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1beta

검색결과 2,439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Omega-3-Rich Harp Seal Oil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Choi, Myungwon;Ju, Jaehyun;Suh, Jae Soo;Park, Kun-Young;Kim, Kwang Hy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83-87
    • /
    • 2015
  • Omega-3,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an essential fatty acid necessary for human health, and it protects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inflammation, autoimmune diseases, and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mega-3-rich harp seal oil (HSO)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IL)-$1{\beta}$, IL-6, and IL-12/IL-23 (p40) in peritoneal macrophages of mice. The culture supernatants of murine macrophages exposed to lipopolysaccharide (LPS), HSO, or HSO+LPS were harvested to assay IL-$1{\beta}$, TNF-${\alpha}$, IL-6, and IL-12/IL-23 (p40) cytokines and NO. TNF-${\alpha}$, IL-$1{\beta}$, and IL-12/IL-23 (p40) levels, except IL-6, were lower in the culture supernatants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exposed to LPS plus HSO than those of the groups exposed to LPS alone. These observations demonstrate that omega-3-rich harp seal oil downregulates the produc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beta}$, TNF-${\alpha}$, and IL-12/IL-23 (p40). These results suggest that HSO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preventive agent or as an adjunct in anti-inflammatory therapy, if more research results were accumulated.

비파엽(枇杷葉)의 항당뇨병약리활성(抗糖尿病藥理活性)과 IL-1β유발당뇨병(誘發糖尿病) 마우스의 췌장(膵臟) 인산화효소(燐酸化酵素)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diabetic effect and effect on glucose-phosphorylase activities of the leaf of Eriobotryae folium on diabetes mellitus mice induced by interleukin-1β)

  • 윤철호;정지천;김철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75-86
    • /
    • 1998
  • 청양생진(淸凉生津), 해갈지구(解渴止嘔)의 효능이 있으며, 한국등에서 항당뇨병성 한약으로서 사용되어 온 비파엽의 열수출물의 당뇨병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lloxan으로 유발된 당뇨병흰쥐의 혈장포도당농도 및 인슈린농도를 측정하였다. 비파엽처리군의 혈장 포도당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혈장인슈린농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한편, 당뇨병유발의 내재적인 요소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인 $IL-1{\beta}$로 당뇨병을 유발한 뒤 그 효과를 검정했다. 즉, 실험동물을 interleukin-$1{\beta}$로 처리하여 실험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후 glucose의 린산화(燐酸化)에 관여하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파엽엑기스는 interleukin-$1{\beta}$과잉투여 당뇨병으로 인하여 증가된 혈액내glucose농도를 감소시키고 insulin과잉분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동시에 $IL-1{\beta}$에 의해 유도된 당뇨마우스에 대한 비파엽(批把葉)엑기스 투여(投與)가 췌장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IL-1{\beta}$유발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은갑방(銀甲方)이 염증 관련 cytokines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ungapbang (EGB))

  • 이보라;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3-9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ungapbang extract (EGB). Method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GB, we nourished RAW 264.7 cell lines in the laboratory dish. Next,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Then, sera were prepared from blood after lipopolysaccharide (LPS) injection in chemically induced mouse models of intestinal inflammation, and Interleukin-1${\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tumou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were measured using ELISA kits. Results: 1. EGB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levels of IL-1${\beta}$ and NOS-II genes at 100, 50 and 10 ${\mu}g/m{\ell}$ concentrations, and IL-6, TNF-${\alpha}$ and COX-2 mRNAs at 100 and 50 ${\mu}g/m{\ell}$ concentrations. 2. EGB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level of IL-1${\beta}$ and TNF-${\alpha}$ at 100${\mu}g/m{\ell}$ concentrations, and IL-6 at 100 and 50 ${\mu}g/m{\ell}$ concentrations. 3. EG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level of IL-1${\beta}$ and IL-6 in sera of acute inflammation induced mice. 4. EGB could suppress the expression level of IL-1${\beta}$ and IL-6 mRNA in spleen tissues in acute inflammation induced mic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GB were recognized. Therefore, EGB is recommended as promising therapy for treatment of such ailments as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roinflammatory Effects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LP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Macrophage Cells

