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F1R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1초

Human umbilical cord blood mesenchymal stem cells engineered to overexpress growth factors accelerate outcomes in hair growth

  • Bak, Dong Ho;Choi, Mi Ji;Kim, Soon Re;Lee, Byung Chul;Kim, Jae Min;Jeon, Eun Su;Oh, Wonil;Lim, Ee Seok;Park, Byung Cheol;Kim, Moo Joong;Na, Jungtae;Kim, Beom J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5호
    • /
    • pp.555-566
    • /
    • 2018
  • Human umbilical cord blood mesenchymal stem cells (hUCB-MSCs) are used in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however, the mechanisms involved are not well understood. We investigated the hair growth-promoting effects of hUCB-MSCs treatment to determine whether hUCB-MSCs enhance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Furthermore,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for hair growth. The effects of hUCB-MSCs on hair growth were investigated in vivo, and hUCB-MSCs advanced anagen onset and hair follicle neogeneration. We found that hUCB-MSCs co-culture increased the viability and up-regulated hair induction-related proteins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 in vitro. A growth factor antibody array revealed that secretory factors from hUCB-MSCs are related to hair growth.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IGFBP-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increased in co-culture medium. Finally, we found that IGFBP-1, through the co-localization of an IGF-1 and IGFBP-1, had posi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VEGF secretion;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LP), CD133, and ${\beta}-catenin$; and formation of hDPCs 3D spheroid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hUCB-MSCs promote hair growth via a paracrine mechanism.

Effects of Bovine Somatotropin (bST) Administration Combined with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on Embryo Quality and Pregnancy of Hanwoo (Korean Native Beef Cattle) during Commercial Embryo Transfer Program

  • Lee, Ho-Jun;Hwang, Seongsoo;Yoon, Jong-Tae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94-199
    • /
    • 2007
  • Effects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bST) on plasma hormonal concentration, embryo quality, and pregnancy rate were examined during the superovulation and synchronization treatment in donor and recipient cows. Hanwoos (Korean native beef cattle) were treated with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combined with bST (CIDR+bST) or without bST (CIDR) as donor cows. The embryos recovered from donors were transferred into Holstein recipient heifers treated with bST (CIDR+bST) or without bST (CIDR) for synchroniz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IGF-I and P4 showed a positive pattern in the CIDR+bST group (r=0.44, p<0.01), but a negative pattern was shown in the CIDR group (r = -0.59, p<0.02) at day 7 of estrous cycles. Although the number of recovered, transferable, and degenerated embryos was not different, quantities of grade 1 (excellent) embryos in CIDR+bS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IDR group (p<0.01). The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the CIDR+bST recipient group compared to CIDR group (p<0.05), when the embryos were recovered from the donors treated with CIDR. However, the pregnancy was maintained highly in both recipient groups, when the embryos were produced by CIDR+bST treated donors. It can be concluded that bST administration combined with CIDR is an effective method for superovulation and synchronization treatment to stabilize plasma hormonal levels, to obtain excellent quality of embryos, and to get higher pregnancy rate.

Anti-invasive activity of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via the induction of Egr-1 and the modulation of tight junction-related proteins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Kim, Sung-Ok;Choi, Byung-Tae;Choi, Il-Whan;Cheong, Jae-Hun;Kim, Gi-Young;Kwon, Taeg-Kyu;Kim, Nam-Deuk;Choi, Yung-Hyun
    • BMB Reports
    • /
    • 제42권10호
    • /
    • pp.655-660
    • /
    • 2009
  • The potential anti-metastasis and anti-invasion activities of early growth response gene-1 (Egr-1) and claudin-3, a tight junction (TJ)-related protein, were evaluated using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s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The results of wound healing and Transwell assays showed that HDAC inhibitors such as trichostatin A and sodium butyrate inhibit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HDAC inhibitors markedly induced Egr-1 expression during the early period, after which expression levels decreased. In addition, the down-regulation of snail and type 1 insulin-like growth factor receptor (IGF-1R) in HDAC inhibitor- treated cells induced the upregulation of thrombospondin-1 (TSP-1), E-cadherin and claudin-3. Cells transfected with Egr-1 and claudin-3 siRNA displayed significant blockage of HDAC inhibitor-induced anti-invasive activity. Coll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p-regulation of Egr-1 and claudin-3 are crucial steps in HDAC inhibitor-induced anti-metastasis and anti-invasion.

