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EEE 802 16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28초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 IEEE 802.11과의 공존을 위한 IEEE 802.16 MAC 프로토콜 (IEEE 802.16 MAC protocol for coexistence with IEEE 802.11 in shared Frequency band)

  • 이승환;이승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0-123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 IEEE 802.11 WLAN과 IEEE 802.16 WMAN과의 효율적인 공존을 위한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IEEE 802.11 WLAN과 IEEE 802.16 WMAN이 주파수를 공유하며 지리적으로 공존하는 환경을 가정하였다. IEEE 802.16 WMAN의 BS(Base station)와 SS(Subscriber station)의 통신에서 DL(Down Link)구간에서는 SS가 자신의 DL-burst에서 IEEE 802.11의 CTS를 보내 주변의 IEEE 802.11 디바이스들의 통신을 지연시킴으로써 IEEE 802.11 WLAN 및 IEEE 802.16 WMAN이 공존하면서도 충돌을 방지해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AC 프로토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유지함을 보인다.

IEEE 802.16m에서 이동 단말의 전력 절감 방안 (Power Saving Mechanism for Advanced Mobile Station in IEEE 802.16m)

  • 최정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A호
    • /
    • pp.959-965
    • /
    • 2011
  • 다양한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한 이동 단말의 사용 시간 및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배터리로 구동되는 이동 단말의 전력 절감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4G 기술 중의 하나인 Mobile WiMAX라 불리는 IEEE 802.16m의 전력 절감 기술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IEEE 802.16m의 기초가 되는 IEEE 802.16e 전력 절감 방안과의 차이점 및 기술적 특정을 살펴본다. 이동 단말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위해 패킷들의 도착 분포 정보를 기반으로 동적 수면 사이클 조절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을 에너지 절감 측면과 패킷 대기 지연 시간 측면에서 살펴본다.

음영감쇄 환경에서의 IEEE 802.16j 상호 협조 중계 방식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IEEE 802.16j using Cooperative Relaying in Correlated Shadow Fading)

  • 하동주;김석찬;박동찬;김영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5호
    • /
    • pp.47-53
    • /
    • 2007
  • IEEE 802.16j는 기존의 IEEE 802.16e에 중계기를 도입하여 커버리지 확장과 데이터 처리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인 셀룰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IEEE 802.16j 또한 셀 가장자리에서 경로손실(Path loss), 음영감쇄(Shadow Fading)와 다중경로 감쇄(Multipath fading)에 의해 성능 열화를 겪게 된다. 한편, IEEE 802.16j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중계기를 상호 협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공간 시간 부호를 사용하는 상호 협조 중계 방식은 일반적인 단일 중계기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Multipath Fading 환경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며, Shadow Fading에 대해서 링크간의 통신 신뢰도를 높인다. 이 논문에서는 상호 협조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IEEE 802.16j의 성능을 링크 레벨 모의 실험을 통해 구하고, 그 방식이 기존의 단일 중계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또한 서로 다른 경로들마다 각각의 Shadow Fading을 겪으므로, 이 점을 고려한 실제적인 Shadow Fading 모델을 적용하고 분석하여, 중계기의 공간적인 위치가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힌다.

Mobile WiMAX 보안 이슈와 해결 방안

  • 손태식;최욱;최효현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11호
    • /
    • pp.5-13
    • /
    • 2007
  • 광대역 무선 접속 표준을 관장하는 IEEE 802.16 워킹 그룹은 IEEE 802.16 표준을 2004년에 발표하였으며 이 IEEE 802.16 표준안에는 현재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라 불리는 고정 및 저속 이동 접속에 대한 광대역 무선 통신 지원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여러 기술 중 보안 관점에서 IEEE 802.16 표준은 MAC 계층 안에 PKM(Privacy Key Management)라고 불리는 Security Sub-layer를 가지고 있다. PKM은 PKMv1과 PKMv2로 구분되며, 먼저 PKMv1은 기본적인 인증 및 기밀성 기능을 제공하고 IEEE 802.16 표준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있다. 하지만, IEEE 802.16 표준 이후 많은 연구들이 PKMv1의 보안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IEEE 802.16 표준안의 확장 개선안으로서 완전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2005년 발표된 IEEE 802.16e 표준안에서는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PKMv2를 제공하며 기존 표준안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러한 PKMv2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반 기밀성 제공 알고리즘, CMAC/HMAC(Cipher/Hashed Message Authentication Code)을 사용한 메시지 인증 기능 제공 등 보다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IEEE 802.16e 표준안의 보안 기능은 SS(Subscriber Station)과 BS(Base Station)간의 통신구간 보안에 초점을 맞추어서 네트워크 도메인간의 보안 문제나 핸드오버시 보안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적 보안 취약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표준안에서 정의하고 있는 SS와 BS 구간 보안 역시 완전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성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IEEE 802.16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기법 (Packet Scheduling Scheme for IEEE 802.16 System)