  • Hong Suhee;Jeong Hyun D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30-134
    • /
    • 2003
  • Proinflammatory effects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LPS) have been assessed by analysing the induction of two inflammatory genes,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cyclooxygenase-2 (COX-2),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macrophage cells. Production of a metabolite of arachidonic acid by COX-2, prostaglandin $E_2\;(PGE_2)$, was also analysed in macrophage cells after LPS stimulation.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LPS $(5{\mu}g/mL)$ significantly upregulated $IL-1\beta$ (54 times) and COX-2 (40.7 times) gene expression in macrophage cells after 4 h stimulation. According to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IL-1\beta$ gene induction in LPS stimulated macrophage cells was started within 1h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after until 4h. Meanwhile, COX-2 gene induction by LPS was delayed in comparison with $IL-1\beta$ gene induction as a faint band was observed after 4h stimulation in head kidney macrophage cells. L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GE_2$ production in head kidney leucocytes, presumably via activating COX-2 expression that metabolites arachidonic acid to $PGE_2$. In conclu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LPS could induce two main inflammatory and immune related genes, $IL-1\beta$ and COX-2, and increase $PGE_2$ production in trout head kidney macrophage cells, representing a strong inflammatory activity.

소엽(蘇葉) 추출물이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의 cytokine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um Perillae on cytokine productions in ischemic rats)

  • 양기호;김형우;조수진;김상대;윤관희;김부여;정현우;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3-99
    • /
    • 2007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ium Perillae (FP) on several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L-1$\beta$, TNF-$\alpha$, IL-10 and TGF-$\beta$ to determine related mechanisma in Rats. Methods: So,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P on levels of several cytokines such as IL-l$\beta$, TNF-$\alpha$, IL-10 and TGF-$\beta$ in ischemic rats. Results: In this experiment, IL-10, an immune-modulatory cytckine, level was elevated by treatment with FP, but another regulatory cytokine, TGF-$\beta$1 level was not affected. On the other hand, levels of IL-l$\beta$ and TNF-$\alpha$, an inflammatory cytokines, were lowered by treatment with FP effectivel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P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disease related to cerebral ischemia, because FP can elevate IL-10 level, lower IL-l$\beta$ and TNF-$\alpha$ levels.

  • PDF

골쇄보(骨碎補) 복합제제가 생쥐의 calvarial osteoblast에서 collagen 용해와 골재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tracts having Drynariae Rhizoma on suppression of collagenolysis and bone resorption in mouse calvarial osteoblasts)

  • 홍시내;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9권
    • /
    • pp.179-191
    • /
    • 2000
  • 한방에서 건강골(建强骨)시키는 효능이 있는 5가지 약물(골쇄보(骨碎補), 상기생(桑寄生), 김모구척(金毛狗脊), 별갑(別甲), 법파고지(法破古紙))로 구성된 처방(CEDR로 약칭)으로 실험을 하였다. 생쥐의 calvarial osteoblast를 분리하고 배양한 후 실험을 행하였는데, 골 재흡수 인자인 PTH, $1,25(OH)_2D_3$, $TNF-\alpha$, IL-1에 자극받은 osteoblasts는 활동적인 gelatinase를 생산하므로서 collagen 용해를 증가시켰다. 암컷 생쥐의 long bone organ을 culture하여 골 재흡수를 자극하는 IL-1를 실험한 결과, IL-1은 골의 재흡수를 자극하였으며 동시에 존재해있을 때에는 뚜렷한 재흡수를 보였다. 더욱이, indomethacin과 dexamethasone이 $IL-1{\alpha}$의 투여량 증가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을 때에는 indomethacin과 dexamethasone은 IL-1의 투여량에 대한 곡선 그래프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켰다. 시험관내에서 세포 독성에 대하여 관찰하였을 때, CEDR추출물은 $1-60{\mu}g/ml$의 농도에서 아무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뿐만 아니라 생쥐의 두개골 세포에서는 $120{\mu}g/ml$ 농도에서 전혀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CEDR 추출물은 생쥐의 calvarial cells에서 PTH (5 units/ml), $IL-1{\alpha}$ (1 ng/ml), $TNF-\alpha$, $1,25(OH)_2D_3$ (20 ng/ml) 및 $IL-1{\alpha}$, $IL-1{\beta}$에 유도되는 collagen 용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다. CEDR 추출물을 1시간동안 전처리하였을 때, 그 자체로는 세포 생존에 영향이 없었으며, collagen 용해를 증가시키지도 않았으며 전처치로 collagen 용해를 유의성있게 감소시키지도 않았다. 게다가, 추출물은 $IL-1{\alpha}$$IL-1{\beta}$에 의해 유도되는 collagen 용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1시간 동안 전처리로 한 결과, collagen 용해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흥미로운 것은 CEDR 추출물이 gelatinase 활성과 PTH, $1,25(OH)_2D_3$, $TNF-\alpha$, $IL-1{\beta}$$IL-1{\alpha}$의 재흡수 인자에 유도되어 진행되는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CEDR 전처리시에는 강력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CEDR 추출물은 $IL-1{\alpha}$$IL-1{\beta}$에 자극되는 골 재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였으며, 또한 농도를 다양하게 한 CEDR의 전처리시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Indomethacin과 dexamethasone의 비 스테로이드성 항 염증 인자에 의한 IL-1에 자극받은 골 재흡수를 억제하는 정도와 현상은 CEDR 추출물을 생쥐의 두개골 배양 시스템에 적용시켜 얻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건데, CEDR 추출물은 임상적으로 골다공증의 치료에 매우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싸이토카인 유발 췌장 ${\beta}$세포 독성에 대한 천화분 추출물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Radix Trichosanthis Extracts on Cytotoxicity of Pancreatic ${\beta}-Cells$ by Cytokines)