Identification of Novel SNPs in Bovine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Gene

  • Kim, J.Y.;Yoon, D.H.;Park, B.L.;Kim, L.H.;Na, K.J.;Choi, J.G.;Cho, C.Y.;Lee, H.K.;Chung, E.R.;Sang, B.C.;Cheong, I.J.;Oh, S.J.;Shin, Hyoung D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3-7
    • /
    • 2005
  •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their receptors, and their binding proteins play key roles in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OMIM #146732) is one of the proteins that bind to the IGFs. IGFBP3 is a modulator of IGF bioactivity, and direct growth inhibitor in the extravascular tissue compartment. We identified twenty-two nove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IGFBP3 gene in Korean cattle (Hanwoo, Bos taurus coreanae) by direct sequencing of full gene including -1,500 bp promoter region. Among the identified SNPs, five common SNPs were screened in 650 Korean cattle; one SNP in promoter (IGFBP3 G-854C), one in 5'UTR region (IGFBP3 G-100A), two in intron 1 (IGFBP3 G+421T, IGFBP3 T+1636A), and one in intron 2 (IGFBP3 C+3863A). The frequencies of each SNP were 0.357 (IGFBP3 G-854C), 0.472 (IGFBP3 G-100A), 0.418 (IGFBP3 G+421T), 0.363 (IGFBP3 T+1636A) and 0.226 (IGFBP3 C+3863A), respectively. Haplotypes and their frequencies were estimated by EM algorithm. Six haplotypes were constructed with five SNPs and linkage disequilibrium coefficients (|D'|) between SNP pairs were also calculated. The information on SNPs and haplotypes in IGFBP3 gene could be useful for genetic studies of this gene.

산수유 추출물에 의한 testosterone으로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개선 (Extract of Fructus Corni Ameliorates 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in Sprague Dawley Rats)

  • 지선영;김민영;황보현;이혜숙;홍수현;김태희;윤선혜;김현진;정하은;김성연;김태중;김민지;김성옥;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0-558
    • /
    • 2021
  •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의 발병은 노화에 따른 남성 호르몬 수치의 변화와 연관된 내분비 기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BPH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대체 식의약 소재의 개발을 시급히 요구된다. 산수유나무의 열매인 산수유(Fructus Corni)는 오랫동안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최근 BPH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BPH에 대한 산수유 열수 추출물(CF)의 추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비거세 및 거세 동물 모델에서 TP에 의한 BPH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BPH 억제를 위한 양성대조군으로 FIN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CF 투여는 대조군 및 FINA 처리 그룹에 비하여 비거세 및 거세군 모두에서 전립선의 과도한 발달을 억제하였다. BPH에 대한 CF의 억제 효과는 BPH 유도에 관여하는 testosterone과 DHT의 발현 감소뿐만 아니라 HIF-1α, 5α-reductase type 2, SRC1, AR 및 PSA 발현의 과도한 발현 억제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의 혈청 수준은 비거세 및 거세군 모두에서 TP에 의한 BPH 유도 동안 증가하였지만 CF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BPH 유도군에서 insulin 및 IGF-1은 증가되지 않았으며 CF에 의한 효과적인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R 신호 전달 경로 활성의 억제를 통해 BPH에 대한 CF의 유익한 효과를 시사하며, 산수유가 BPH의 예방과 치료에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아청소년기 성장호르몬결핍증의 성인기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for persistent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 onset growth hormone deficiency)

  • 이영아;정혜림;이세민;김재현;김지현;이선희;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27-233
    • /
    • 2009
  • 목 적 : 소아청소년기 GHD 환자들은 성인기에 진단된 환자보다 체성분과 심혈관계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면 성장호르몬 치료를 꼭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ITT를 시행하여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요인을 살펴보고,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성인키에 도달한 55명(남 39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ITT의 최대 성장호르몬 값이 $3{\mu}g/L$ 미만이면 성인기 GHD로 진단하였다. 특발성 GHD 환자(n=12)는 뇌하수체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2명과 둔위 분만 또는 가사의 병력이 있는 10명이었으며, 기질성 GHD 환자(n=43)는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뇌종양(n=33), 그 외의 뇌종양(n=3), 뇌수막염(n=3), 백혈병(n= 2), 지주막낭종(n=1), 뇌하수체염(n=1)에 해당하였다. 결 과 :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된 환자는 49명(89.1%)이었다. 최대 성장호르몬 값의 log값은 기저 IGF-I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7, P<0.001). 특발성 GHD 환자의 91.7%가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어, 성인기 GHD 여부는 소아청소년기 특발성, 기질성 GHD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 개수가 많을수록(단독 GHD 40%, 1개의 결핍 동반 80%, 2개 이상 동반 95.6%, P=0.002), 기질성 GHD 환자 중에서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일차적으로 침범하는 경우(P=0.003)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두개 내 방사선 치료를 받은 18명 중에서 15명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는데,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 14명은 모두 방사선조사량에 관계없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있는 경우(P=0.005), 소아청소년기 완전 GHD인 경우(P=0.005)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에서 동반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2개 이상이거나, 기저 질환의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포함하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종.속간 잡종 및 생태형 유래 합성종간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Synthetics Derived from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s and Ecotypes)

