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Short-term ICT Training Program for Non-Computer Science Major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Improving ICT Teaching Efficacy

  • Jeon, Yongju;Song, Ki-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73-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hort-term ICT training course that helps teachers from non-computing disciplines in developing countries acquire flipped-learning content creation skills. A field applic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veloped ICT training course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non-ICT subject specialisms in Laos. In the field study, participating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IC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training course are measured. The result of t-test on ICT teach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eachers' self-efficacy related to ICT use, both personal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satisfaction survey performed after training showed that trainee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raining course. The results of this field study could be used to propose a short-term teacher education model that could be applicable to teachers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Self-Efficacy, and Autonomy in Using ICT amid the Covid19 Pandemic

  • Yasir A. Alsamiri;Ibraheem M. Alsawalem;Malik A. Hussain;Nur Hidayanto Pancoro Setyo Putro;Mashal S. Aljehan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6호
    • /
    • pp.131-140
    • /
    • 2024
  • The outbreak of Covid-19 has forced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in Saudi Arabia to keep to themselves to live in a technology-infused society throughout the vir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competence, self-efficacy, and autonomy in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audi Arabia. A total of 2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audi Arab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adopted the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Chen, Gully, and Eden (2001), as well a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Exercise Scale (BPNES) developed and validated by Vlachopoulos and Michailidou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ere used as the main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findings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audi Arabia possessed competence, self-efficacy, and autonomy in using IC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ll the factor loadings in each factor were.75 or higher, indicating good factor loadings. The results of the MANOVA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audi Arabia do not report different perceptions of their competence, self-efficacy, and autonomy despite their different gender, age group, academic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ences.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on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213-2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9)의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40명의 예비 교사이며,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처치를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n=20)에게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 집단(n=20)에게는 ICT 도구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문성,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 집단과 달리 실험 집단은 수업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사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수업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TPACK 교육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85-89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가 시행한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ICILS 2013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18개 참여국 중 컴퓨터 정보 소양 점수가 높은 호주, 체코, 노르웨이, 폴란드와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ICT 활용 실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지 중에서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9문항을 선택하였는데, 문항들은 교사의 컴퓨터 이용 실태, 수업에서 ICT 활용 현황, 학교의 ICT 활용 지원 환경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컴퓨터 사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며 컴퓨터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은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지만 교수학습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에서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수업에서 활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대한 활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학습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도 교사주도의 정보 제공이나 과제 제시에 대한 활동의 비중은 높지만 협업이나 상호작용이 많은 활동에서는 낮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ICT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보다는 부정적인 관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학교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정도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사 항목 대부분에서 호주나 체코에 비해 지원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충분한 ICT 기기나 컴퓨터가 구식 모델이고 디지털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기서 드러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ICT 교육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학생활동 중심의 ICT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입문교육 콘텐츠가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ursing Introduction Conten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first year students)

  • 김자숙;한수정;한승욱;김수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85-29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을 위한 간호입문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과목으로서 적용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K대학교 간호학과 신입생으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동의한 12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군 사후 사전 실험설계 연구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간호입문교육 콘텐츠 적용 전 후의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입문교육 콘텐츠 적용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태도성숙(t=2.36, p=.002)과 자기효능감(t=2.92, p=.004)을 상승시켜 주었고, 진로태도성숙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r=.609, p<.001)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간호입문교육 콘텐츠를 하나의 교과목으로 이용하여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ICT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간호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언한다.

웹 컨텐츠를 이용한 실습교육의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udents' Acceptance Factors of Web-Contents based Classroom for Studying Electronic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s)

  • 김성배;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1-98
    • /
    • 2002
  • 7차 교육과정이후 ICT는 실업계 고교의 수업에서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전자과 실습교육을 위한 웹 컨텐츠를 설계, 개발, 수업에 적용하여 어떤 요인들이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는 웹 컨텐츠의 용이성, 유용성, 재미 등의 요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이외의 웹 컨텐츠의 디자인, 이미지, 질, 학습자의 태도, 자기 효능감 등의 요 인들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업계 고교 수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웹 컨텐츠 설계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ISA 설문에서 나타난 한국 과학교사들의 인식: 미국, 중국과 비교를 중심으로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in PISA Survey: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31-41
    • /
    • 2022
  • 이 연구는 PISA 2015에서 실시한 과학교사 설문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중국의 과학교사 설문 원자료를 분석하여, 설문 항목별로 기술통계와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과학교사는 전문성 계발 활동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비교국들에 비해 낮았고, 학생 맞춤형 지도 방법과 다양한 평가 방법의 실제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과학교사는 대체로 교직에는 만족하고 있었으나, 현재 근무하는 학교에서 여러 가지 자원의 제한으로 과학교육 활동에 지장을 받는다는 응답이 비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한국은 과학 교육과정과 과학 수업에서 과학 탐구가 덜 강조되고 있었으며, 탐구의 교수과정에서 과학교사의 자기 효능감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은 과학 수업에서 토의와 토론 수업, ICT 활용 수업 등이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