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O model cours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8초

IMO 선박 조종성 기준의 계산 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Validity of IMO Manoeuvrability Standards of Vessels)

  • 이춘기;윤점동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6
    • /
    • 2005
  • 대형선박의 충돌 혹은 좌초와 같은 많은 해양사고는 선박의 조종성능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IMO(국제해사기구)에서는 1994년 제18회 총회에서 결의서 A.751(18)로서 선박조종성에 대한 잠정기준을 채택하였고, 이 기준은 1994년 7월 1일 이후 건조된 길이 100m 이상의 선박 또는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케미컬탱커 및 개스운반선에 대하여 적용된다. IMO 조종성기준은 크게 설계단계에서의 선회성능과 보침성능 및 최단정지성능으로 대별된다. 이 논문에서는 몇 척의 대형선박에 대한 최초 설계단계에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조종성능에 관한 계산 및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으며, IMO 조종성 기준의 타당성에 관하여 검토 고찰하였다.

  • PDF

IMO 선박 조종성 기준의 계산 및 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IMO Manoeuvrability Standards of Vessels)

  • 이춘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65-370
    • /
    • 2005
  • 대형선박의 충돌 혹은 좌초와 같은 많은 해양사고는 선박의 조종성능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IMO(국제해사기구)에서는 1994년 제18회 총회에서 결의서 A.751(18)로서 선박조종성에 대한 잠정기준을 채택하였고, 이 기준은 1994년 7월 1일 이후 건조된 길이100m 이상의 선박 또는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케미컬탱커 및 개스운반선에 대하여 적용된다. IMO 조종성기준은 크게 설계단계에서의 선회성능과 보침성능 및 최단정지성능으로 대별된다. 이 논문에서는 몇 척의 대형선박에 대한 최초 설계단계에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조종성능에 관한 계산 및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으며, IMO 조종성기준의 타당성에 관하여 검토 고찰하였다.

선원 해상생존교육 실습시설 및 장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itability of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used on Seafarer's Sea Survival Training)

  • 이진우;김이완;이창희;이영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1
    • /
    • 2017
  • STCW협약에 따른 기초안전(재)교육 및 상급안전(재)교육 등과 같은 선원 해상생존교육은 해상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원들의 생존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필수교육이다. 그리고 IMO 모델코스에 따른 선원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에 대한 이론 및 실습교육이 병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IMO 모델코스에서 요구하는 해상생존교육과정에 근거한 실습시설을 파악하고, 국내외 교육기관의 운영 실례를 바탕으로 관련 시설을 비교 분석하여 선원 안전교육시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해상탈출설비(슬라이드, 슈트 등) 등과 같은 최신화된 교육장비를 비치하여,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조파, 풍동, 강우, 암막장치 등과 같은 해상환경 재현시설의 설치하여 학습자가 현실적인 비상상황을 직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환경의 구축해야 한다. 셋째, 체험교육, 시청각교육, 시뮬레이터 교육과 더불어 가상현실 교육장비를 통한 층위별 맞춤교육을 개발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선교자원관리 교육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ining program for an effective Bridg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

  • 양동복;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7-230
    • /
    • 2013
  • STCW 2010 Manila Amendments에서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제시한 Non-technical skills(BRM, ERM, Leadership and Teamwork) 중 최근 국제해사기구(IMO) STW 위원회에서 "Leadership and Teamwork"에 대한 모델코스 초안을 가장 먼저 제시한 바가 있다. 현재 BRM 교육과정에 대한 모델코스의 부재로 본 교육을 개설하고 있는 국내 해운선사, 대학 등 여러 기관들의 운영방식이 상이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선교자원관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RM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 활용되고 있는 훈련프로그램 중에서 시뮬레이션 모듈에 초점을 두고, 시뮬레이션시의 피교육생의 반응 및 시스템 활용기능을 검토/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선교자원관리를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time Education Program in Korea