  • 최기준;임용우;임영철;성병렬;김맹중;김기용;박근제;김상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2
    • /
    • 2002
  •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육종연구실에서는 1984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기호성과 페스큐류의 높은 환경적응성을 결합하기 위해 Lolium X Festuca 잡종을 생산하였고, 1991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태형을 수집하여 특성을 검정하고 계통화하여 왔다. 1997년부터 이들 교잡계통과 생태형 중에서 임성이 있고 내한성이 강하며 출수기가 비슷한 영양계통으로 교배조합을 작성하여 Polycross 삼각배치법으로 합성종 내한 6, 7, 8, 9호를 육성하였다. 이들 합성종들의 형태적 및 농업적 특성 그리고 수량성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1999 년부터 2000년까지 경기 수원과 연천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Barmultra와 화산 101호 등의 기존품종들과 함께 공시하여 포장시험을 실시 하였다. 합성종들의 생육특성에서 출수기는 수원에서 5월 22~24일로 Barmulra나 화산 101호와 비슷한 만생종에 속하였다. 초장은 101~106cm, 줄기의 굵기는 중간 또는 굵었으며, 엽색은 농녹으로서 넓고 길며 풍엽성이 좋았다. 도복은 대체로 강한 편이었으며 재생은 양호하였다. 합성계통들의 내한성은 수원지역에서는 기존 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들과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1월 또는 2월 최저평균기온이 -l0~12% 였던 경기 연천지역에서는 기존 품종들 보다 내한성이 강하였다. 합성계통들의 건물수량은 수원지역에서는 Barmultra(8,236kg/ha)와 비슷하거나 다소 적었으나 연천지역에서는 Barmultra(7,291kg/ha) 보다 7~13% 많았다. 합성계통들의 사료가치는 in vitro 소화율, ADF, NDF, TDN 함량에 있어서 화산 101호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Barmultra보다는 다소 양호하였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의 이식시 hCG 1,5001u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는 임신유지를 위한 혈중 P4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수태율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GF와 cortisol은 hCG 투여가 초기 임신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소비자들이 주로 딸기향, 바나나향, 사과향, 초코향을 선호한다고 답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지만 채식은 연령 증가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Prader-Willi 증후군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 (Effects and adverse-effects of growth hormone therapy in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A two year study)

  • 김수진;조중범;곽민정;백경훈;권은경;진동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42-746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Prader-Willi 증후군 환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2년 이상 성장호르몬(지노트로핀$^{{R)}$) 치료를 받은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신장과 체중, DXA를 이용한 체지방비율을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치료 전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41명의 환자 중 남자가 24명, 여자는 17명이었으며, 치료시작 시의 평균 연령은 $7.3{\pm}3.3$세이고 평균 치료기간은 $34.4{\pm}4.8$개월이였다. 치료시작시 Ht-SDS는 $-1.19{\pm}1.37$이였고, Bwt-SDS는 $1.02{\pm}2.42$이었으며, 체지방비율은 $44.6{\pm}9.9%$였다. 치료 2년 후 Ht-SDS는 $-0.02{\pm}1.45$로 증가하였고(P<0.001), Bwt-SDS는 $1.63{\pm}2.22$로 증가하였으며(P=0.002), 체지방비율은 $38.1{\pm}10.5%$로 감소하였다(P<0.001). 치료 전후의 갑상선 기능 검사와 수시혈당은 변화가 없었고, 혈청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으며, IGF-I은 증가하였다. 당화 혈색소는 $5.2{\pm}0.5%$에서 $5.5{\pm}0.5%$로 증가하였으나 정상범위였다. 성장호르몬을 사용한 적이 있는 환자 77명 중 7명이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부작용은 측만증 등 정형외과적 문제가 가장 많았고, 1명의 환아가 치료 후 아데노이드 비대가 진행하여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 론 : Prader-Willi 증후군 환아에게서 저신장을 호전시키고, 체지방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성장호르몬 치료는 필요하며, 치료 중 부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기적인 경구 당부하 검사를 통한 당대사 이상의 조기 발견과 측만증과 아데노이드 비대의 진행 여부에 대한 관찰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