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EEE 802.21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IEEE 802.16e 기반 MIPv6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 (Fast Handover Scheme for MIPv6 Based on IEEE 802.16e)

  • 임치헌;오룡;동정식;이형우;조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8A호
    • /
    • pp.802-812
    • /
    • 2007
  • Mobile IPv6환경에서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끊김 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고속 핸드오버의 이점을 IEEE 802.16e 환경에 적용하고자 본 논문은 다중 동시 바인딩 기법과 IEEE 802.21에서 제안된 이종망간의 핸드오버 기법을 이용한 IEEE 802.16e 기반 MIPv6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기존의 FMIPv6와 핸드오버 지연과 패킷 손실량을 비교 분석한다.

IEEE 802.21 매체독립 서비스 표준화 동향

  • 이형호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0호
    • /
    • pp.31-38
    • /
    • 2016
  • IEEE 802.21 워킹그룹은 이종 망간 핸드오버인 매체독립 핸드오버뿐만 아니라 라디오 자원 관리 등의 다양한 이종 망 연동이슈를 해결하고자 매체독립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과 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활용사례들에 대한 표준으로 분리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EEE 802.21 워킹그룹의 표준화 동향 및 매체독립 서비스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Seamless Vertical 핸드오버를 위한 IEEE 802.21 표준 동향 (IEEE 802.21 Standards Trends for Seamless Vertical Handover)

  • 이선웅;문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8-440
    • /
    • 2010
  • 스마트폰 시장의 확대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무선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i-Fi를 이용하여 무선 트래픽을 분산하려 한다. 스마트폰에 3G 무선 인터페이스와 Wi-Fi, 블루투스 등의 여러 인터페이스가 있어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기반 네트워크에서 같은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핸드오버는 지원하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간의 Vertical 핸드오버를 끊김 없이 제공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받을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은 IEEE 802.21에서 진행된 장치 독립 핸드오버(MIH) 표준에 대하여 기술한다. 802.21 MIH 표준은 이기종 네트워크간 심리스한 수직 핸드오버 서비스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802.21 표준은 이미 완성단계이고 관련기술의 이슈사항에 대하여 부가적인 부분을 표준화하고 있다.

  • PDF

IEEE 802.16m 표준화/기술 동향

  • 김태영;손중제;박정호;조재원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21권2호
    • /
    • pp.24-34
    • /
    • 2010
  • 본 고에서는 IEEE 802.16m 표준 및 기술 동향에 대해서 개관한다. 현재 상용화된 IEEE 802.16e 시스템에서 진화된 IEEE 802.16m 시스템은 IMT-2000을 대체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이런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우선 IEEE 802.16m 시스템은 IEEE 802.16e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차세대 통신 시스템 표준으로 추진 중인 IMT-Advanced 시스템의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물리 계층 및 MAC 계층에서 다양한 기술들이 고려되었고, 본 고에서 전반적인 기술들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더불어, ITU-R에 제출한 IMT-Advanced 제안서의 결과를 토대로 IEEE 802.16m 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MIH 기반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표준 동향 (MIH Based Broadcast and Mobile Convergence Service Standardization)

  • 전홍석;지정훈;박창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1호
    • /
    • pp.114-123
    • /
    • 2010
  • 멀티모드 휴대 단말의 보급이 본격화되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인프라가 확대됨에 따라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서비스가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IEEE 802.21 WG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간 심리스한 수직 핸드오버 서비스를 목적으로 MIH 표준 기술을 발간하였고, 최근에는 MIH 기술을 방송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해 사용하도록 추가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글은 이기종 네트워크간의 수직 핸드오버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IEEE 802.21 MIH 표준의 주요 핵심 기술 및 표준화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통신 네트워크와 방송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근 IEEE 802.21 WG 산하에 생성된 IEEE 802.21 TGb의 표준화 진행사항에 대하여 정리해 본다.

