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F binding proteins (IGFBP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5초

암컷 랫트에서 Progesterone투여가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 및 IGF-binding proteins(IGFBPs)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ogesterone on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 and IGF-binding proteins(IGFBPs) in female rat)

  • 김송군;박수현;강창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9-467
    • /
    • 2002
  • The sex steroid hormone progesterone is essential for normal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the endometrium in preparation for the embryo implantation and the maintenance of pregnancy.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system that is composed of IGF-I, IGF-II, IGF binding proteins (IGFBPs) is also involved in the maintenance of pregnancy. In addition, liver, kidney, and uterus is a target tissue for IGF system. However, the effect of exogenous progesterone on IGF system was not elucidated in female ra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gesterone on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and IGF-binding proteins in serum, liver, kidney, and uterus in female ovariectomized rats. IGFs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radioimmuoassay (RIA) and IGFBPs levels by western ligand blotting(WLB). IGF-I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serum, liver, and uterus, but not in kidney of progesterone-treated ovariectomized rats, compared to control (P<0.05). IGF-II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liver, but not in serum, kidney, and uterus of progesterone-treated rats, compared to control (P<0.05). IGFBP-3 was increased in serum, but not in liver of progesterone-treated rats, compared to control. IGFBP-2 was decreased in kidney, but not in others tissues of progesterone-treated rats,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esterone may exert diverse physiological functions via the tissue-specific regulation of IGFs/IGFBPs system in female rats.

Effects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Pathway on the Regulation of Mammary Gland Development

  • Ha, Woo Tae;Jeong, Ha Yeon;Lee, Seung Yoon;Song, Hyu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179-185
    • /
    • 2016
  •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pathway is a key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apoptosis. In dairy cows, IGF family proteins and binding receptors, including their intracellular binding partners, regulate mammary gland development. IGFs and IGF receptor interactions in mammary glands influence the early stages of mammogenesis, i.e., mammary ductal genesis until puberty. The IGF pathway includes three major components, IGFs (such as IGF-I, IGF-II, and insulin), their specific receptors, and their high-affinity binding partners (IGF binding proteins [IGFBPs]; i.e., IGFBP1-6), including specific proteases for each IGFBP. Additionally, IGFs and IGFBP interactions are critical for the bioactivities of various intracellular mechanisms,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apoptosis. Notably, the interactions between IGFs and IGFBPs in the IGF pathway have been difficult to characterize during specific stages of bovine mammary gland development. In this review, we aim to describe the role of the interaction between IGFs and IGFBPs in overall mammary gland development in dairy cows.

Insulin-like growth factor-I(IGE-I)이 조피볼락의 체중 및 혈액중 IGF binding protein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on Body Weight and the Cocentration of Serum IGF Binding Protein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남택정;이상민;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4-778
    • /
    • 1998
  • 동물성장인자인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이 조피볼락의 성장 및 혈액중에 존재하는 IGF binding proteins (IGFBPs)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human recombinant IGF-I을 투여하여 분석한 결과, 절식중의 조피볼락 체중은 IGF-I 투여군이 생리식염수만 투여한 대조군 보다 체중 증가효과가 있었으며, 혈액중 glucose농도는 IGF-I의 투여군이 혈당저하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혈액중 IGFBP-3는 IGF-I투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IGFBP-1은 감소하였다.

