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O 규정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해상운반시스템

  • 정성환;이윤동;백훈;김성환;최승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7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215-216
    • /
    • 2007
  • 원전에서 발생하는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하, "방폐물"이라 함)을 처분시설로 운반하는 것은 원전과 처분시설이 임해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육상운반보다는 선박을 이용하는 해상운반이 효율적이다. 해상운반은 무엇보다 다량운반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운반회수가 줄고, 인구밀집지역을 지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방폐물의 운반에 대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안전성 확보에 유리하다. 방폐물의 해상운반은 운반 도중 방사성물질의 위험으로부터 인간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운반규정, 국제해사기구(IMO)의 국제해상위험물규칙, 국내 원자력법 등 국내외의 엄격한 기술기준에 따라 안전성이 철저하게 보장되어야만 한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이하, "한수원"이라 함)는 원전(월성원전 제외)에서 처분시설까지 방폐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전용운송선박, 운반용기, 전용운반차량 및 원전 물량장 등으로 이루어지는 해상운반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할 것이다.

  • PDF

특집:녹색선박 SCR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 녹색선박 SCR시스템 개발

  • 정경열;박창대;임병주;최병일;도규형;김태훈
    • 기계와재료
    • /
    • 제24권2호
    • /
    • pp.6-17
    • /
    • 2012
  • 최근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화석연료 등의 에너지소모가 급증하면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 질소산화물(NOx)은 산성비와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며 눈과 호흡기를 자극하고 식물을 고사시키는 등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규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규제하는 규정을 만들었으며, 최근에는 배출규제를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규제활동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배기가스 질소산화물의 배출규제 현황과 배출 규제안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원에서 연구개발 중인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시스템에 관하여 간략히 기술한다.

  • PDF

선박의 근무강도 평가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문성배;이춘기;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39
    • /
    • 2013
  • 현재 우리나라는 보유 또는 지배선박이 약 1,000척, 3천만G/T로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6위의 해운강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수많은 사관과 부원들이 다양한 선박에 승선하고 있으며 해운산업이 성장할수록 더 많은 선원들이 선박에 근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IMO와 ILO 등에서는 선원들의 선박근무환경 및 휴식 등에 관해서 최소한만을 규정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선원들이 높은 노동 강도에 시달리게 되고 피로와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해양사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 선박의 고유 특성과 운항환경 등으로 고려한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박에 장기간 승선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로 하여금 각 평가요소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평가요소와 지수를 기반으로 선원들을 각 선원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선박에 배정함으로서 선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해양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OLAS 손상복원성 규정(Harmonized SDS) 변경에 따른 설계 영향 검토 (A Research of the New Harmonized Requirements of SOLAS for Subdivision and Damage Stability)

  • 이선택;권오익;염천환
    • 대한조선학회 특별논문집
    • /
    • 대한조선학회 2006년도 특별논문집
    • /
    • pp.81-88
    • /
    • 2006
  • Recently, the Session of MSC $80^{th}$ has adopted the new harmonized requirements of damage stability for Passenger, Ro-Ro Passenger ship and Ory Cargo ship based on the probabilistic analyzing method reflecting the study of IMO for more than ten years. This paper introduces what have been changed in the SOLAS requirements about SDS (Subdivision and Damage Stability) an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for design effects according to the new rules.

  • PDF

신선종 설계를 위한 사고 전파시간 기반의 선박안전성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ime Basis Ship Safety Assessment model for a Novel Ship Design)

  • 조민철;김화영;김주환;강희진
    • 선박안전
    • /
    • 통권37호
    • /
    • pp.88-97
    • /
    • 2014
  • 새로운 선박을 설계하거나 기존의 규칙, 규정을 따르지 않는 대체설계를 수행할 경우에는 인명, 환경 및 재산 등과 관련한 선박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존 선박 이상의 안전성을 갖고 있음을 반드시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IMO 공식안전성평가 등 기존의 위험도 기반 방법론, 절차 및 도구들은 실제 선박의 설계에 적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선박설계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선박진동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회기분석에 의한 초기 추정법 (Construction of Ship's Vibration Database and Prediction of Ship Vibration by Regression Analysis)

