDM/OQAM(Offset QAM)-IOTA 시스템은 보호구간 대신에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Localization 특성을 갖는 IOTA(Isotropic Orthogonal Transform Algorithm) 함수를 사용하며, 이로 인하여 OFDM/OQAM-IOTA 시스템은 현저하게 높은 주파수 사용 효율을 갖는다. 하지만 일반적인 OFDM/QAM 시스템에 사용된 채널 추정 방법을 변경 없이 OFDM/OQAM-IOTA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고유의 심볼간 간섭(ISI : Inter-Symbol 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되므로 OFDM/OQAM-IOTA 시스템 채널 추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프리앰블 구조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OFDM/OQAM-IOTA 시스템 채널 추정에 적합한 새로운 프리앰블 구조를 제안하고, 제안된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Ideal 채널 추정과 중저속 이동 환경에서의 Practical 채별 추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일반적인 OFDM/QAM 시스템의 성능과 비교 분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프리앰블 구조를 사용한 OFDM/OQAM-IOTA 시스템이 FFT 크기의 1/4을 보호구간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OFDM/QAM 시스템보다 Target BER 10-3에서 1.5 dB 정도의 Eb/NO 이득이 있으며, 또한 $25\%$ 정도의 데이터 전송률 이득을 갖는다.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춘계 산란군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STUDIES ON THE BIOLOGY OF THE SPRING SPAWNING GROUPS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19-227
    • /
    • 1970
  • 1. 거제도 동쪽 연안의 보리새우 어장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어획이 되고 있으나 성어기는 6월과 9월에 두번 이루어지고 있다. 2. 능포 지선에 출현하는 보리새우 암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는 $51\~55mm$, 6월에는 $51\~60mm$,의 것이 약 $80\%$를 차지하게 되며, 7월에는 현저한 모오드는 보이기 않고 $41\~50mm$의 소형의 것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8월에는 $46\~50mm$의 것이 모오드를 나타내고 있었다. 3. 수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는 $41\~45mm$, 6월에는 $46\~50mm$, 7, 8월에는 다시 $41\~45mm$의 것이 나타내고 있었다. 4. 본종은 봄과 가을에 출현하는 2개의 계통군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일부의 군은 혼입되는 것으르 추측된다. 5. 5월에서 8월까지 능포 지선에서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성비는 암컷 33, 수컷 67정도였다. 6. 본종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Wg)과의 관계는 5월산이 $L=2.9418{\iota}+2.0166$, $W=1.449{\iota}^{2.2858}$, 6월 산이 $L=2.5551{\iota}+4.2986$, $W=1.528{\iota}^{2.2595}$, 7월산이 $L=2.6738{\iota}+3.4037$, $W=1.341{\iota}^{2.3593}$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6월산이 5, 7월산에 비하여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과 체중의 증가가 공히 완만한 편이었다. 7, 5, 6, 7월산 어미 새우의 두흉갑장과 난소, 중량(W)과의 관계는 $W=2.695\times10^{-3}\iota^{4.2973}$의 식으로 표시되었다.

  • PDF

낙동강 하구수역의 영양염류와 유기현탁물질 (Nutrients and Suspended Organic Particulate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 최상;정태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4
    • /
    • 1972
  • 낙동강은 유로연장 525km, 유역면적 23,852$\textrm{km}^2$에 달하는 남한 제1의 하천수계를 이루고 있고, 그 수원은 멀리 강원도 삼척군 삼장면 함백산에서 이루어져, 많은 지류수가 합류되어 경남 김해군 명지면과 부산시 서구를 거쳐 남해의 동부해역으로 유입된다. 하구일대는 우리나라에서도 굴지의 해태어장이 형성되고, 인근해역에서는 많은 어패류가 생산된다. 낙동강 하구수역의 수질에 관해서는 원(1964)이 간헐지 수질의 연간변화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고, 또 원(1970)은 가덕도와 용원리 사이의 해역에서 3월 17-23일에 걸친 조석에 따른 영양염조사를 보고하였고, 최 외(1970)는 낙동강 하구일대의 해태어장개발을 목적으로 한 영양염, 유기현탁물, 조석류, 저질 등에 관한 일련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 PDF

순환여과식사육장치에서 틸라피아의 성장을 위한 최적용존산소량 (Optimum Dissolved Oxygen Level for the Growth of Tilapia in the Recirculating Water System)

  • 김인배;우영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3
    • /
    • 1988
  • 부산수산대학 어류양식실험실 순환여과장치에서 1986년 2월 4일부터 3월 5일까지 용존산소양에 대한 틸라피아의 성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6개의 순환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동일조건에서 DO농도 1.5, 2.0, 2.5, 3.0, 3.5 및 4.0mg/$\iota$로 조절하여 실험했고, 실험어는 평균 65g 정도로 각 탱크에 90kg씩 방양 사육하였다. 방양 후의 사육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전기간동안 용존산소농도 3.5, 3.0, 2.5, 2.0 mg/$\iota$ 군은 사료계수 1.05$\~$1.11 사이에서 거의 비슷한 좋은 성장결과를 나타낸 반면, 4.0, 1.5mg/$\iota$ 군에서는 1.39, 1.61로 저조했다. 그리고, 사료섭취양은 용존산소양의 증가에 따라 꾸준히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용존산소 1.5mg/$\iota$, 2.0mg/$\iota$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했다. 따라서, 용존산소양을 3$\~$3.5mg/$\iota$까지 올려도 성장률에 큰 증가가 없었다. 실험 기간동안 용존산소 1.5mg/$\iota$ 군에서는 사료섭취가 활발하지 않았으며 사료를 먹고난 후 대부분이 주수구에 몰려 심한 산소결핍현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평균수온 $22.5^{\circ}C$ 정도의 순환여과장치에서, 용존산소농도 2.5, 3.0 mg/$\iota$ 및 3.5 mg/$\iota$ 농도군에서 거의 같은 좋은 성장률과 사료효과을 나타냈으므로 용존산소농도를 2.5mg/$\iota$와 3.5mg/$\iota$ 사이에 유지시키면 에너지 효과면에서 경제적이 된다고 사료된다.

  • PDF

IOTA Simple Rules in Differentiat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 Tantipalakorn, Charuwan;Wanapirak, Chanane;Khunamornpong, Surapan;Sukpan, Kornkanok;Tongsong, Thee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123-5126
    • /
    • 2014
  • Backgroun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IOTA simple rules in differentiat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A study of diagnostic performance was conducted on women scheduled for elective surgery due to ovarian masses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12. All patients underwent ultrasound examination for IOTA simple rules within 24 hours of surgery. Al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the authors, who had no any clin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s, to differentiat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adnexal masses using IOTA simple rules. Gold standard diagnosis was based on pathological or operative findings. Results: A total of 398 adnexal masses, in 376 women, were available for analysis. Of them, the IOTA simple rules could be applied in 319 (80.1%) including 212 (66.5%) benign tumors and 107 (33.6%) malignant tumors. The simple rules yielded inconclusive results in 79 (19.9%) masses. In the 319 masses for which the IOTA simple rules could be applied, sensitivity was 82.9% and specificity 95.3%. Conclusions: The IOTA simple rules have high diagnostic performance in differentiat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adnexal masses. Nevertheless, inconclusive results are relatively co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