  • 송미영;김은경;송제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22-426
    • /
    • 2008
  • In this study, the preventive effects of Radix Trichosanthis extracts (RTE) against cytokine-induced ${\beta}-cell$ death were assessed. Cytokines generated by immune cells infiltrating pancreatic islets are crucial mediators of ${\beta}-cell$ destruction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treatment of RIN cells with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resulted in a reduction of cell viability. RTE protected $IL-1{\beta}$ and $IFN-{\gamma}$-mediated viability re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cubation with RTE also induced a significant suppression of $IL-1{\beta}$ and $IFN-{\gamma}$-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RTE inhibited iNOS protein expression appeared to involve th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The $IL-1{\beta}$ and $IFN-{\gamma}$-stimulated RIN cells showed increases in $NF{-\kappa}B$ binding activityand $I{\kappa}B{\alpha}$ degradation in cytosol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However, pretreatment with RTE inhibited cytokines-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NF{-\kappa}B$ activation in RINm5F cell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RTE were verified via protection of impairment in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s in $IL-1{\beta}$ and $IFN-{\gamma}$-treated islets.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에 의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Through NF-${\kappa}B/I{\kappa}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박계영;이승희;황보빈;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2-342
    • /
    • 2000
  • 연구배경 :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폐질환의 중요한 매개물질이다. 폐 상피세포는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interleukin, chemokines, colony stimulating factors와 growth factor등을 생산 및 분비함으로써 국소 염증 부위에서의 사이토카인 network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기전에 대한 이해는 염증성 폐질환의 기전규명과 이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생각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NF-${\kappa}B$전사인자에 의해 발현되는데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키인의 발현과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BEAS-2B, A549, NCI-H157, NCI-H719 세포에서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L-8과 TNF-$\alpha$ mRNA의 발현 양상을 평가하였고 이들의 발현과 관찰하였고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L-l$\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I{\kappa}B{\alpha}$$I{\kappa}B{\beta}$의 분해 양상을 관찰하였다. 폐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른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인산화와 기저상태에서 IKK$\alpha$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alpha}$$I{\kappa}B{\beta}$가 분해되었고 NF-${\kappa}B$의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IL-8과 TNF-$\alpha$mRNA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NCI-H719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 분해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kappa}B$의 인산화가 관찰되었지만 NCI-H719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기저상태의 IKK$\alpha$ 발현은 세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는 염증매개 사이토카인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 세포에서는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IKK보다 상위 단계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NF-$\alpha$와 IL-1 자극에 의한 제대정맥내피세포에서의 IL-8 및 GRO/MGSA의 발현 (The Expression of IL-8 and GRO$\alpha$/MGSA in HUVEC Stimulated by the TNF-$\alpha$ and IL-1)