  • PDF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도된 당뇨쥐의 IGF-I, IGFBPs 및 IGF-I carrier protein의 변화 (Changes of insulin like growth factor-I, IGF-I carrier prote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 허영란;김송군;김진상;강창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89-49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induced 당뇨가 혈청과 간장 및 신장조직의 IGF-I, IGFBPs 및 IGF-I carrier protein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액과 조직중의 IGF-I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고, IGFBPs 양상은 Western Ligand Blotting(WLB)으로 관찰하였으며, IGF-I carrier protein의 특성은 column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혈청과 IGF-I 농도는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장 IGF-I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신장의 IGF-I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청과 간장의 IGFBP-3는 감소한 반면, IGFBP-2는 증가하였고, IGFBP-4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150kDa carrier protein은 감소하였으며, 50kDa carrier protein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Streptozotocin-induced 당뇨는 혈청 뿐만 아니라 조직의 IGF-I/IGFBP system 변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신장발육 및 재생에 따른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및 IGF-binding protein의 변화 (Alte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and IGF-Binding Proteins in Renal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 박성광;고규영;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2호
    • /
    • pp.109-116
    • /
    • 1999
  • 목적 : Insuln-like growth factor(IGF)-I및 -II는 성장인자로 일군의 IGF-binding protein(IGFBP)에 의하여 그 작용이 조절된다. IGF-I은 백서 신장에서 발견되고 대사효과와 성장효과를 갖고 있다. 이번 연구는 백서에서 신장발육과 허혈성 신손상 후 재생과정 동안에 IGFBP의 발현이 변화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방법 : 태생 15주부터 성숙 할때까지 백서 신장에서 IGFBP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Northern blotting을 시행하였고, 급성신부전 백서의 신장에서 IGF-IGBP axis의 변화를 보기 위해 Northern blotting과 Immunohisto-chemistry를 이용하였다. 결과 : IGFBP-1과 -3는 태생기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다가 출생 후 7일째부터 성숙이 끝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IGFBP-2와 -5는 태생기에 많이 발현되고, IGFBP-2는 출생 후 7일째까지 IGFBP-5는 30일째까지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IGFBP-4는 태생기에 중등도로 발현되는데 출생 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7일째 가장 많이 발현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신손상 후 IGFBP의 변화를 보면 IGFBP-1과 -4는 재생기간 동안 3-5배 증가되다가 정상으로 회복된 반면 IGFBP-3와 IGFBP Related Protein-1(IGFBPrP-1) 은 신손상 1일째에는 약간 감소하다가 그후 증가하여 정상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 : 백서 신장에서 신장구조나 기능의 발달, 분화 및 재생에 대한 IGF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IGFBP 발현에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

  • PDF

당뇨환자의 식사 전후에 따른 혈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IGF-II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IGFBP)-3의 변화 (Change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I and IGF-Binding Protein-3 on Fasting and Postprandial state in Diabetes)

  • 허영란;강창원;차연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88
    • /
    • 2006
  • IGFs and IGFBPs have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glucose homeosta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IGF-II and IGF binding proteins (IGFBPs) on fasting and postprandial state in Korean diabetes, Twenty eight healthy subjects and fifty seven diab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healthy subjects were not knowingly suffered from any disease and were not receiving any medical treatment, and diabetic subjects were undergo medical treatment, continuously.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as weight (kg) divided by the square of height (m2). Blood pressure was measured. Plasma lipid profiles were analyzed by enzymatic methods, plasma Insulin an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in fasting and postprandial state, respectively. The levels of serum IGFs and IGFBP-3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IA). The levels of glucose and insul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es than normal subjects on fasting as well as postprandial state (p<0.0l). The levels of IGF-I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es than normal subjects, however in postprandial st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abetes and control subjects, The levels of IGF-II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es than control subjects both fasting and postpradial state, The level of IGFBP-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es and normal subjects. Fasting IGF-I, IGF-II and IGFBP-3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levels on postprandial state, fasting IGe levels of IGF-I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sting insulin levels, and postprandial IGF-I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sting glucose, postprandial insulin and postprandial insulin levels,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re correlated with plasma triglyceride levels. The IGFBP-3 levels were not correlated with IGF components, glucose, insulin and plasma lipid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diabetes, the components IGF-I/IGFBPs system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sma glucose and insulin levels both fasting and postprandial state.

  • PDF

Insulin-Like Growth Factors and Their Binding Proteins in Tumors and Ascites of Ovarian Cancer Patients: Association With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 Yunusova, Natalia V;Villert, Alisa B;Spirina, Liudmila V;Frolova, Alena E;Kolomiets, Larisa A;Kondakova, Irina V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315-5320
    • /
    • 2016
  • Purpose: Tumor cell growth and sensitivity to chemotherapy depend on many factors, among which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may play important rol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and IGF binding proteins (IGFBPs) in primary tumors and ascites as predictors of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in ovarian cancer (O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umor tissue samples and ascitic fluid were obtained from 59 patients with advanced OC. The levels of IGF-I, IGF-II, IGFBP-3, IGFBP-4 and PAPP-A were determined using ELISA kits. Taking into account the data on expression of these IGF-related proteins and outcom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predictors of response to neoajuvant chemotherapy. Results: Human ovarian tumors expressed IGFs, IGFBP-3, IGFBP-4 and PAPP-A and these proteins were also present in ascites fluid and associated with its volume. IGFs and IGFBPs in ascites and soluble PAPP-A might play a key role in ovarian cancer progression. However, levels of proteins of the IGF system in tumors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objective clinical response (oCR).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IGF-I in ascites was the only independent predictor for oCR. Conclusion: The level of IGF-I in ascites was shown to be an independent predictor of objective clinical response to chemotherapy for OC patient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debulking surgery.