  • 한성용;권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55-861
    • /
    • 2000
  • 선박의 설계초기 단계에서 주요 진동특성인 주선체 및 상부구조의 고유 진동수와 고유 진동형을 구하게 위해서는 현재까지 주로 경험식에 의존하게 된다. 이들 경험식들은 만들어진 시기가 최소 20년 이상 씩 됨에 따라 이중선체 유조선, IMO의 visibility 규정의 강화에 따른 상부조 높이의 증가, 콘테이너 선의 초 대형화 경향과 같이 최근의 선박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 선박의 진동특성을 추정하는 데는 많은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적선들의 진동해석 및 계측 결과들을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들 자료들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방법에 의해 통계해석을 수행하므로써 설계 초기단계에서 선박의 진동 특성을 정도 높게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주기관 및 프로펠러 날개 수 선정에도 정확도를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방법을 바탕으로 windows환경의 전산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도모하였다. 본 방법의 타당성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일련의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계측치와의 부합성이 매우 양호함을 보였다.

  • PDF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iO2 Photocatalysts and UV lamps)

  • 이정윤;차상욱;김일권;박대원;길경석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절감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TiO_2$ 광촉매와 자외선 램프를 적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작된 처리장치의 정격 출력과 처리용량은 각각 2.16 kW 및 $100m^3/h$이다. 처리장치의 살균효율은 플랑크톤을 사용하여 IMO 규정에 따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시제작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살균효율은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99.7 %,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98.84 %로 나타났다.

  • PDF

페놀 컴포지트 실용화의 길 - 영국의 경우 (CASE STUDY 3) (How Phenolic Composites were chosen - In Case of England (3))

  • Nomaguchi, Kanemasa;Forsdyke, Ken L.;Brown, Denver E.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52-61
    • /
    • 2004
  • 선박화재의 최근의 예는 1990년 4월 $\ulcorner$스칸다나비아.스타호$\lrcorner$ 158명 사망사고와, 1991년 4월의 $\ulcorner$모베이.프린스호$\lrcorner$ 이탈리아 선박)140명 사망 사고이다.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 해사협회)에서는 이 대책을 위해 법개정을 했지만, 이것은 한마디로 말하면 $\ulcorner$불에 타기 쉬운 재료$\lrcorner$에서 $\ulcorner$불에 잘 타지 않는 재료$\lrcorner$, 예를 들면 $\ulcorner$페놀 컴포지트$\lrcorner$ (이하 PC라고 생략한다.)으로의 개선이었다. 본 보고서는 이 PC를 $\ulcorner$선박.주정$\lrcorner$용 재료로써 설계 심사하도록 규정으로 정리했던 논문을 조사해서 보고한다.

인도네시아 해사안전관리 현황과 국제협력사업 (Indonesian Maritime Safety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이찬재;박한선;오형기;이경열
    • 선박안전
    • /
    • 통권31호
    • /
    • pp.49-59
    • /
    • 2011
  • 17,508개의 도서로 이루어진 군도국가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기후적 특징을 소개하고 그와 관련된 현지 인도네시아의 해사안전체계 현황과 실태를 설명하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호주 및 일본과의 해상운송분야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국제협력사업을 수행중이거나 수행하였으나 아직까지 해사안전관리 체계가 국제적 표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임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IMO협약 비준을 통한 해사안전규정의 강화와 아울러 Navigation Aids 설치 확대 및 전자해도개발 등 해사안전관리체계의 선진화를 시도함과 동시에 선진국을 상대로 자금지원과 선진화된 기술이전을 위한 국제협력의 문을 개방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조선 및 해운분야의 선진국인 우리나라가 인도네시아 정부와 해사안전분야의 활발한 국제협력을 통하여 우리나라 조선 및 관련 기자재 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을 위한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 PDF

소형선박을 위한 해상안전통신망 설계 (Design of the maritime safety network for small boat)

  • 강민수;강민정;김현덕;신현식;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49-553
    • /
    • 2002
  •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해양사고는 80%이상이 소형선박이며 이러한 소형선박들은 해상에서 안전을 위한 규정에 근거한 통신 설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해상안전 통신망의 체제가 1999년 이후 GMDSS체제로 바뀌게 되면서 소형선박의 해양사고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IMO에서도 이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있다. 이렇게 된 까닭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소형선박의 운영자가 영세하기 때문에 고가의 통신장비의 도입이 어려운데 있다. 그리고 이미 이러한 소형선박들의 거의 대부분이 육상의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빈도가 늘고있으므로 이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편을 마련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논문에서는 육상의 소형선박을 위한 해상조난 통신을 위한 통신망을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추어 설계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