  • 송정섭;신문선;안중현;문화식;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338-349
    • /
    • 1999
  • 연구배경: 호중구는 급성염증이 있을 때 존재하는 제일 많은 세포로서 폐의 염증이 있을 때에도 말초혈액에서부터 이동됨과 동시에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분비하는 단백분해효소, 산화물 및 여러 가지 cytokine등에 의해 염증이 더욱 심해지고 호중구의 이동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중구의 이동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현재까지 LTB4, PAF, C5a, fMLP, TNF, IL-8 등이 밝혀져 있으며 특히 IL-8은 chemokine이라고 부르는 조그만 cytokine에 속하며 GRO/MGSA는 IL-8과 같은 C-X -C subgroup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이 유전인자는 PF-4, IL-8등과 같은 chromosome 4q12-q21에 위치한다. IL-8이 호중구의 이동 및 활성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잘 증명되어 있지만 같은 C-X-C subgroup에 속하며 최근에 발견된 GRO/MGSA의 기능 및 발현과정 등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다. 내피세포는 TNF$\alpha$나 IL-1$\beta$ 등의 자극을 받으면 호중구의 유착을 돕는 접착분자 및 IL-8등의 생성이 증가되는등 염증반응에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고 밝혀지고 있다. 저자들은 인체의 제대정맥에서 내피세포를 분리하여 TNF나 IL-1로 자극을 가하였을때 호중구의 이동을 증가시키는 IL-8이나 GRO/MGSA mRNA의 발현과 분비가 일어나는지 또한 호중구 화학주성에 미치는 각각의 기여도를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제대정맥에서 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고 여기에 TNF-$\alpha$ IL-1$\beta$ 등을 0.2, 2, 20 ${\mu}g/ml$ 농도로 자극을 가하고 1, 4, 8, 24 시간이 경과하여 IL-8 및 GRO/MGSA mRNA의 발현을 RT-PCR로 관찰하고, 배양상층액내 IL-8 및 GRO/MGSA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으며 상층액의 호종구 화학주성 활성화도를 Neuro Probe 48 well chemotactic chamb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제대정맥 내피세포에 TNF-$\alpha$ 및 IL-1$\beta$로 자극하였을 때 내피세포에서의 IL-8 mRNA는 1 시간후부터, GRO/MGSA mRNA의 발현은 4 시간후부터 각각 관찰되었으며 TNF-$\alpha$ 및 IL-1$\beta$의 자극농도에 따른 뚜렸한 차이는 없었다. TNF-$\alpha$ 및 IL-1$\beta$로 자극한 내피세의 배양상층액에서 측정한 IL-8도 1시간후부터 현저히 증가되었고 GRO/MGSA의 양은 4시간후부터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 TNF-$\alpha$ 및 IL-1$\beta$로 자극한 내피세포의 배양상층액의 호중구 화학주성활성화도는 각각으로 1시간 자극 후에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제대정맥 내피세포를 TNF-$\alpha$ 및 IL-1$\beta$로 자극시 IL-8 및 GRO/MGSA mRNA 발현 및 단백이 분비되며, 특히 IL-8은 1시간 후에 GRO/MGSA는 4 시간후에 각각 증가되고 호중구화학주성활성화는 1시간후부터 최고치로 증가됨을 관찰하여, GRO/MGSA보다는 IL-8 이 호종구유주인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TGF-$\beta$3는 마우스 IgA, IgG2b 항체의 선택적 유도작용 (TGF-$\beta$3 Selectively Induces Mouse IgA and IgG2b isotype)

  • 이은경;박석래;전계택;김평현;이세원;최의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4-168
    • /
    • 1999
  • TGF-$\beta$1은 LPS 로 자극시킨 마우스의 spleen B cell 의 IgA와 IgG2b의 항체 합성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고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TGF-$\beta$1과 80%의 아미노산을 공유하는 TGF-$\beta$3가 마우스 spleen B cell 과 mesenteric lymph node B cell의 항체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IL-5와 함께 조사하였다. LPS로 활성화된 spleen B cell 에 TGF-$\beta$3만을 처리한 조건에서 IgA 항체합성이 약간 증가하였고, IL-5와 함께 넣어 준 배양조건에서는 IgA 항체가 현격히 증가하였다 IgG2b 합성의 증가는 TGF-$\beta$3 자극만으로도 가능하였고 IgA 와는 달리 IL-5 의 첨가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TGF-$\beta$3는 IgM 과 IgG1 항체 합성을 감소시켰고, IL-5와 함께 존재한 경우에도 의미있는 합성 증가는 볼 수 없었다. ELISPOT assay로 IgA 합성 세포수의 변화를 조사해본 결과, TGF-$\beta$3 단독으로도 IgA 합성세포수를 증가시켰으며, 이때 IL-5가 존재하였을 때 세포수가 조금 더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TGF-$\beta$3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TGF-$\beta$1과 유사하게 항체합성 패턴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TGF-$\beta$3과 IL-5에 대한 MLN B cell 의 IgA와 IgG2b 항체합성 패턴은 spleen B cell 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MLN B cell 의 IgG1 항체 합성은 spleen B cell과는 달리 TGF-$\beta$3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TGF-$\beta$3가 TGF-$\beta$1과 비슷한 정도로 마우스 B cell의 항체합성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생체 내에서TGF-$\beta$3의 발현조절이 TGF-$\beta$1과 다를 것으로 예상됨으로 과연 TGF-$\beta$3가 B cell 분화에서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할지는 좀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