무선인터넷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 IEEE 802 무선인터넷 표준화 중심으로 -

  • 김범준;조기형;이창재;최진성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15권3호
    • /
    • pp.80-90
    • /
    • 2004
  • 국내 2.3 GHz 휴대인터넷의 본격화에 즈음하여 이동통신에서의 초고속 무선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IEEE LAN/MAN Standard Committee내에서 현재 진행중인 무선 표준 화 동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미 Wi-Fi라는 이름으로 상용화되어 로컬 환경에서 벗어나 고속의 서비스 및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진행 중인 IEEE 802.11과 각종 가전 제품들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IEEE 802.15, 그리고 차세대 무선 인터넷의 접속 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IEEE 802.16과 단말의 고속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IEEE 802,20,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종 망간의 유연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IEEE 802.21의 표준 진행 결과 및 향후 전망에 대해서 주로 다룬다. (중략)

IEEE 802.15.6 UWB WBAN에서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WB WBAN)

  • 김호성;황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13-131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6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에서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IEEE 802.15.6 UWB WBAN에 대한 물리 계층 패킷 구조와 인코딩, 디코딩 과정을 고려한다. 데이터 페이로드의 길이, 전송 전력 세기, 노드들간 거리에 따라 한 홉 전송, 두 홉 전송, 세 홉 전송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을 제안하고 분석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한 홉 전송, 두 홉 전송, 세 홉 전송에서 데이터 페이로드의 길이, 전송 전력 세기, 노드들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에 대해 비교하고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변수와 상황에 따라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파악하고,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전송 방법을 택하여 전송할 수 있음을 보인다.

IEEE 802.21 MIH를 이용한 이기종 망 간 Fast Handover 연구방안 (Study on Fast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IEEE 802.21 MIH)

  • 김재승;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0-83
    • /
    • 2010
  • 최근 이동성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단말에서도 멀티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한다.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단기간에 네트워크의 전체를 재설계하거나, 서비스 망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는 비용부담이 발생한다. 이에 IEEE, IETF에서는 이기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활용하는 기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은 IEEE 802.21의 MIH 정보서버를 네트워크의 기반으로 하고, 단말에 FMIPv6의 장점을 이용하여 L3계층의 핸드오버과정을 최적화하는 개선된 핸드오버 방안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른 핸드오버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 PDF

이기종 네트워크간 심리스 핸드오버 기술 표준화 동향 (Standardization Focus on Technology of Seamless Handover among Heterogeneous Networks)

  • 지정훈;김은아;박창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6호
    • /
    • pp.40-50
    • /
    • 2007
  • 본 고에서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심리스 핸드오버 기술에 대한 기술 분석 및 관련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심리스 핸드오버 기술로 대표적인 IEEE 802.21 Working Group에서 표준화를 진행해온 Media Independent Handover 기술에 대한 참조 모델, 서비스, 프로토콜 및 이기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최근 표준화 동향 파악을 위해서 2007년 10월 기준으로 IEEE 802.21 Working Group 및 IEEE 802.11u Task Group의 표준화 현황과 핵심 이슈를 정리하며, 그간 3GPP 표준과 연계한 MIH 기술 적용 현황 및 향후 추진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IEEE 802.21 Working Group 내 신규 그룹인 Multi-Radio Power Conservation Management Study Group과 Security Study Group의 진행상황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중치 적합 기법을 이용한 개선된 IEEE 802.11 RSSI 감쇠 로그 모델 (Improved IEEE 802.11 RSSI Attenuation Log Model by Weighted Fitting Method)

  • 신석훈;박준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0-75
    • /
    • 2015
  •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smartphone, requirements of positioning accuracy for LBS (Location Based Service)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LBS is a service which offers the information or entertainment based on a location to users. Therefore, positioning is very important for LBS. Among many positioning methods, IEEE 802.11 WLAN positioning measures the distance using th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ttenuation log model. Thus in order to enhance positioning, we modify the IEEE 802.11 RSSI attenuation log model by adaptive weighting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improved IEEE 802.11 RSSI attenuation log model for enhanced indoor positi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