붕어육의 단백질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혈청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과 IGF-Binding Protein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assius carassius Hot-Water Extracts on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IGF-Binding Proteins in Rats)

  • 남택정;권미진;류홍수;김경숙;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85-690
    • /
    • 1999
  • The insulin like growth factors(IGFs) are bound to several binding proteins(IGFBPs) that appear to regulate IGF transfort, receptor binding, and its action. The concentrations of these peptides are regulated by quantity and nutritional quality of dietary prote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diets, which differed in their protein source, Carassius carassius(CC), Carassius carassius hot water extract(CCHE), for 4 weeks.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C group(74.14$\pm$12.00 to 266.31$\pm$36.62g; p<0.01). Likewise, IGF I concentration of CC group(101.76$\pm$15.90 n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CHE group(38.50$\pm$ 11.20ng/ml; p<0.05).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especially IGFBP 1, 2 levels are increased, whereas IGFBP 3 level was de creased in CCHE group. After extraction of browning material from each samples, the extractive was filtered and absorbance at 420nm was measured. The absorbance of CCH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 I can be employed as an index of protein metabolism, particulary as a simple index in the assessing the status of protein nutrition.

  • PDF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혈청 중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s(IGFBPs)의 분포 및 IGFBP-3의 분해 (Distribu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s(IGFBPs) and IGFBP-3 Proteolysis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Serum)

  • 이화진;김성현;권미진;남택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5-290
    • /
    • 1997
  •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연, 혈당값은 정상대조군 78{\pm}6.20mg/dl,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184{\pm}18.94mg/dl$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값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IGF-I의 수준은 정상대조군 $9.32{\pm}1.48{\mu}g/ml$,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4.19{\pm}0.84{\mu}g/ml$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IGF-I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혈청 중 IGFBP-1, -2는 증가한 반면, IGFBP-3, -4, -5는 감소하였다. IGFBP-3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는 PMSF, aprotinin, EDTA에 의해 저해되어 metal-dependent serine proteases임을 확인하였고, 효소의 크기가 대략 97,66kDa 이었으며 효소활성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큼을 확인하였다.

  • PDF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s의 생식기능에서의 역할;자궁편 (Roles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 in the Reproductive Function;Uterine Connection)