  • 이은영;박형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6-968
    • /
    • 2009
  • IEEE 802.16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및 비실시간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자원활용을 위해서는 적절하게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OFDMA 환경에서 실시간 및 비실시간 패킷을 효율적으로 자원 할당하는 방법은 많이 연구되었으나, IEEE 802.16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IEEE 802.16에서는 여러 가지 QoS 제한조건을 가진 5가지 서비스 클래스를 지원하므로 이러한 클래스들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QoS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EEE 802.16e 기반 MIPv6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 (Fast Handover Scheme for MIPv6 Based on IEEE 802.16e)

  • 임치헌;오룡;동정식;이형우;조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8A호
    • /
    • pp.802-812
    • /
    • 2007
  • Mobile IPv6환경에서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끊김 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고속 핸드오버의 이점을 IEEE 802.16e 환경에 적용하고자 본 논문은 다중 동시 바인딩 기법과 IEEE 802.21에서 제안된 이종망간의 핸드오버 기법을 이용한 IEEE 802.16e 기반 MIPv6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기존의 FMIPv6와 핸드오버 지연과 패킷 손실량을 비교 분석한다.

IEEE 802.16m 표준화/기술 동향

  • 김태영;손중제;박정호;조재원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21권2호
    • /
    • pp.24-34
    • /
    • 2010
  • 본 고에서는 IEEE 802.16m 표준 및 기술 동향에 대해서 개관한다. 현재 상용화된 IEEE 802.16e 시스템에서 진화된 IEEE 802.16m 시스템은 IMT-2000을 대체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이런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우선 IEEE 802.16m 시스템은 IEEE 802.16e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차세대 통신 시스템 표준으로 추진 중인 IMT-Advanced 시스템의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물리 계층 및 MAC 계층에서 다양한 기술들이 고려되었고, 본 고에서 전반적인 기술들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더불어, ITU-R에 제출한 IMT-Advanced 제안서의 결과를 토대로 IEEE 802.16m 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IEEE 802.16e 기반무선 인터넷서비스 망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t Handover Scheme in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Network Based on IEEE 802.16e)

  • 양현호;차재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50-1956
    • /
    • 2007
  • IEEE 802.16e는 여러 가지 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으며 그중 특히 고속 핸드오버는 사용자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후보 기지국을 활용하는 고속 핸드오버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IEEE 802.16e에 기반을 두고 있지 만 모의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핸드오버 지연을 기존 방식 대비 30%이상 감소시키며 핸드오버 탈락 확률 또한 5% 이상 향상시키는 성능개선 결과를 나타내었다.

IEEE 802.16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전달을 위한 주소 정보 매핑 방법 (Address Mapping Scheme between Layer 3 and Layer 2 for Multicast over IEEE 802.16 Networks)

  • 김상언;윤주영;진종삼;이성춘;이상홍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336-340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multicast scheme over IEEE 802.16 networks which support multiple upper layer protocols such as ATM, IPv4 packets, IPv6 packets, IEEE 802.3 over IPv4 and so on. The multicast capabilities over IEEE 802.16 are important both control plane and data plane. The proposed multicast schem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direct mapping and indirect mapping. The direct mapping scheme is that layer 3 address is directly mapped into CID information which is used for connection identifier at IEEE 802.16 link layer. The indirect mapping scheme has two steps for mapping between layer 3 address and layer 2 CID. Firstly, a layer 3 address translates to Ethernet MAC address with group MAC address. Secondly, a group MAC address is mapped into CID. The mapping scheme depends on the upper layer protocols.

  • PDF

IEEE 802.16 시스템의 효율적인 QoS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QoS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IEEE 802.16)

  • 백주영;박진수;김상진;윤종필;서영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18-23
    • /
    • 2006
  •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넓은 전송 대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 된 시스템인 IEEE 802.16d[1]시스템에서는 여러 가지 서비스 클래스들을 이용하여 QoS를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Qo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케줄링에 필요한 factor들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하며, 시스템의 환경에 맞도록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d 시스템을 simulator (NS-2) [2]에 구현하고, IEEE 802.16f [3]에서 표준화한 MIB과 QoS를 고려한 MIB (Q-MAN MIB)을 구현하여 IEEE 802.16d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구축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인 Q-MAN을 소개한다. Q-MA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통해 IEEE 802.16d 시스템의 QoS 제공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스케줄링에 필요한 설정 값을 동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IEEE 802.16d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