  • Kim, Thi Thu Lan;Jeong, Jae-Yong;Jeong, Jung-Sik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9
    • /
    • 2011
  • 1990년대 후반 IMO 해양사고 조사실시 결과(A.21/884-9)에 따르면 해양사고 원인요소에 Human Elements가 크게 관련된다. 이런 관점에서 STCW Code A.에 의한 해기사의 요건에 따른 교육과정의 재점검과 함께 교과과정의 운영시스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USMMA, PMMA를 중심으로 한 해기 교육기관의 교육내용을 우리나라 해기사 교육기관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해양사고 감소 및 예방을 위한 개선된 해기사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선교자원관리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Bridge Resource Management in Korea)

  • 김티투란;정중식;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63-568
    • /
    • 2012
  • 2010년 STCW 마닐라 수정안은 항해사에게 선교자원관리에 대한 지식 및 기능에 관한 해기능력을 강제적인 사항으로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교자원관리의 관점에서 STCW 2010 개정안에 토대를 둔 국내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방향을 제안한다. 선교자원관리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그 내용 및 교육방법이 국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로서 본 연구는 현재의 선교자원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타의 크기가 조종운동시 선미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udder Size on Characteristics of Fluid Flow around Ship's Stern in Manoeuvring Motion)

  • 손경호;김용민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01
  • 1993년 IMO가 채택한 조종성 잠정기준에서 요구되는 4가지 항목 중, 특히 비대 선박의 경우, 침로 안정성이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 선박의 조종운동시 타의 크기에 따른 선미 유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회류수조에서 사항상태의 조건 하에 두 종류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첫번째 실험은 타에 유입하는 흐름의 정류효과 측정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 실험은 타 상부와 선미오버행 하부 공간 주위의 흐름가시화에 대한 것이다. 실험결과, 타의 크기에 따른 선미 유동 특성과 타에 유입하는 흐름의 정류효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타 상부와 선미오버행 하부의 공간은 침로 안정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타 상부와 선미오버행 하부의 공간이 작을수록 침로 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onsid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IMO Maritime English Model Course 3.17: General and Specialized Maritime English

  • 박진수;최승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8-279
    • /
    • 2015
  • 해기사의 해사영어 사용에 대한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는 가운데, 국제해사기구(IMO)는 이에 발맞추어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을 일반해사영어(General Maritime English, 즉 GME)와 특수해사영어(Specialized Maritime English, 즉 SME)로 나누어 재편하고, STCW에서 요구하는 지식, 이해 및 기술사항들을 영어교육의 다양한 요소들과 접합함으로써, 해사영어교육의 새로운 틀을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다. 국내 해기교육 관련대학 및 기관이 향후 해사영어 커리큘럼을 재편성하기 위해서는, 개정될 해사영어모델코스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가 제시한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의 개정 목적 및 변화된 해사영어모델코스의 틀과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교육기관에서의 해사영어교육 커리큘럼을 재편성한 후, 성공적인 언어교육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현실적인 제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a research vessel manoeuvring using numerical PMM and free running tests

  • Tiwari, Kunal;Hariharan, K.;Rameesha, T.V.;Krishnankutty, P.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10권3호
    • /
    • pp.333-357
    • /
    • 2020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sation (IMO) regulations insist on reduced emission of CO2, noxious and other environmentally dangerous gases from ship, which are usually let out while burning fossil fuel for running its propulsive machinery. Contrallability of ship during sailing has a direct implication on its course keeping and changing ability, and tries to have an optimised routing. Bad coursekeeping ability of a ship may lead to frequent use of rudder and resulting changes in the ship's drift angle. Consequently, it increases vessels resistance and also may lead to longer path for its journey due to zigzag movements. These adverse effects on the ship journey obviously lead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and higher emission. Hence, IMO has made it mandatory to evaluate the manoeuvring qualities of a ship at the designed stage itself. In this paper a numerical horizontal planar motion mechanism is simulated in CFD environment and from the force history, the hydrodynamic derivatives appearing in the manoeuvring equation of motion of a ship are estimated. These derivatives along with propeller thrust and rudder effects are used to simulate different standard manoeuvres of the vessel and check its parameters against the IMO requirements. The present study also simulates these manoeuvres by using numerical free running model for the same ship. The results obtained from both these studie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