  • 이철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247-268
    • /
    • 1996
  • 여포와 난포의 성숙, 배란과 착상, 임신의 유지와 태아의 성장 발달, 분만 및 유선발육과 비유 등 일련의 생식현상에서 있어서 성선자극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현상에 고전적인 호르몬 외에도 다수의 성장인자가 관여되고 있음이 최근의 연구 결과 밝혀지고 있다. 생식기관에서 성장인자들은 대부분 autocrine/paracrine mode로 작용하여, 성선자극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을 매개하거나 이들 호르몬 등과 교호적인 작용(synergy)을 한다. 생식기관 내 insulin-like growth factor(IGF) system은 최근 가장 활발히 연구된 분야 중의 하나로 생식현상의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지면에서는 IGF system에 관한 개괄적인 정보를 소개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intrauterine IGF system에 관한 연구를 요약하고자 한다. IGF family는 IGF-I과 IGF-II ligands, 두종류의 IGF receptors(수용체), 그리고 지금까지 발견된 6종류의 IGF-binding proteins(IGFBPs)로 이루어져 있다. IGF-I과 IGF-II는 proinsulin과 상동한 구조를 가진 peptide로서 포도당과 아미노산 운반을 자극하는 등 insulin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이 외에도 IGFs는 세포분열촉진제(mitogens)로서 여러 형태의 세포에 걸쳐 세포증식을 자극하고, 세포의 분화(differentiation)과 세포기능의 발현에 관여한다. IGFs는 간과 주로 messenchymal cells에서 발현되어 endocrine mode는 물론 autocrine/paracrine mode로 거의 모든 조직에 작용한다. IGF 수용체는 두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type I IGF receptor는 tyrosine kinase로서 IGF-I과 IGF-II에 공히 high-affinity를 나타내고, 상기한 대부분의 IGFs의 작용을 매개한다. Type II IGF receptor 혹은 IGF-II/mannose-6-phosphate receptor는 두개의 서로 다른 binding sites를 가지고 있는데 IGF-II binding site는 IGF-II에만 high-affinity를 나타낸다. Type II IGF receptor의 주요 역할은 IGF-II를 lysosomal targeting하여 ligand를 파괴하는데 있다. 체액 속의 IGFs는 대부분 IGFBP에 결합되어 있다. IGFBPs는 IGF의 저장/운반체 혹은 IGF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개 IGFBP의 역할에 대해서는 지극히 제한된 정보만이 알려져 있다. IGFBPs의 IGF ligands에의 affinity는 IGF receptors의 IGFs에의 affinity보다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in vitro 상황 하에서 IGFBPs는 IGF 작용을 억제한다. IGFBP에 결합되어 있는 IGF가 어떤 기작에 의해 IGFBP로부터 분리되어 IGF receptor에 도달하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혈액과 조직액에 들어있는 불특정 IGFBP protease activity는 IGF의 방출과정에서 일역을 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보고에 의하면 특정 in vitro 상황 하에서 IGFBP-1, -3, -5 등은 IGF와 무관한 작용도 있다는 증빙이 있어 IGF system의 또 다른 차원을 예고하고 있다. IGF family members의 mRNAs & proteins는 영장류, 설치류 및 가축의 자궁조직과 수태물(conceptus)에서 발현되어 자궁과 태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궁조직의 IGF system의 발현은 성선호르몬, 국소 생리조절인자 등에 의해 발현시기와 장소의 특이성이 결정되며, 발현된 IGFs와 IGFBPs는 autocrine/paracrine mode로 자궁조직에 작용하기도 하고, 자궁강에 분비되어 수태물의 성장 발달에 관여한다. 착상을 전후하여 수태물에서도 IGF system이 발현되는데 개개 IGF family member의 발현 시기는 모체로부터 유래된 mRNA의 유무, 수태물 자체의 genetic programming, 모체와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결정되고, IGFs의 작용 부위 역시 시간(생리적 상태)과 장소의 특이성이 있다. 이와같이 conceptus IGF system의 발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조절되고있다는 사실은 IGFs가 수태물의 성장 발달에 일역을 한다는 가설을 간접적으로 지지해 준다. 자궁조직과 수태물에서 발현된 IGFs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운반과 단백질합성, placental lactogen과 prolactin 등과 같은 유선자극호르몬의 생성을 자극하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에도 관여한다. 태아의 성장 발달에 있어서 IGFs의 역할은 embryo의 IGF-I, IGF-II, 혹은 IGF receptor gene을 homologous recombination technique에 의해 파괴(gene targeting)하여을 때의 결과로써 입증되었다. 생쥐의 IGF and/or IGF-II gene 혹은 IGF receptor gene을 파괴했을 때 출생 전후 모두 성장 발달이 지연되며 출생시 무게는 정상치의 30-60% 수준에 머물고, 특히 type I IGF receptor gene 혹은 IGF-I과 IGF-II genes를 모두 파괴했을 경우에는 출생 후 곧 치사한다. 자궁 내의 IGFBPs는 IGF ligands를 자궁 내에 제한시키거나 IGFs의 receptor binding을 억제하는 negative regulators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장류의 자궁에서 IGFBP-I과 같은 특정 IGFBP는 IGFs보다 월등히 많은 양이 발현 분비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또한 이 단백질은 모체탈락막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단백질 중의 하나라는 점을 감안할 때 IGFBP-I이 IGF과 무관한 작용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IGFBPs의 역할 규명은 IGF system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이 분야의 연구에 많은 기대와 촛점이 모여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